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은 세계에서 유일하게 만들어진 시기가 언제인지 기록된 문자다. 게다가 ‘자음의 이름으로 통하게 된 단어’가 언제 어디에서 유래했는지도 뚜렷하다.
‘기역 니은 디귿 리을 미음 비읍 시옷 이응’은 최세진의 한자학습서 <훈몽자회>(1527년)에서 비롯됐다. 최세진은 이 학습서에 ‘언문자모(諺文字母)’라는 항목을 넣어 한글 체계와 용법을 간단히 설명했다. 그는 자음 여덟 글자와 관련해 다음과 같이 썼다.
ㄱ 其役 ㄴ 尼隱 ㄷ 池末 ㄹ 梨乙 ㅁ 眉音 ㅂ 非邑 ㅅ 詩衣 ㅇ 異凝
이 기록이 ㄱ부터 ㅇ까지 한글 자음의 이름으로 통하게 됐다.
자음과 관련한 표기 중 두 군데가 눈길을 끈다. 하나는 ㄷ과 ㅅ과 관련한 두 글자 末과 衣이다. <훈몽자회> 원문에는 이들 글자가 동그라미 안에 들어 있다. 발음이 아니라 뜻으로 읽으라는 표시다. 末은 귿, 衣는 옷 대신 쓰였다. 귿과 옷 발음의 한자가 없어서 택한 방법이다.
둘째는 池가 당시에 ‘디’로 읽혔다는 점이다. 조선시대 ㄷ 중 상당수가 구개음화를 통해 ㅈ으로 바뀌었다. ㄷ은 모음 i나 반모음 y 앞에 있을 때 ㅈ으로 발음이 변했다. 예컨대 <용비어천가>에 나오는 ‘불휘 기픔 남간 바라매 아니 뮐새 곶 됴코 여름 하나니’ 구절에서 ‘좋고’를 뜻하는 ‘됴코’는 ‘죠코’를 거쳐 조코로 발음이 바뀌었다.
최세진은 ㅋ부터 ㅎ까지는 이렇게 적었다.
키 箕 티 治 피 皮 지 之 치 齒 이 而 이 伊 히 屎,
箕자도 동그라미 안에 넣었다. 발음인 ‘기’가 아니라 뜻인 ‘키’를 표시한 글자라는 표시다. ‘키’는 곡식을 까불 때 쓰는 도구.
ㄱ부터 ㅇ까지는 두 글자씩 풀이하고, ㅈ부터 ㅎ까지는 한 글자로만 적은 까닭은 무엇인가.
설명하려면 한글 해설서 <훈민정음>(1446)으로 거슬러 올라가야 한다. <훈민정음>은 종성해(終聲解)에서 ‘여덟 글자로 족히 쓸 수 있다(八字可足用)’고 규정했다. 받침으로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등 자음 8가지로 충분하다는 말이다. 이어 ‘갗(가죽)을 ‘갓’으로 쓰면 된다는 등의 예를 들었다. 한글 표기를 더 쉽게 하기 위한 배려로 이해된다.
ㄱ~ㅇ을 두 글자로 설명한 것은 각각 초성 외에 종성, 즉 받침의 발음도 알려주기 위해서였다. ㅈ~ㅎ 자음은 받침으로 쓰이지 않았다. 그래서 최세진은 이들 자음은 받침 용례 없이 초성 용례만 보여줬다.
맞춤법이 바뀌면서 ㅈ~ㅎ 자음도 받침으로 쓰이게 됐다. 조선어학회는 1933년 한글맞춤법통일안을 만들면서 이들 자음에도 ‘지읒 치읓 키읔 티읕 피읖 히읗’이라는 두 글자 이름을 붙여줬다. 이로써 모든 자음이 두 음절 명칭을 갖게 된다. <훈민정음 종합연구>는 “그리하여 우리가 오늘날 부르고 있는 낱자 이름은 최세진의 훈몽자회에서 설정한 것에 따라 정한 것”이라고 주장한다.
최세진은 자음의 발음을 보여주기 위해 한자를 예로 들었을 뿐이지 자음에 이름을 붙이려고 한 게 아니다. <훈민정음의 사람들>은 “초성자 가운데 종성과 통용하는 8자는 초성과 종성 모두의 보기를 들어 2자의 예를 들었으나 초성 독용의 경우에는 1자의 예만 보였다”며 “따라서 이들을 문자의 명칭으로 보기 어려우나 후대에는 이를 문자의 이름으로 삼게 됐다”고 설명한다.
세종 시대에는 ㄱ을 뭐라고 읽었을까. 작은 실마리가 <훈민정음>에서 자음의 발음을 설명한 부분이다.
ㄱ난 엄쏘리니 君군ㄷ 字 처섬 펴아 나 난 소리 가타니
(※섬에서 ㅅ은 △. 난, 가, 타에는 아래아가 쓰임. 이하 동일)
조사가 실마리다. ‘은는’ 중 ‘는’에 해당하는 ‘난’을 택한 것으로 미루어, ㄱ은 모음으로 끝나는 발음으로 읽었음을 알 수 있다. 예컨대 ‘갗 또는 ‘기’였을지 모른다. 기역이었을 가능성은 크지 않다.
첫째, 이제 의미가 없어진 ‘기역, 니은, 디귿 …’ 대신 간단하게 ‘가나다라마바사아자차카타파하’라고 하면 어떨까?
둘째, 각 자음으로 시작하는 단어 중 소리 내기 쉽고 아름다운 단어를 별명으로 붙이면 어떨까.
