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6년 2월 24일 수요일

고3 남학생, 10년 전보다 키 줄었다

평균 0.1㎝ 줄어 성장 정체
초·중·고 몸무게 소폭 늘었지만 고도비만율은 두 배 이상 증가




초등학생과 중학생은 해마다 조금씩 키가 커지고 있지만 고등학생은 성장세가 멈춘 것으로 나타났다. 초·중·고교생 고도비만율이 10년 전보다 두 배 이상으로 늘어났다.

교육부는 지난해 4~9월 전국 초·중·고 764개교 8만4815명을 대상으로 시행한 ‘2015년 학생 건강검사 표본분석’ 결과를 24일 발표했다.

초등학교 6학년 남학생의 키는 평균 151.4㎝, 여학생은 151.9㎝로 2005년보다 각각 2.3㎝, 1.6㎝ 커졌다. 중학교 3학년 남학생과 여학생 키는 각각 169.7㎝와 159.8㎝로 10년 전보다 1.2㎝와 0.5㎝ 커졌다. 그러나 고등학교 3학년 남학생은 173.5㎝로 2005년(173.6㎝)보다 0.1㎝ 작아졌다. 고3 남학생은 2013년 이후 173.5㎝에서 변화가 없어 성장이 정체된 것으로 교육부는 분석했다.

평균 몸무게는 초6 남학생 46.6㎏, 여학생 45.2㎏, 중3 남학생 62.3㎏, 여학생 54.4㎏, 고3 남학생 69.4㎏, 여학생 57.1㎏ 등으로 10년 전보다 조금씩 늘었다. 학생 전체 비만율도 15.6%로 전년보다 0.6%포인트 증가했다. 특히 고도비만율이 10년 전 0.78%의 두 배를 넘는 1.6%로 나타났다. 고도비만이란 표준체중 대비 초과 정도가 50% 이상인 경우를 말한다. 지역별로는 농어촌 지역 학생의 비만율이 남녀 초·중·고교생 모두 도시 지역보다 높게 나타났다. 특히 농어촌 지역 고등학생 비만율은 20%를 기록했다.

1주일에 한 번 이상 햄버거와 피자 등 패스트푸드를 먹는 비율은 초등학생 62.9%, 중학생 74.9%, 고등학생 76.6%로 전년도 61.4%, 72.1%, 74.3%보다 모두 증가했다.

하루 2시간 이상 인터넷이나 게임을 하는 학생 비율은 초등학생 14.9%, 중학생 29.7%, 고등학생 19.9%였다. 주 3일 이상 숨이 차거나 땀이 날 정도로 운동하는 학생 비율은 초등학생 57.0%, 중학생 36.5%, 고등학생 25.6%였다. 운동하는 학생 비율은 2011년 이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기사 출처 : 한국경제>

2015년 11월 22일 일요일

"키는 안 크고, 두드러기에 디스크까지" 소비자주의

[공정위, 허위·과장광고 심한 키성장 보조식품·운동기구에 대한 소비자 피해주의보 발령]
본문이미지
키가 클 수 있다는 말에 키성장 제품을 구매했지만, 효과는커녕 두드러기와 디스크증세를 보이는 사례가 늘어 소비자들의 주의가 요구된다. 

공정거래위원회는 22일 허위·과장광고가 심한 키성장 보조식품과 운동기구 등에 대한 피해주의보를 발령했다. 공정위에 따르면 키성장 제품 관련 소비자피해 접수 건수는 2013년 23건, 2014년 100건, 올해 123건으로 점점 늘어나고 있다. 초등·중학교 겨울방학이 다가오면서 키성장 제품에 대한 허위·과장광고는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공정위는 "키성장 보조식품이나 운동기구가 그 효능이 입증되지 않은 경우가 많고 부작용이나 반품거부 등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B씨는 키 성장에 효과가 있다는 광고와 상담내용을 믿고 제품을 구매했지만 4개월이 지나도 아무 효과가 나타나지 않아 반품을 요구했다. C씨는 키성장 운동기구를 아이와 함께 사용했는데 아이는 염좌가 생기고 본인은 디스크 협착증세가 발생하는 부작용을 겪었다. E씨는 아이에게 보조식품을 먹이자 두드러기가 발생해 공정위에 신고했다. 

