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9년 일곱 번째 달에 하늘에서 공포의 대왕이 내려오리라.”16세기 프랑스에 살았던 노스트라다무스의 예언이다. 사람들은 이 예언을 ‘태양계 천체가 특정 모형으로 배치되는 순간 종말이 온다’고 해석했다. 달·화성 등 행성이 예언에 등장했고, 노스트라다무스가 천체 운행을 통해 미래를 예측하는 점성학자였기 때문이다.그의 예언처럼 정유년 다섯 번째 날(음력 1월 5일)인 1일 실제로 달과 화성이 만나는 것처럼 보인다. 한국천문연구원은 “1일 일몰 후부터 밤 9시까지 달-화성-금성이 일렬로 늘어서는 천문 현상이 일어난다”고 31일 밝혔다.오후 5시가 지나면 남서쪽 하늘에서 달이 모습을 드러낸다. 이어 서울 기준으로 오후 5시56분 해가 지면 금성이 보이고, 조금 더 기다리면 달과 금성 사이에 자리 잡은 화성도 볼 수 있다. 이때부터 약 3시간 동안 세 행성이 거의 일직선상에 위치한다.
최영준 한국천문연구원 행성과학그룹장은 “지구에서 봤을 때 달과 화성, 금성의 궤도상 위치가 같은 방향에 놓인 것처럼 보이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라며 “이날엔 망원경 없이도 토성까지 관찰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행성이 일렬로 배치되는 이런 현상은 종종 지구 종말론으로 이어졌다. 1970년대 미국항공우주국(NASA)에서 일했던 일부 과학자는 행성 배치를 두고 태양계 멸망을 예측했다. 이들은 “82년 달을 포함한 태양계의 행성이 일렬로 늘어서면 서로 인력이 작용해 대규모 지진·해일 등 이상 현상이 발생할 것”이라고 주장했다.99년 8월에는 지구를 중심으로 태양계의 행성이 십자가 모양(grand cross)으로 배열했고, 2000년 5월에는 수성-금성-화성-목성-토성이 우주공간에서 거의 일직선상(grand alignment)으로 늘어섰다. 노스트라다무스 예언은 이때 다시 활개를 쳤다. 많은 사람이 갑자기 생업을 벗어나 성지와 예배당으로 몰려들었다. 행성 직렬이 발생하면 사람들이 공중부양할 수 있다는 이론이 나오기도 했다.박한얼 한국천문연구원 선임연구원은 “태양계에서 태양의 중력은 전체 행성의 99%”라며 “행성 간 거리가 가까워져도 유의미한 수준으로 중력이 커질 일은 없다”고 말했다.행성들이 가까워진다고 서로 끌어당겨 부딪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없다는 것이다. 태양계 행성이 일자로 배열돼 행성 간 인력 때문에 종말이 온다는 얘기도 완전히 허구다.해일 등 자연재해가 발생할 가능성은 있을까.최영준 그룹장은 “행성 직렬 시 영향력은 달이 지구에 미치는 힘의 수만 분의 1 수준”이라며 “행성이 일렬로 늘어선다고 해도 이게 지구의 조석·조류 운동에 영향을 미치는 힘은 미미할 것”이라고 말했다.결국 천체들이 특이한 모양으로 배열하는 현상은 그 자체로는 큰 의미가 없다. 사람이 그 현상에 의미를 부여하고 싶었을 뿐이다. 전문가들은 99년 행성이 십자가 모양으로 배열하는 현상과 종말을 연결 지은 것은 예수가 십자가에 못 박혔다는 점이 고려된 것으로 본다. 중국에서 주나라가 들어설 때 ‘다섯 개의 행성이 한곳에 모였다(오성취합·五星聚合)’는 주장도 왕조의 흥망성쇠를 점성학적으로 풀어 보려는 노력의 산물이었다.1일 밤처럼 서너 개의 행성이 일렬로 모이는 현상은 2년에 한 번꼴로 나타난다. 태양계에서 가장 무거운 4개 행성들(목성·토성·천왕성·해왕성)은 179년에 한 번 일렬로 늘어선다. 9개의 행성이 한자리에 모이는 건 천체 공전주기상 불가능하지만 7개 행성이 거의 일렬로 늘어선 것은 2만 년 동안 수십 차례 있었다. 앞으로 이런 현상이 벌어진다고 하더라도 갑자기 성지순례를 떠날 필요는 없다는 얘기다.
