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상추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상추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6년 1월 18일 월요일

고사리, 상추 '잔류농약 덩어리'…"잘 씻어 먹어야"


(사진=스마트이미지 제공)고사리와 상추, 고구마 등 채소류 안전에 비상이 걸렸다. 겨울철 이상 고온과 일조량 부족 등으로 해충 발생이 늘면서 잔류농약이 기준치를 크게 넘어선 것으로 드러났다.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이 지난해 국내산 농산물 9만건을 수거해 잔류농약과 중금속, 방사능 오염 등을 조사한 결과, 1.4%인 1,232건이 부적합 판정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 2011년 1.8%, 2012년 1.5%에 비해선 줄어든 것이지만 2014년 1.3% 보다는 늘어난 것이다.

특히, 고사리와 두릅 등 산채류의 경우 전체 조사 대상 1,531건 가운데 6.5%에서 잔류농약과 중금속이 기준치를 초과했다.

또한, 상추와 쑥갓 등 엽경채류의 경우도 1만 3,664건 가운데 4.0%가 잔류농약 과다 검출로 부적합 판정을 받았다.

고구마와 감자 등 근채류는 부적합률이 3.3%, 약용작물류는 3.2%, 양채류는 2.6%로 나타났다.

농관원 관계자는 "지난해 동절기에 기온 상승과 일조량 부족 등 일기불순이 이어지면서 시설재배 채소를 중심으로 농약 사용이 많았던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특히, 작은 면적에서 재배되는 작물을 중심으로 부적합률이 높았던 것으로 분석됐다. 이는 농가들이 관행적으로 다른 작물에 사용하는 농약을 사용하는 경향이 많기 때문으로 보인다.

유해물질별로는 잔류농약조사 부적합률이 1.7%로 상대적으로 높았고, 중금속조사 부적합률은 0.4%인 반면, 방사능핵종과 곰팡이독소, 병원성미생물 등은 부적합 사례가 없었다.

농관원은 잔류허용기준을 초과한 농산물에 대해선 현장에서 폐기조치하거나 출하연기, 용도전환 등을 통해 시중에 유통되지 않도록 조치했다고 밝혔다.

한편, 농림축산식품부는 18일 '2016년 농산물 등 안전관리 추진계획'을 확정 발표했다.

먼저, 최근 3년간(2013년~2015년) 생산, 유통 단계 안전성조사에서 2차례 이상 부적합판정을 받은 생산 농가에 대해선 중점 관리대상 농가로 지정해 별도 관리할 방침이다.

또, 학교급식전자조달시스템(eaT)의 공급업체를 대상으로 식약처와 지자체, 농수산식품유통공사 등 유관기관과 합동으로 특별조사를 실시할 계획이다.
<기사 출처 : CBS노컷뉴스>

2015년 12월 16일 수요일

"상추가 베이컨보다 환경에 3배나 더 나빠"


상추(연합뉴스 자료사진)
건강을 챙기느라 육식을 줄이고 채식 위주의 식단을 짜면 환경에는 더 안 좋을 수도 있다.

영국 일간 텔레그래프와 데일리메일은 상추가 베이컨보다 3배 더 많은 온실가스를 배출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고 15일(현지시간) 전했다.

단, 같은 칼로리를 섭취할 수 있는 양을 기준으로 했을 때다.

미국 카네기멜론 대학 연구팀은 특정 음식이 1천 칼로리의 열량을 생산하는 전체 과정, 즉 성장, 가공, 운송, 판매, 보관 등에서 쓰이는 에너지, 물과 여기서 배출되는 온실가스 양을 조사해 비교했다.

상추는 열량이 매우 낮아서 훈제 베이컨 한 장으로 섭취할 수 있는 칼로리를 얻으려면 거의 한 포기를 먹어야 한다.

부피가 큰 상추를 수송하려면 칼로리당 온실가스 배출량이 베이컨보다 클 수밖에 없다.

쉽게 상하는 상추 특성상 그냥 버리는 경우가 많은 것도 온실가스 배출이 늘어나는 이유다.

베이컨(연합뉴스 자료사진)
가지, 오이, 셀러리도 온실가스 배출량이 돼지고기나 닭고기보다 더 많은 채소로 분류됐다.

반면 베이컨과 비교해 양배추는 5분의 1, 브로콜리는 절반 수준의 온실가스만 생산했다.

육류끼리 비교하면 소고기와 양고기가 돼지고기나 닭고기보다 온실가스 배출량이 훨씬 많았다.

전반적으로 볼 때 미국인들이 현재 수준의 칼로리 섭취를 유지하면서 음식만 소위 '건강식'으로 모두 바꾸면 에너지 사용은 43%, 물 사용은 16%, 온실가스 배출은 16% 늘어나는 것으로 추산됐다.

연구에 참가한 박사과정학생 미셸 톰은 "건강에 좋다고 환경에도 좋은 것은 아니다"며 "건강 식단 지침을 짜는 관계자들이 이런 상쇄관계를 알고 염두에 둬야 할 것"이라고 권고했다.

연구 결과는 학술지 '환경 시스템과 결정'에 실렸다.
<기사 출처 :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