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세종로 사거리에서 시민들이 출근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DB) |
LG경제연구원 보고서…"정신건강 관심 급증"
한국인은 자신의 건강 수준에 만족하지 않는 경우가 많지만 실제로 건강을 지키기 위한 노력은 적극적으로 하지 않는다는 분석이 나왔다
LG경제연구원 윤수영 연구위원은 11일 '한국인의 건강 인식' 보고서에서 한국인은 신체적·정신적 건강 상태에 대해 매우 낮게 평가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발표한 '하우즈 라이프(How's life?) 2013' 보고서를 보면 한국 응답자 가운데 자신이 '매우 건강하다' 또는 '건강하다'고 답한 이들은 36.8%였다. 31개국 가운데 일본(30.0%) 다음으로 낮은 30위다.
필립스 건강·웰빙센터가 31개국 4만명을 대상으로 벌인 조사에서도 '나이에 맞게 신체적으로 건강하다고 생각하는가'라는 질문에 한국인 응답자는 21%만 '그렇다'고 답했다.
OECD가 조사한 기대수명과 영아사망률, 비만 인구 비중 등을 보면 한국인의 건강상태가 양호한 수준으로 분석되는 것과 대조되는 모습이다.
건강과 관련된 국민의 관심도 크다.
윤 연구위원은 2004∼2013년 건강·힐링·걷기·유기농 등 50여개 키워드가 포함된 언론기사를 조사한 결과 이런 키워드를 포함한 기사 수가 연평균 10.7%씩 늘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이런 관심에 비해 한국인의 운동 실천율은 높지 않았다.
2012년 국민건강영양조사를 보면 1주일 동안 걷기를 포함한 중등도 이상 신체활동을 실천하지 않은 비율이 53.2%에 달했는데 이 비율은 2009년 이후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외모에 대한 관심도 적지 않다.
2011년 LG경제연구원이 1천800명을 대상으로 벌인 '소비자 라이프스타일' 조사에 따르면 '우리 사회에서는 외모로 호감을 주지 못하면 손해를 본다'는 질문에 전체의 64.9%가 그렇다고 답했다.
'더 나은 외모와 몸매를 위해 성형을 할 수 있다'라는 질문에는 여성의 36.5%, 10대 여성의 52.8%가 그렇다고 답했다.
윤 연구위원은 "한국 사회의 외모 지상주의는 실제보다 스스로를 더 비만이라고 생각하는 결과를 낳는다"며 "특히 젊은 층을 중심으로 운동의 목적을 건강 증진보다 외모 향상에 두는 분위기를 조성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런가 하면 정신건강 측면에서는 자신의 상태에 대한 평가와 객관적인 지표가 모두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
필립스 보고서에서 '얼마나 많은 스트레스를 받는가'라는 질문에 '매우 많이' 또는 '다소 많이'를 택한 한국 응답자는 39%로 전체 평균(33%)을 웃돌았다.
한국이 OECD 국가 가운데 '자살률 1위'라는 지표도 정신건강이 나쁘다는 것을 보여준다.
정신건강에 대한 관심도 크게 늘고 있다.
우울증·알코올중독 등을 스스로 검진할 수 있는 정신건강 자가잔단 앱(App)이 등장하거나 심리상담을 통해 임직원의 정신건강 관리에 나서는 기업이 늘어나는 것도 비슷한 맥락이다.
윤 연구위원은 "한국인은 스스로 건강과 외모를 과소평가하고, 밖으로 보이는 것에 신경쓰는 경향이 있다"며 "이는 어느 나라보다 치열한 한국의 경쟁사회를 반영한 현상이며 정신적인 안정과 치유에 대한 관심과 높은 자살률 등 사회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이어 "건강에 대한 한국인의 관심이 더 실질적인 건강 증진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방송·신문 등 정보채널과 기업·소비자 모두 노력해야 한다"고 전했다.
<기사 출처 : 연합뉴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