2017년 5월 9일 화요일

탈모·흰머리에 영향 주는 단백질 발견… 동시 치료 길 열려

탈모와 흰머리에 동시에 영향을 미치는 단백질의 존재가 발견돼 두 현상을 동시에 치료할 수 있는 길이 열릴 전망이다.

미국 텍사스대 사우스웨스턴의료센터의 피부과 부교수 루 레 박사 연구팀은 ‘KROX20’이라는 단백질이 모발을 만들기도 하고 나중에는 모발의 색소를 만드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하기도 한다는 것을 밝혀냈다고 메디컬 익스프레스가 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KROX20’은 원래 신경 발달과 연관이 있는 단백질인데 연구팀은 이 단백질이 모발로 분화하기 전의 세포(전구세포·precursor cell)를 작동시켜 모발의 줄기 부분인 모간(毛幹·hair shaft)을 만들고, 또 이 과정에서 만들어진 줄기세포인자(SCF)는 모발에 색소를 입힌다는 것을 발견했다.

조선일보 자료사진
지금까지는 모낭에 있는 줄기세포가 모발을 만들고 SCF 단백질이 모발의 색소에 관여한다는 정도만 알려져 있었다. 루 레 박사 연구팀의 발견은 모발 생성 과정에서 만들어진 KROX20 단백질이 모발을 자라나게 하고 모발에 색을 입히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루 레 박사는 “신경에서 자라는 양성 종양인 제1형 신경섬유종증(neurofibromatosis type I)을 연구하는 과정에서 우연히 이 단백질이 모발 생성에 관여한다는 사실을 발견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번 발견을 바탕으로 탈모를 치료하는 크림 또는 연고 형태의 약품이나 모낭에 직접 유전자를 전달하는 치료법을 만들어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유전학 전문지 ‘유전자와 발달’(Genes and Development) 최신호에 실렸다.
<기사 출처 : 조선일보>

2017년 5월 2일 화요일

42년간 편지 주고받은 두 남녀…"만나고 싶었습니다"

전자우편과 스마트폰 메신저 등이 일상화된 요즘 손으로 정성들여 쓴 편지를 42년간 주고 받은 남녀 간 첫 만남이 이뤄져 최근 미국 ABC뉴스 등 현지 언론을 통해 보도됐다.
화제의 주인공은 각각 뉴욕주와 캘리포니아주에 사는 조지 곤(56)과 로리 카트(54). 이들이 손편지를 교환하기 시작한 것은 지금으로부터 42년 전이었다.

펜팔이 한창 유행했던 1975년 당시 15세, 13세였던 두 사람은 유행에 휩쓸려 편지를 주고 받으면서 펜팔이 됐다. 

조지는 “4~5명의 펜팔 친구가 있었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연락이 끊겨 아쉬웠는데, 그러던 중 로리를 알게 돼 오랜 시간 인연을 이어오게 됐다"며 "로리는 특별했다"고 강조했다. 

둘은 “낯선 사람에게 (편지를 통해) 자신의 얘기를 들려주는 일은 쉽지 않았다”고 입을 모은다.

조지는 “처음에는 시시콜콜한 이야기가 전부였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서로 잘 이해하게 됐다”며 “사춘기를 지나 성인이 되면서 진지한 얘기를 주고 받을 수 있었다”고 기억했다.

결혼 후 두명의 자녀를 둔 로리 역시 그와의 특별한 기억이 있다.

2006년 조지로부터 부고를 접한 그녀는 “부모님 장례식에 가면서 냅킨에 쓴 (조지의) 편지가 기억에 남는다”며 “그때 마음이 흔들렸다”고 당시를 돌아봤다.

로리는 힘든 때도 편지로 아픔을 전한 조지를 두고 '성실하다'고 평했다. 아울러 “나를 정말 아끼고 있다는 느낌을 받았다"고도 말했다.

그렇게 42년이 지나갔고, 둘은 로리의 편지로 최근 첫 만남을 갖게 됐다.

로리는 편지에서 조지에게 “없어서는 안 될 특별한 존재“라고 남다른 애정을 드러냈다. 이어 ”오랜 펜팔로 함께할 수 있어서 기쁘다"며 "만나보고 싶다“고 전했다. 그동안 뒷걸음질만 치던 그도 더는 피할 수 없다고 생각했는지 그녀와 지난달 11일 모 호텔에서 만나기로 약속했다.

