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중년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중년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6년 1월 3일 일요일

중년 '혼밥남'이 늘어난다

티몬, 작년 1~11월 조사
즉석밥 사는 50대 이상 남 > 여



가족과 떨어져 사는 ‘기러기 아빠’ 등이 증가하면서 간편식품을 구입하는 50대 이상 ‘혼밥남(혼자 밥을 먹는 남자)’이 늘고 있다.

소셜커머스 티몬에 따르면 지난해 1~11월 라면, 반찬, 참치, 즉석밥 등 간편식품을 사는 50대 남성이 크게 증가해 같은 연령대의 여성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라면, 반찬, 참치, 즉석밥 등 간편식품을 구매하는 50대 여성의 구매금액을 100으로 놨을 때 50대 남성의 구매금액이 각각 17%, 12%, 7%, 16% 많았다. 2013년 여성 구매액의 14~70%에 그쳤던 것과 비교하면 두드러진 증가세다.

티몬 등 소셜커머스업체 매출의 70% 이상을 여성이 차지하고, 20~40대에서는 여성의 간편식품 구매액이 남성의 두 배라는 사실을 고려해도 특이한 현상이라고 티몬은 설명했다.

한번에 구매하는 양도 50대 남성이 여성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11월 남성들이 라면, 반찬, 참치, 즉석밥 등 간편식품을 구입할 때 사용하는 금액은 평균 2만9488원으로 여성(2만4753원)보다 12%가량 높았다. 남성들은 늘 먹는 제품을 한꺼번에 많이 사는 경향이 있어 평균 구매액이 높다고 티몬은 설명했다. 전체 매출에서 50대 이상 남성이 차지하는 비중도 늘었다. 2013년 3%에서 올해는 8% 수준까지 증가했다.

김선민 티켓몬스터 프러덕트1본부장은 “50대 남성의 전체 간편식품 매출 증가율은 65%로 50대 여성(20%)의 세 배가 넘는다”고 말했다. 김 본부장은 “기러기 아빠가 늘고, 자녀의 육아와 교육을 마친 50대 이상 여성이 여가를 즐기는 경우가 많아 혼자 밥을 먹는 중년 남성이 증가하고 있는 것도 간편식품을 찾는 50대 이상 남성이 늘어난 이유”라고 설명했다.
<기사 출처 : 한국경제>

2015년 10월 29일 목요일

살 파고드는 내향성 손발톱…50대 여성, 남성의 1.8배



<내향성 손발톱 질환의 2014년도 인구 10만명당 건강보험 진료인원>

(단위:명)

발톱이 살 속에 파고들어 염증을 유발하는 '내향성 손발톱' 질환은 젊은층에서는 남성 환자가 많지만 연령대가 높아지면서 여성 환자가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이 질병을 막기 위해서는 볼이 좁은 구두를 신는 등 잘못된 생활 습관을 고쳐야 한다고 조언한다.

29일 국민건강보험공단이 '내향성 손발톱(질병 코드 L60.0)' 질환에 대한 건강보험 지급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이 질병의 작년 전체 진료인원은 19만 6천813명으로 집계됐다.

2010년의 18만4천667명을 기록한 이후 연평균 1.6%의 증가율을 기록했다.

진료 인원은 여성(10만3천345명)이 남성(9만3천468명)보다 많았다. 남성의 28.5%, 여성의 21.9%가 각각 10대에 분포돼 남녀 모두 10대 환자가 가장 많았다.

진료인원은 30대까지는 남성이, 40대 이후로는 여성이 각각 많은 편이었다.

인구 10만명당 진료인원은 391명이었는데, 10대, 20대, 30대는 남성과 여성이 각각 884명·823명, 485명·371명, 277명·226명으로 남성이 많았다.

하지만 40대는 남성과 여성 진료인원이 각각 227명과 273명으로 역전됐으며 50대는 여성(470명) 진료인원이 남성(257명)보다 1.8배나 많았다.

진료인원은 매년 8~10월에 많은 경향을 보였다. 이는 여름에는 양말을 신지 않은 채 신발을 신는 경우가 많아 직접적인 자극에 발톱이 쉽게 노출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내향성 손발톱은 손발톱이 손발톱 아래 주름을 파고들어가면서 염증이 생기는 질환이다. 손발톱이 자라면서 주름 부분의 살과 마주쳐서 염증이 발생하게 된다.

이 질병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는 볼이 좁은 신발을 신는 생활 습관이 지목된다. 학술적으로 증명된 것은 아니지만 발톱이 눌려 주름을 파고들기 쉬운 환경에 자주 노출되면 내향성 손발톱이 발생하기 쉽다.

발병 초기에는 발톱 아래에 면, 울, 실리콘 제제 등을 삽입하거나 넓은 신발을 신어서 자극을 피하도록 하는 치료로 호전될 수 있지만, 증상이 심하면 발톱의 부분이나 전체를 제거하는 등의 수술을 해야 할수도 있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박민정 교수는 "특히 당뇨병이 있는 경우 족부 궤양 및 괴사로 진행될 가능성도 있으므로 조기에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기사 출처 : 연합뉴스>

2015년 10월 26일 월요일

청장년 남성 뇌졸중 원인 1위는 담배

뇌졸중 환자./ © News1
고혈압 29%로 2위…노인들은 재발 방지하는 게 중요

45세 이하 젊은 남성들이 뇌졸중이 발생하는 원인의 절반가량이 흡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뇌졸중은 뇌 손상 부위와 정도에 따라 반신마비, 언어장애, 심하면 식물인간이나 사망에 이르는 중증 질환이다. 한 번 손상된 뇌세포는 다시 회복되지 않기 때문에 예방이 최선이다.

분당서울대병원 신경과 배희준 교수, 서울의료원 박태환 교수 연구팀은 2008~2010년 전국 9개 대학병원과 지역 뇌졸중센터에 입원한 급성 뇌경색 환자 5107명을 선별해 국민건강영양조사를 통해 수집한 건강한 대조군과 비교해 이 같은 결과를 확인했다고 26일 밝혔다.

연구에 따르면 45세 이하 젊은 남성 뇌졸중 환자의 45%가 흡연 때문에 발병했다. 고혈압은 29%로 뒤를 이었다.

46세 이상 65세 이하 중장년 남성도 흡연 37%, 고혈압 23%로 두 개 요인이 전체 발병 원인의 60%를 차지했다. 66세 이상 노인은 남성과 여성 각각 고혈압이 24%, 23%로 가장 높았다. 

연구팀은 청장년 남성은 흡연과 고혈압, 노인은 고혈압과 뇌졸중 병력이 주요 위험요인임을 밝혀냈다.

뇌졸중을 예방하려면 혈압 조절과 함께 청장년은 금연, 노인은 재발을 막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는 것이 연구팀 설명이다.

배 교수는 "청장년 남성이 담배를 끊어야 하는 중요성이 다시 확인된 연구 결과"라며 "노인들은 항혈전제 투여 등 기존 치료법을 잘 실천해도 재발의 80%를 막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기사 출처 : 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