<기사 출처 : 아시아경제>
‘기역 니은 디귿 리을 미음 비읍 시옷 이응’은 최세진의 한자학습서 <훈몽자회>(1527년)에서 비롯됐다. 최세진은 이 학습서에 ‘언문자모(諺文字母)’라는 항목을 넣어 한글 체계와 용법을 간단히 설명했다. 그는 자음 여덟 글자와 관련해 다음과 같이 썼다.
ㄱ 其役 ㄴ 尼隱 ㄷ 池末 ㄹ 梨乙 ㅁ 眉音 ㅂ 非邑 ㅅ 詩衣 ㅇ 異凝
이 기록이 ㄱ부터 ㅇ까지 한글 자음의 이름으로 통하게 됐다.
자음과 관련한 표기 중 두 군데가 눈길을 끈다. 하나는 ㄷ과 ㅅ과 관련한 두 글자 末과 衣이다. <훈몽자회> 원문에는 이들 글자가 동그라미 안에 들어 있다. 발음이 아니라 뜻으로 읽으라는 표시다. 末은 귿, 衣는 옷 대신 쓰였다. 귿과 옷 발음의 한자가 없어서 택한 방법이다.
둘째는 池가 당시에 ‘디’로 읽혔다는 점이다. 조선시대 ㄷ 중 상당수가 구개음화를 통해 ㅈ으로 바뀌었다. ㄷ은 모음 i나 반모음 y 앞에 있을 때 ㅈ으로 발음이 변했다. 예컨대 <용비어천가>에 나오는 ‘불휘 기픔 남간 바라매 아니 뮐새 곶 됴코 여름 하나니’ 구절에서 ‘좋고’를 뜻하는 ‘됴코’는 ‘죠코’를 거쳐 조코로 발음이 바뀌었다.
최세진은 ㅋ부터 ㅎ까지는 이렇게 적었다.
키 箕 티 治 피 皮 지 之 치 齒 이 而 이 伊 히 屎,
箕자도 동그라미 안에 넣었다. 발음인 ‘기’가 아니라 뜻인 ‘키’를 표시한 글자라는 표시다. ‘키’는 곡식을 까불 때 쓰는 도구.
ㄱ부터 ㅇ까지는 두 글자씩 풀이하고, ㅈ부터 ㅎ까지는 한 글자로만 적은 까닭은 무엇인가.
설명하려면 한글 해설서 <훈민정음>(1446)으로 거슬러 올라가야 한다. <훈민정음>은 종성해(終聲解)에서 ‘여덟 글자로 족히 쓸 수 있다(八字可足用)’고 규정했다. 받침으로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등 자음 8가지로 충분하다는 말이다. 이어 ‘갗(가죽)을 ‘갓’으로 쓰면 된다는 등의 예를 들었다. 한글 표기를 더 쉽게 하기 위한 배려로 이해된다.
ㄱ~ㅇ을 두 글자로 설명한 것은 각각 초성 외에 종성, 즉 받침의 발음도 알려주기 위해서였다. ㅈ~ㅎ 자음은 받침으로 쓰이지 않았다. 그래서 최세진은 이들 자음은 받침 용례 없이 초성 용례만 보여줬다.
맞춤법이 바뀌면서 ㅈ~ㅎ 자음도 받침으로 쓰이게 됐다. 조선어학회는 1933년 한글맞춤법통일안을 만들면서 이들 자음에도 ‘지읒 치읓 키읔 티읕 피읖 히읗’이라는 두 글자 이름을 붙여줬다. 이로써 모든 자음이 두 음절 명칭을 갖게 된다. <훈민정음 종합연구>는 “그리하여 우리가 오늘날 부르고 있는 낱자 이름은 최세진의 훈몽자회에서 설정한 것에 따라 정한 것”이라고 주장한다.
최세진은 자음의 발음을 보여주기 위해 한자를 예로 들었을 뿐이지 자음에 이름을 붙이려고 한 게 아니다. <훈민정음의 사람들>은 “초성자 가운데 종성과 통용하는 8자는 초성과 종성 모두의 보기를 들어 2자의 예를 들었으나 초성 독용의 경우에는 1자의 예만 보였다”며 “따라서 이들을 문자의 명칭으로 보기 어려우나 후대에는 이를 문자의 이름으로 삼게 됐다”고 설명한다.
세종 시대에는 ㄱ을 뭐라고 읽었을까. 작은 실마리가 <훈민정음>에서 자음의 발음을 설명한 부분이다.
ㄱ난 엄쏘리니 君군ㄷ 字 처섬 펴아 나 난 소리 가타니
(※섬에서 ㅅ은 △. 난, 가, 타에는 아래아가 쓰임. 이하 동일)
조사가 실마리다. ‘은는’ 중 ‘는’에 해당하는 ‘난’을 택한 것으로 미루어, ㄱ은 모음으로 끝나는 발음으로 읽었음을 알 수 있다. 예컨대 ‘갗 또는 ‘기’였을지 모른다. 기역이었을 가능성은 크지 않다.
첫째, 이제 의미가 없어진 ‘기역, 니은, 디귿 …’ 대신 간단하게 ‘가나다라마바사아자차카타파하’라고 하면 어떨까?
둘째, 각 자음으로 시작하는 단어 중 소리 내기 쉽고 아름다운 단어를 별명으로 붙이면 어떨까.
<기사 출처 : 아시아경제>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