얼마나 떨리고 설?을까. 두 사람은 첫 만남에도 ‘안녕’이라는 인사나 어떤 말 없이 따뜻하게 포옹했다.  조지는 감격에 겨웠는지 눈시울을 붉혔고, 로리는 ”너무 기뻐서 눈물조차 잊었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그보다 더 많은 눈물을 흘렸다“고 당시를 설명했다.
42년간 펜팔 끝에 지난달 11일 처음 만난 조지 곤(왼쪽)과 로리 카트가 볼 뽀뽀를 나누고 있다.
둘은 ”42간년의 편지는 하나도 빠짐없이 보관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계속 편지를 주고받자고 약속했다"고 한목소리로 전했다.
42년간 펜팔 끝에 지난달 11일 처음 만난 로리 카트(왼쪽)와 조지 곤.
42년간 지난 4월11일 미국의 모 호텔에서 처음 만난 로리 카트(왼쪽)와 조지 곤은 말 없이 포옹했다. 마치 오래된 영화의 한 장면 같다.
한편 두 사람의 감격스런 첫 만남은 호텔 폐쇄회로(CC)TV에 잡혀 영상으로도 공개됐다. 마치 오래된 영화의 한 장면 같이 가슴이 따뜻해지는 광경이었다.
<기사 출처 : 세계일보>

서울 시내버스 연료절감장치 달았더니 300억 절감

서울 시내버스에 장착된 변속지시기(서울시 제공)© News1
연료사용량 9.7%↓, 연비 10.8% 개선

서울시는 시내버스 ‘연료절감장치’ 운영 약 2년반 만에 300억원 넘는 연료비용을 절감했다고 2일 밝혔다. 

서울시에 따르면 시내 수동변속버스에 연료절감장치를 설치한 지 29개월만에 303억원(2016년 12월 기준)의 연료비를 절감했다. 월평균 10억원을 아낀 셈이다.

현재 서울 시내버스는 총 7421대로 그중 저상버스를 제외하고 60%가 수동변속버스다. 수동변속 버스에 설치된 연료절감장치는 최적의 변속시점을 알려주는 변속지시기와 냉각팬 자동제어로 연비개선을 유도하는 차량 열관리 시스템 등으로 구성된다. 운전자의 주행패턴을 분석해 친환경경제운전 점수도 알려준다. 

연료절감장치 장착 후 연료사용량은 9.7% 줄었고 연비는 10.8% 개선됐다. 계절적 영향을 적게 받는 4~5월에는 연비가 2.1㎞/㎥에서 2.36㎞/㎥까지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절감액 일부는 버스회사에 인센티브로 주며 이중 최소 30%를 연료절감에 기여한 운수종사자에게 포상금으로 지급해 경제운전을 독려하고 있다. 운전기사의 급가속·급정거 감소로 이어지면서 버스 교통사고건수도 2013년 시내버스 990건에서 2016년 722건으로 27% 감소했다.

올 상반기 중 저상버스까지 연료절감장치를 설치하면 연간 81억원이 추가로 절감될 전망이다. 저상버스 연비(2016년 12월 기준)는 평균 1.82㎞/㎥으로 1.98㎞/㎥까지 연비가 개선될 경우 연료사용량이 8% 줄어들게 되며 비용으로 환산하면 절감액은 월평균 6억8000만원(연 81억원) 수준이다. 마을버스 업계도 연료절감장치 장착을 긍정적으로 검토 중이다.

윤준병 서울시 도시교통본부장은 “앞으로도 저상버스, 마을버스로 확대 장착해 연료비용 절감으로 버스업계 보조금도 줄이고, 대기질 개선에도 기여할 것”이라며 “연료 절감에 기여한 운전자와 회사에 확실한 동기부여가 되도록 인센티브 지급 제도도 보완하겠다”고 말했다.
<기사 출처 : 뉴스1>

6명 중 1명 최저임금 이하…소처럼 일해도 ‘마이너스 늪’

ㆍ최저임금도 못 받는 노동자, 청년·노년·비정규직 집중
ㆍ외벌이 2인 가구는 생계비 43%밖에 못 채워 ‘절대 빈곤’

지난달 28일 오후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전수찬 이마트노조 위원장이 최저임금 1만원 인상을 요구하는 1인 시위를 하고 있다. 민주노총 서비스연맹 마트노동조합준비위원회는 127돌 노동절을 앞두고 지난 25일부터 점심 한 끼 단식을 하며 최저임금 인상 1인 시위를 이어가고 있다. 김창길 기자 cut@kyunghyang.com

한국 사회는 30년 전 민주화를 이뤘고 눈부신 성장으로 경제규모 세계 11위의 국가가 됐다. 하지만 열심히 일해도 ‘마이너스 인생’을 벗어나지 못하는 이들의 숫자는 점차 늘고 있다.

관련 통계가 작성된 2002년 이후 ‘최저임금의 90~110% 받는 노동자’ 규모는 57만7000명에서 지난해 184만3000명으로 늘었다. 이 기간 최저임금 미달자 규모는 70만2000명에서 266만3000명으로 늘었다.

경제활동인구조사 등의 통계를 종합하면 최저임금 ‘110% 이하’를 받는 노동자는 전체의 17.7%(348만3000명)다. 6명 중 1명꼴이다. 이들은 주로 청년·노년층(69.8%)과 비정규직(71.7%)에 분포돼 있다.

“한국은 마이너스 인생을 권하는 사회예요. 그리고 일하는 노동자를 개같이 다루는 사회.”



