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국제통화기금 IMF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국제통화기금 IMF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5년 12월 29일 화요일

오일머니 ‘흔들’ 세계 경제 ‘미끌’… 끝없는 국제유가 하락 후폭풍



“세계 최대 원유 생산국인 사우디아라비아가 균형재정을 유지하기 위해선 국제유가가 106달러를 유지해야 한다. 50달러대 유가로는 대규모 적자로 인해 사우디 재정이 5년 안에 무너질 것이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지난 10월 지역경제보고서에서 유가 하락에 따른 사우디, 오만, 바레인 등 중동 산유국의 현금 고갈 사태를 경고했다. 수년간 고유가 행진으로 오일머니를 축적한 중동국가들은 인프라 투자를 확대하고, ‘아랍의 봄’ 이후 민심을 달래기 위해 복지를 확충하면서 재정지출을 크게 늘렸다. 하지만 유가 급락으로 더 이상 재정지출을 감당하기 어려워지자 신흥국을 중심으로 투자금을 회수하는 등 허리띠를 졸라매고 있다. 사우디는 내년 긴축에 돌입할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상황은 1980년대 중반 저유가 시대를 떠오르게 한다. 당시에도 30달러 선이던 유가가 한 자릿수로 떨어지는 저유가가 이어졌다. 당시 저유가는 ‘3저 호황(저유가·저달러·저금리)’ 요소 중 하나로 한국 산업 성장을 불러왔다.

지난해 초까지만 해도 배럴당 100달러대를 고수했던 유가는 바닥 모르고 떨어져 현재 배럴당 30달러 선으로 내려왔다. 곧 이마저 무너져 20달러대로 내려앉을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이제는 저유가가 호황의 요소가 아니라 위협이 되고 있다.

성장기였던 80년대와 달리 글로벌 경제 상황이 좋지 않기 때문이다. 미국 경기가 살아나는 신호를 보이고 있다고는 하지만 과거에 비해 미약하다. 한국의 주요 수출국인 중국도 신통치 않다. 유럽 역시 불황의 그늘을 완전히 벗어나지 못했다. 수요가 없는 상태에서 그나마 건설시장에서 큰손 역할을 하던 산유국들마저 저유가 때문에 손을 떼고 있다. 이렇게 원유값이 낮은 기간이 길어질수록 조선·해운·석유화학 산업도 타격을 피하기 어려워진다.

하이투자증권 강재연 연구원은 “산유국들이 저유가로 재정이 고갈되고 긴축에 착수하면서 글로벌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전망”이라며 “복지 확대 차원에서 지속적으로 투자했던 사업까지 줄이면 한국, 일본, 중국 등의 건설사업 수주 위축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중동 국부펀드들의 자금회수 역시 불안요소다. 곳간이 바닥나게 생긴 중동 국부펀드들이 자금회수에 나서면서 글로벌 금융시장이 흔들릴 위험에 처했다. 파이낸셜타임스(FT)가 시장조사업체 이베스트먼트를 인용한 보도에 따르면 올해 3분기에만 중동 국부펀드들이 자산운용사에서 거둬들인 자금이 최소 190억 달러(약 22조1000억원)에 이른다. 6720억 달러 규모의 자산을 운용하는 세계 4위 국부펀드 사우디통화청(SAMA)은 올해 약 700억 달러의 투자금을 회수했다. 한국에서도 9∼11월 사우디 투자자금이 3조원 넘게 빠져나갔다.

직접적인 자금 회수만이 아니라 다른 신흥국을 경유해 오는 간접 영향도 한국경제에 그늘을 드리울 수 있다. 고유가 시기 높은 금리를 좇아 신흥국 투자를 늘렸던 산유국들은 원자재 가격 하락 등으로 인해 흔들리는 신흥국에서 발을 빼고 있다. 최근 한국은행은 금융안정보고서에서 신흥국 경제 불안이 커지면 한국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분석을 내놨다. 한국이 신흥국에 수출하는 규모가 예전보다 커졌고, 자본거래 역시 활발해지는 등 상호 연계성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한때 200달러를 호가했던 고유가 시대가 다시 오기는 힘들 것으로 보인다. 근본적으로 유가 하락세를 멈추기 위해 공급 과잉을 막아야 하지만 쉽지 않다. 석유수출국기구(OPEC)가 지난 4일 내년도 감산을 논의했으나 합의에 실패했다. 원유 매장량 4위 국가인 이란까지 공급에 가세할 예정이다. 핵 개발 의혹으로 경제 제재 조치를 받고 있는 이란은 제재가 풀리자마자 원유 수출에 나서겠다고 벌써부터 공표하고 있다.