이밖에 문제가 있는 제품을 대상으로 지난해 12월 식약처가 판매중단, 회수명령을 내렸지만 해당업체 관계자나 영업사원과 연락이 닿지 않는 경우도 있었다. 환불을 요청하자 환불은 불가능하고 다른 제품으로 교환만 가능하다는 업체도 있었다. 중소업체가 개발·제조하고 유명 제약 회사가 명의만 빌려준 사실도 적발됐다. 

공정위는 "효능·효과가 검증되지 않은 키성장 보조식품과 운동기구가 많으므로 지나친 과장광고에 현혹되지 말아야 한다"고 주의를 당부했다. 특허를 받은 사실이나 임상실험 결과를 강조하면서 마치 키성장 효과가 입증된 것처럼 광고하고, 객관적인 입증자료도 없이 성장호르몬, 성장인자 등이 증가해 키성장에 효과가 있다고 광고하는 업체가 있었다. 운동기구의 경우 성장점 자극을 통해 실제 키성장 효과가 나타났다고 홍보했다. 

소비자는 제품을 구입할 때 미리 식약청, 의사 등 전문가와 상담하거나 소비자 상담센터(1372) 등에 연락해 제품의 피해 사례가 있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 유명 제약회사가 단순히 수수료만 받고 이름만 빌려주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제조원을 정확히 확인한 뒤 구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구입한 뒤에는 반품해야 할 경우를 대비해 환불 규정을 사전에 꼼꼼히 확인하고 관련 영수증이나 증서 등을 보관할 것을 권장한다. 

공정위 관계자는 "키성장 보조식품, 운동기구에 관련한 부당 광고행위 전반에 대한 조사를 현재 마무리 중에 있다"며 "내년 초 중대한 위반사업자들에 데해 시정명령 등을 처분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기사 출처 : 머니투데이>

2015년 10월 21일 수요일

"자녀 키, 아들 175·딸 165㎝ 이상은 돼야"



소아내분비학회 조사결과…"자녀 식습관, 운동, 수면관리에 힘써야"

우리나라 부모들은 자녀의 이상적인 키로 아들은 175㎝ 이상, 딸은 165㎝ 이상을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소아내분비학회(회장 김호성)는 '바른 성장' 캠페인의 하나로 전국 19개 병원 소아청소년과를 찾은 환자의 보호자 1천370명을 대상으로 인식조사를 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1일 밝혔다.

부모들이 이상적으로 여기는 아들의 최종 키는 175㎝ 이상~180㎝ 미만이 46.6%로 가장 많았으며, 180㎝ 이상도 42.7%나 됐다.

반면 딸은 165㎝ 이상~170㎝ 미만 54.6%, 160㎝ 이상~165㎝ 미만 36.5%로 각각 집계됐다.

이 같은 기대치는 국내 20대 남녀 평균 신장인 174.1㎝, 161.6㎝를 웃도는 것이다.

부모들은 자녀의 최종 키가 작을 때 우려되는 점으로 '구직 활동 등 사회생활에서의 차별'(72%), '친구 및 이성 교제 등 대인관계' (61%) 등을 꼽았다.

자녀의 성장 관련 문제를 대처하는데 어려움으로는 정보부족(51.8%), 경제적인 부담(30.8%) 등의 응답이 많았다.

식습관과 관련한 걱정으로는 편식으로 인한 영양 불균형(44%), 식사량 부족(26.2%), 패스트푸드 및 길거리 음식 섭취(23.5%) 등의 순이었다.

학회는 ▲ 하루 8시간 이상 푹 자기 ▲ 하루 30분 이상 운동하기 ▲ 스마트폰, 컴퓨터, TV 사용 줄이기 ▲ 하루 30분 이상 햇볕 쬐기 ▲ 하루 세끼 꼭 챙기기를 '바른 성장을 위한 5계명'으로 제안했다.

양승 학회 홍보이사는 "자녀의 키 성장에 대해 부모들이 필요 이상의 걱정이나 불안감을 느끼지 않도록 하는 인식 개선이 필요하다"면서 "키가 남들보다 크면 좋겠다는 생각 대신 자녀의 키 성장이 방해되지 않도록 식습관, 운동, 수면관리에 힘쓰고 성장기 동안 자녀의 키를 정기적으로 측정하는 습관을 가지는 게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기사 출처 :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