<여기를 누르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희근씨(가명·32)는 최저임금으로 버텨온 지난 10여년의 세월을 이렇게 압축해 표현했다. 이씨는 대학 시절인 21살 때부터 통운회사에서 비정규직으로 ‘까대기’(가대기·창고 등에서 짐을 어깨에 메고 나르는 일)를 했다. 그 후로도 택배물 상·하차, 동대문 의류시장에서의 화물 상·하차, 음료박스 배송 등 닥치는 대로 일했다. 인력파견업체가 연결해주는 업체에선 ‘최저임금’이 ‘기준임금’이었다. 2013년 군대에 가기 직전, 7년간 몸을 험하게 다루며 번 돈을 계산해봤다. 9700만원이었다. 그러나 수중에 남은 돈은 없었다. 혼자 주절거렸다. “희근아, 되게 고생했네. 근데 다 어디 갔지?”

이씨는 “먹고살며 숨 쉬는 것만 해도 100만원은 든다”고 했다. 월세·교통비·통신비로 50만원, 식료품과 생필품에 가끔 사는 옷·신발 비용, 가끔 친구를 만나 쓰는 돈까지 합하면 140만원이다. 지금도 백화점에서 화물 나르는 일과 방과후 교사로 ‘투잡’을 하고 있다. 두 곳의 월급 모두 최저임금 수준이다. 지난 10여년간 그토록 일했어도 겨우 400만원을 모았고 학자금 빚이 1000만원 남아 있다.



<여기를 누르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최저임금을 받는 노동자가 부양가족이 있는 ‘외벌이’일 때는 문제가 훨씬 더 심각하다.

용인의 한 대학에서 청소노동자로 일하는 박재순씨(가명·63)는 아픈 남편 대신 생계를 책임지고 있다. 하루 7시간 일하고 받는 월급은 110만원 정도다. 최저임금 수준이다. 젊은 시절 병을 얻은 남편의 약값·병원비, 가스료·전기료·통신비와 식비를 지출하고 나면 남는 돈이 없다. 박씨는 30년 넘는 세월 동안 건설사무소 업무보조, 식당 설거지, 놀이공원 도우미 등 ‘저임금 노동’으로 생계를 책임졌다. 박씨는 “외아들에게 용돈 한번 제대로 못 준 것이 한이 된다”며 가슴을 쳤다.

또 다른 대학에서 청소노동자로 일하는 노희선씨(가명·66) 역시 아픈 남편을 부양하는 노동자다. 8시간 일하며 최저임금이 조금 넘는 155만원을 받고 있다. 남편의 병원비에 100만원에 이르는 노씨는 식비를 아끼고 아낀다. 20㎏에 4만~5만원 하는 쌀과 두부, 된장찌개, 김치 정도로 상을 차린다. 때로는 이웃에게 얻어오기도 한다.



현재 최저임금의 2인 가구 생계비 충족률은 43%(2015년 기준)다. 애초 최저임금 결정 기준을 ‘1인 미혼 노동자’ 생계비로 삼기 때문이다. 이희근씨 같은 1인 가구 노동자가 ‘숨만 쉬어도’ 적자를 보는 형편에, 이 돈으로 부양가족들의 ‘인간다운 삶’까지 보장하기란 언감생심이다. 한국노동연구원에 따르면 최저임금 이하 또는 최저임금 110% 미만을 받는 가구주의 60% 이상이 외벌이로 가계를 유지하고 있다. 이들의 평균 가구원 수는 2.5명이다. 노동계서 주장해온 ‘최저임금 1만원’은 박씨와 노씨 같은 2인 가구 생계비(2015년·270만7573원)서 나온 수치다. 만약 시급 1만원으로 주 40시간 일하면 월급이 209만원이 된다. ‘최저임금 1만원’을 당장 실현한다면 2인 가구 평균 생계비 충족률을 70%대로 끌어올릴 수 있다.

정의당과 같은 진보정당에서만 외쳐온 ‘최저임금 1만원’은 이제 모든 대선후보가 공약할 만큼 시대적 요구가 됐다. 그만큼 많은 이들이 목말랐던 문제이고, 삶에 응어리진 생계와 직결되기 때문이다. 



60대인 박씨와 노씨는 ‘최저임금 1만원이 당장 주어진다면 무엇을 하고 싶으냐’고 묻자 모두 손주를 얘기했다. “할미할비 보러오면 못 사먹이니까 돌아가는 걸 볼 때 눈물이 나.”(노씨) “아들네도 형편이 어려워 손주들 헌 옷을 입히는데 학교 가기 전에 ‘똑똑한’ 옷 한 벌 사주고 싶어.”(박씨)

같은 질문에 30대인 이씨는 “결혼을 하고 싶다”고 했고 고교 시절 문학을 좋아했던 20대 김씨는 “돈 걱정 없이 책 읽는 시간이 간절하다”고 했다.

인간은 ‘목숨부지’만 하며 살 수 있는 존재가 아니다. 미래를 꿈꿀 권리, 읽고 사색하는 시간, 사랑을 나누는 기쁨은 왜 최저임금 노동자에게는 허락되지 않는가. ‘최저시급 1만원 당장 달성’은 인간적인 삶을 조금이라도 누릴 수 있길 바라는 348만명의 절절한 외침이다.
<기사 출처 : 경향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