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폭염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폭염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6년 9월 13일 화요일

전기료 폭탄 현실로

871만 가구, 지난달 요금 7월보다 50% 이상 늘어


기록적인 폭염으로 인한 ‘전기요금 폭탄’ 우려가 현실로 나타났다.

한국전력은 지난 8월 전기요금이 전월인 7월보다 50% 이상 늘어난 가구가 871만 가구로 집계됐다고 13일 밝혔다. 통상 한여름인 8월 냉방기기 수요가 많아져 7월보다 사용량과 요금이 증가하는 것을 감안해도 이를 웃도는 수치다. 작년에는 7월 대비 8월 전기요금이 50% 늘어난 가구가 504만 가구로, 올해보다 367만 가구 적었다.

전기요금이 늘어난 가구 중 요금을 10만원 이상 더 낸 가구는 60만2,000가구(6.9%)로, 평균 요금은 17만2,000원이었다. 지난해와 비교하면 8,000원 정도 더 많이 냈다. 금액별로는 10만~20만원을 더 낸 가구가 45만8,000가구, 20만~30만원 더 낸 가구 10만4,000가구, 30만원 이상 더 낸 가구가 4만 가구다. 

다만 올해 한시적인 누진제 완화정책 시행으로 지난해보다 가구당 돌아가는 혜택은 커졌다. 지난달 가구당 평균 전기요금 할인액은 9,110원으로, 전년보다 6,280원 늘었다. 253만 가구는 오히려 전기요금을 덜 낸 것으로 나타났다. 

한전 관계자는 “올해는 폭염 기간이 길어 전년도보다 요금이 증가한 가구 수가 늘었다”면서도 “여름철 전기요금 할인 효과로 8월 대비 지난달 사용량 증가율(12.7%)과 요금 증가율(12.8%)은 큰 차이가 없었다”고 말했다.
<기사 출처 : 한국일보>

2016년 7월 30일 토요일

찜통더위에 밤새 켜놨다가 '펑'…선풍기·에어컨 화재 가능성

5년 간 선풍기·에어컨 불 380건…7명 사망·33명 부상
사용 전 제품 점검·청소 필수…"야간엔 타이머 기능 이용"
연일 30도를 웃도는 폭염이 이어지면서 선풍기와 에어컨 등 냉방기기 사용이 급증한다. 하지만 무턱대고 사용하다 화재 등 예기치 않은 사고를 초래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냉방기기 화재는 대부분 관리 부실이나 잘못된 사용에서 비롯된다. 전문가들은 특정 시기에만 사용하는 가전제품일수록 사용 전 반드시 점검하고, 이용 수칙을 준수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지난 26일 오전 10시 40분께 충북 청주시 흥덕구 운천동의 한 4층짜리 상가 건물에서 불이 나 이곳에 있던 주민 5명이 긴급 대피했다.
다행히 인명 피해는 없었지만 건물 내부 120㎡가 불에 타 2천300만원(소방서 추산)의 재산피해가 났다.
불은 3층에 사는 이모(54·여)씨의 집에서 시작됐다. 이른 아침부터 푹푹 찌는 날씨에 켜놓은 선풍기가 문제였다.
별 생각 없이 서너 시간 동안 계속해 켜놓은 선풍기에서 갑자기 '펑'하는 소리와 함께 불꽃이 튀며 화재가 시작됐다는 게 이씨 가족의 설명이다.
경찰은 낡은 선풍기의 모터가 장시간 사용으로 과열되면서 불이 난 것으로 보고 있다.
지난달 23일 오후 10시께 경기도 여주시 능서면의 한 단독주택에서도 사용 중인 선풍기가 터지면서 불이 나 40대 지체 장애인 1명이 안타깝게 목숨을 잃었다.
이곳에 사는 하모(49)씨는 20여 년 전 출근길 오토바이 사고로 목을 다쳐 전신마비 장애가 있었다.
사고는 하씨의 활동 보조인이 음식을 사기 위해 잠깐 외출한 사이 벌어졌다.
하씨의 침대 주변에 놓인 선풍기에서 시작된 불이 집 내부로 번진 것이다. 하씨는 온 힘을 다해 활동 보조인과 119에 불이 난 사실을 알렸다.
하지만 소방대가 도착해 불길을 잡고 집 안을 살펴봤을 때 하씨는 이미 숨진 뒤였다.
지난달 9일 오후 9시 7분께 인천시 남동구 논현동의 한 상가 건물에서 발생한 불은 에어컨 실외기가 원인이었다.
이 건물 7층 외벽에 설치된 에어컨 실외기에서 원인을 알 수 없는 불이 나 26분 만에 진화됐다.
이 불로 건물 8∼9층 요양원에 머물던 직원과 노인 등 29명이 연기를 흡입해 인근 병원으로 옮겨졌다. 다행히 모두 생명에는 지장이 없었다.
경찰과 소방당국은 에어컨 실외기 쪽에서 불길이 치솟았다는 목격자 진술 등을 토대로 화재 원인을 조사하고 있다.
해마다 여름철만 되면 냉방기기가 원인을 제공하는 화재가 끊이지 않는다.
30일 국민안전처에 따르면 2011년부터 지난해까지 선풍기와 에어컨에서 발생한 화재는 모두 380건에 이른다. 이 사고로 7명이 숨지고, 33명이 다쳤다.
소방당국에 신고가 들어오지 않은 경미한 화재까지 포함하면 실제 발생 건수는 이보다 훨씬 더 많을 것이라는 게 국민안전처의 설명이다.
화재 발생 장소는 주거 공간이 가장 많았고 편의점, 미용실, 상점, 고시원 등 소규모 다중이용시설이 뒤를 이었다.
대부분 일상적인 생활이 이뤄지는 공간이어서 작은 화재가 자칫 대형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선풍기 화재 원인은 모터 과열 또는 과부하, 모터 품질 불량, 전기적 요인 등이 꼽힌다.
전문가들의 조언을 종합하면 오래된 선풍기는 모터에 이상이 없는지 반드시 점검 뒤 사용해야 한다. 비교적 새 선풍기라도 겨우내 사용하지 않던 것을 꺼내 쓸 때에는 먼지를 충분히 제거하고, 새용 중 모터 부분이 뜨겁게 느껴지면 즉시 사용을 중단해야 한다.
에어컨은 실외기의 전기합선과 모터의 열 축적으로 주로 불이 난다.
따라서 실외기 전선이 낡거나 벗겨졌는지 점검하고, 제때 교체해줘야 한다. 실외기 모터의 열이 불을 일으킬 수 있으니 주변에 쌓인 먼지나 낙엽, 쓰레기 등을 수시로 제거해줘야 한다.
한 소방 관계자는 "요즘처럼 열대야가 극성을 부리는 시기에는 잠을 자는 동안에도 냉방기기 사용이 늘어 주의를 기울이기 어렵다"며 "타이머 기능을 적절히 활용하는 것이 화재 사고 예방에 효과적"이라고 조언했다.
<기사 출처 :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