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이 되면 코를 훌쩍거리거나 콜록거리는 사람들이 부쩍 많아진다. 감기는 기온이 아닌 바이러스에 의해 유발되는 질환임에도 불구하고, 기온이 내려가면 감기에 걸린 사람들이 늘어난다. 기온과 감기는 무슨 상관관계에 놓여 있는 것일까.
전문가들은 겨울철 약해진 면역력이 감기에 걸릴 확률을 높이는 것으로 보고 있다. 면역력이 떨어져 감기 바이러스가 침투하기 쉬운 체내 환경이 마련된다는 것이다.
최근 미국 예일대학교 의과대학의 동물 실험이 이러한 이론을 뒷받침한다. 차가운 공기에 노출되면 체온이 떨어지고, 면역시스템의 기능이 약화된다. 이때 일반적인 코감기의 원인이 되는 리노바이러스가 체내에 침투하기 수월해진다.
이번 연구의 공동연구자인 면역생물학과 아키코 이와사키 교수는 “리노바이러스는 차가운 온도에서 자가 복제를 더 잘하는 성질이 있다”며 “37도의 환경보다 33도의 환경에서 바이러스가 더 쉽게 번식한다는 점을 발견했다”고 말했다.
이어 “쥐의 기도 세포를 이용해 온도 차이에 따른 바이러스 번식 실험을 진행했다”며 “이 바이러스가 왜 차가운 온도를 선호하는지의 여부에 대해서는 아직 밝혀진 바가 없다”고 설명했다.
체내 온도와 바이러스 침입 사이의 연관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연구팀은 쥐의 세포를 온도가 서로 다른 두 공간에서 배양했다. 한 세포 그룹은 폐의 심부체온인 37도에서 배양했고, 또 다른 세포 그룹은 코의 온도와 비슷한 33도에서 배양했다.
그 결과, 온도 자체가 바이러스 번식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다. 하지만 기온에 따라 세포의 바이러스에 대한 면역 반응에는 차이가 생겼다. 37도에서는 바이러스에 강한 면역 반응을 보인 반면, 33도에서는 면역 반응이 좀 더 약했다. 즉 온도가 낮아지면 면역시스템이 바이러스의 자기복제를 막는 방어 능력이 떨어진다는 것이다.
이와사키 교수는 “야외에서 차가운 공기를 들이마시면 콧속 온도가 내려간다”며 “이로 인해 바이러스의 복제 능력이 향상되고 감기가 생기게 된다”고 말했다.
또 “단 이번 연구는 조직 배양 접시에서 이뤄졌다”며 “살아있는 동물을 직접 차가운 공기에 노출시켜 진행한 실험은 아니었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즉 이번 실험을 통해 추운 날 감기에 잘 걸리는 이유를 추측해볼 수는 있지만 아직 명확히 밝혀진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리노바이러스는 종류만도 100가지가 넘는다. 또 날이 추워지면 야외활동이 줄어들고, 좁은 실내 공간에서 많은 사람들이 함께 생활하는 시간이 늘어나 이러한 환경 여건도 감기에 걸릴 확률을 높이는 원인일 수 있다. 이번 연구는 ‘미국국립과학원회보(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에 발표됐다.
전문가들은 겨울철 약해진 면역력이 감기에 걸릴 확률을 높이는 것으로 보고 있다. 면역력이 떨어져 감기 바이러스가 침투하기 쉬운 체내 환경이 마련된다는 것이다.
최근 미국 예일대학교 의과대학의 동물 실험이 이러한 이론을 뒷받침한다. 차가운 공기에 노출되면 체온이 떨어지고, 면역시스템의 기능이 약화된다. 이때 일반적인 코감기의 원인이 되는 리노바이러스가 체내에 침투하기 수월해진다.
이번 연구의 공동연구자인 면역생물학과 아키코 이와사키 교수는 “리노바이러스는 차가운 온도에서 자가 복제를 더 잘하는 성질이 있다”며 “37도의 환경보다 33도의 환경에서 바이러스가 더 쉽게 번식한다는 점을 발견했다”고 말했다.
이어 “쥐의 기도 세포를 이용해 온도 차이에 따른 바이러스 번식 실험을 진행했다”며 “이 바이러스가 왜 차가운 온도를 선호하는지의 여부에 대해서는 아직 밝혀진 바가 없다”고 설명했다.
체내 온도와 바이러스 침입 사이의 연관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연구팀은 쥐의 세포를 온도가 서로 다른 두 공간에서 배양했다. 한 세포 그룹은 폐의 심부체온인 37도에서 배양했고, 또 다른 세포 그룹은 코의 온도와 비슷한 33도에서 배양했다.
그 결과, 온도 자체가 바이러스 번식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다. 하지만 기온에 따라 세포의 바이러스에 대한 면역 반응에는 차이가 생겼다. 37도에서는 바이러스에 강한 면역 반응을 보인 반면, 33도에서는 면역 반응이 좀 더 약했다. 즉 온도가 낮아지면 면역시스템이 바이러스의 자기복제를 막는 방어 능력이 떨어진다는 것이다.
이와사키 교수는 “야외에서 차가운 공기를 들이마시면 콧속 온도가 내려간다”며 “이로 인해 바이러스의 복제 능력이 향상되고 감기가 생기게 된다”고 말했다.
또 “단 이번 연구는 조직 배양 접시에서 이뤄졌다”며 “살아있는 동물을 직접 차가운 공기에 노출시켜 진행한 실험은 아니었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즉 이번 실험을 통해 추운 날 감기에 잘 걸리는 이유를 추측해볼 수는 있지만 아직 명확히 밝혀진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리노바이러스는 종류만도 100가지가 넘는다. 또 날이 추워지면 야외활동이 줄어들고, 좁은 실내 공간에서 많은 사람들이 함께 생활하는 시간이 늘어나 이러한 환경 여건도 감기에 걸릴 확률을 높이는 원인일 수 있다. 이번 연구는 ‘미국국립과학원회보(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에 발표됐다.
<기사 출처 : 코메디닷컴>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