미국도 변수다. 미국은 40년 만에 원유수출 규제를 폐지했다. 당장엔 영향이 미미할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지만 장기적으로는 공급 확대가 유가에 영향을 줄 수도 있다. 미국 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달러 강세도 악재다. 일반적으로 달러가 강해지면 원유 가격은 약세를 보여 왔다. 내년에도 미국 금리 인상이 예정돼 있어 달러 강세에 따른 유가 하락이 이어질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기사 출처 : 국민일보>

2015년 12월 17일 목요일

<美 금리인상> "돈 파티는 끝났다"…주식·부동산 버블 꺼지나


(AP=연합뉴스)
미국이 9년 만에 처음으로 기준금리 인상을 단행했다. 

그간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양적완화 정책으로 유동성이 넘치면서 주식과 부동산 시장이 활황을 누렸지만, 이번 금리 인상과 함께 자금이 한꺼번에 빠질 우려가 커졌다.

이미 북미지역 주식시장을 중심으로 자금유출이 확대하고 있으며 글로벌 부동산 가격도 불안한 행보를 보이고 있다.

◇ '불안한 주식시장' 북미 증시서 일주일새 10조원 유출

금리인상을 앞두고 미국을 포함한 북미 증시에서는 일주일 만에 90억 달러가 빠져나갔다.

시장정보업체 이머징포트폴리오펀드리서치(EPFR)와 삼성증권 따르면 3∼9일 사이 북미 증시에서는 90억4천400만 달러(약 10조6천억원)가 빠져나갔다.

연초부터 지금까지 따지면 총 유출액은 1천336억7천800만 달러에 달한다.

신흥국 증시에서도 6주 연속으로 자금유출 현상이 일어났고 이달 3∼9일 일주일간 총 17억1천600만 달러가 유출됐다.

특히 아시아 지역에서 외국인 매도세가 두드러졌다.

지난주 한국 증시에서는 7억9천800만 달러, 대만에서는 7억2천만 달러, 인도와 태국에서도 각각 4억9천만 달러, 6천500만 달러의 외국인 자본이 빠졌다.

이는 지난 6년간 세계 각국의 경쟁적인 양적완화로 전 세계 주식시장이 유동성을 과도하게 공급받았던 반작용으로 풀이된다.

전 세계 주식시장 시가총액은 2008년 말 32조 달러에서 최근 64조 달러까지 치솟아 2배로 늘었다.

올해 이미 '버블' 논란으로 폭락을 경험한 중국 증시 시가총액은 이 기간에 4배로 늘어 7조5천억 달러를 기록했다.

미국 증시도 같은 기간 11조6천억 달러에서 26조1천억 달러로 뛰었다.

단기간에 부풀었던 주식시장에서 최근 빠른 자금유출 현상이 확인되면서 버블 붕괴가 오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AFP=연합뉴스)
미국에서는 지난 2000년에도 저금리 현상 덕분에 기술주에 돈이 몰리면서 '닷컴 버블'이 형성됐다가 곧 버블 붕괴를 경험한 바 있다.

전문가들은 미국 금리 인상 시기마다 주식은 오히려 상승했다고 강조하면서도 일시적인 급락 가능성은 있다고 덧붙였다.

◇ 제2의 서브프라임 올까…부동산 버블 우려도 커져

런던·홍콩·뉴욕 등 세계 각국 주요도시의 부동산 가격도 천정부지로 치솟아 버블 우려를 키우고 있다.

최근 1년 새 영국 런던의 부동산 가격은 하루에 120파운드, 한화로 21만원 꼴로 상승했으며, 홍콩에서는 주택공급 부족으로 청년층의 불만이 커지고 있다.

미국에서는 상업용 부동산의 가격이 2008년 서브프라임모기지 사태 직전 수준보다도 16% 올랐다.

여기에 상업용 부동산 대출 규모가 지난달 1조7천600억 달러에 육박하면서 역대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스탠리 피셔 연준 부의장과 에릭 로젠그렌 보스턴 연준은행장은 상업용 부동산 시장의 버블 가능성을 시사하며 우려를 표했다.

이 같은 부동산 가격 급등 현상은 세계 곳곳에서 일어나고 있다.

국제통화기금(IMF)에 따르면 글로벌 주택가격 지수는 올해 1분기는 151.31로 금융위기 직전인 정점을 기록했던 2008년 1분기 159.88 수준에 육박하고 있다.

임금이나 물가가 오르는 속도를 고려하더라도 부동산 가격이 터무니없이 빠르게 치솟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명목 가처분소득 대비 주택 가격 지수' 통계에 따르면 OECD 회원국의 소득 대비 주택 가격 비중은 3년 새 6.2% 올라 2분기에는 101.11를 나타냈다.

부동산 가격이 실질 가치 상승이나 임금 상승에 힘입은 것이 아니라 각국의 양적완화 효과에 따른 것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부동산 시장 역시 안전하다고 보기 어렵다.

스탠더드차타드(SC)는 최근 보고서를 통해 홍콩과 싱가포르의 부동산 시장이 버블 상태라며 향후 2∼3년 안에 홍콩의 부동산 가격은 최대 20%, 싱가포르는 10% 하락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기사 출처 :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