<기사 출처 : 중앙일보>
대만 남부 규모 6.4 '지진'…3명 사망확인 (타이난<대만> 신화=연합뉴스) 6일 새벽 규모 6.4의 지진이 발생한 대만 동남부의 타이난(台南)시 건물 붕괴 현장. 다수의 건물이 무너져 수백명이 매몰되고 최소 3명의 사망자가 확인됐다.귀성 가족 모여있다 '패닉'…긴급대피 행렬·귀성도 차질춘제(春節·설) 연휴의 첫 날인 6일 새벽 깊은 잠에 든 대만 주민들을 규모 6.4의 강진이 깨웠다. 대만 남서부 일대를 덮친 이 지진의 규모가 그다지 큰 편은 아니었지만 춘제 연휴를 맞아 집안에서 편안하게 가족들과 잠자고 있던 대만 주민들에게는 마치 1999년 수천 명이 사망한 9·21 대지진의 경험을 떠올리게 했다. 주민들은 "침대가 너울너울 춤췄다", "물건이 마구 떨어지는 소리에 잠을 깼다", "9·21 대지진이 다시 온 줄 알았다", "깜짝 놀라 밖으로 뛰쳐나왔다" 등의 경험담을 전했다. 춘제를 앞두고 고향에 돌아온 가족들과 함께 모여 있었다는 가오슝시 주민 쉬(徐)모씨는 "깜짝 놀라 죽는 줄 알았다. 후다닥 바지를 입고 가족들끼리 서로를 부르며 밖으로 대피했다. 다시 집으로 돌아갈 엄두가 나지 않는다"고 말했다. 지진 후 대만 남부 가오슝(高雄)과 타이난(台南) 일대에는 집집마다 불을 켜고 서로 안부를 확인하는 전화가 폭주했다. 페이스북이나 라인으로 서로의 안부를 묻는 통신 접속도 넘쳐났다. 이날 오전 3시57분께(현지시간) 대만 남부 가오슝(高雄)시의 외곽 메이눙(美濃)구에서 리히터 규모 6.4의 지진이 발생, 인접한 타이난(台南)에서 건물 5채가 무너진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까지 주민 3명이 사망했으며 수십 명이 붕괴된 건물에 매몰돼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이번 지진의 강도는 원자탄 2개가 한꺼번에 터진 것과 같은 규모라고 궈카이이원(郭鎧紋) 대만 중앙기상대 지진예보센터 주임이 전했다.
대만 규모 6.4 '지진'…진앙, 가오슝시 지하 (타이난<대만> 신화P=연합뉴스) 6일 새벽 규모 6.4의 지진이 발생한 대만 동남부 타이난(台南)시의 무너진 건물에서 구조된 주민들이 이송되고 있다.이날 지진으로 대만 대부분의 지역에서 진도 2∼6의 흔들림이 감지됐다. 마잉주(馬英九) 총통은 현지 지방자치단체에 전력을 다해 구조에 나설 것을 당부하며 공군기를 타고 직접 재해 현장으로 향했다. 이번 지진으로 고속철도 운행이 잠정 중단되면서 춘제 귀성에도 큰 차질이 빚어질 전망이다. 아울러 가오슝과 타이난 일대에는 대규모 정전 사태가 빚어지는 등 물적 피해도 잇따르고 있다.진앙지는 3개 단층대가 몰려있는 곳으로 과거 이 부근에서 여러 차례 지진이 발생했다. 2010년 3월4일과 2013년 2월26일에 각각 규모 6.4의 지진이 이 일대를 덮쳤다. 전문가들은 3개 단층은 비교적 활동이 적은 편에 속하는데 지하 심층의 보이지 않은 단층활동의 결과로 이번 지진이 발생한 것으로 분석했다. '불의 고리'라고 불리는 환태평양지진대에 속한 대만은 매년 200여 차례 이상의 크고 작은 지진이 발생하며 지난 2일 밤에도 대만 북부 지룽(基隆)에서 185㎞ 떨어진 바다에서 규모 6.2의 지진이 발생한 바 있다. 대만 지진에 앞서 5일 오전 7시40분께 일본 가나가와현 동부를 진원으로 하는 지진이 발생, 도쿄에서 진도 3∼4의 흔들림이 관측됐다.
<기사 출처 :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