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디젤차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디젤차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6년 9월 11일 일요일

[수입차시장 바뀐다]떨어진 신뢰, 위축된 수요

국내 수입차 판매량이 감소했다. 아우디폭스바겐의 판매정지로 지난달 판매량이 1만6000대에 그쳤다. 메르세데스-벤츠가 5000대 가까이 팔며 선전했지만 아우디가 470여대, 폭스바겐이 70여대 판매에 그치며 전체 실적을 끌어내렸다.

한국수입자동차협회에 따르면 8월 수입차 신규 등록대수가 전년보다 12.5% 감소한 1만5932대로 집계됐다. 브랜드별 등록대수는 벤츠가 4835대로 1위를 차지했다. 이어 BMW가 3047대로 2위, 포드(912대)와 랜드로버(866대), 토요타(824대) 등이 뒤를 이었다. 벤츠는 지난달에 이어 8월에도 4000대 넘는 판매고를 올리며 BMW와의 격차를 벌렸다. 앞서 6월 1위였던BMW는 8월 3047대 판매에 그쳤다. 전월대비로는 15% 늘었지만 전년대비로는 16%가 빠졌다. 치열한 1위 경쟁을 벌이고 있는 벤츠와 BMW의 올해 1~8월 누적 판매는 각각 3만3507대, 2만8839대로 이제는 5000대까지 벌어졌다.

정부로부터 80개 모델, 8만3000대의 인증취소 ·판매정지 처분을 받은 폭스바겐코리아는 지난 8월 총 76대의 차량을 판매했다. 행정처분을 받지 않은 투아렉과 CC의 판매량으로 전월보다는 82%, 전년보다는 98% 가까이 판매량이 줄었다. 아우디코리아 역시 판매량이 급감했다. 8월 476대를 팔며 지난달보다는 70%, 지난해보다는 83%가 빠졌다.

디젤 게이트 여파도 지속되고 있다. 8월 가솔린 판매량이 6195대로 지난해보다 25% 늘어난 반면 디젤차 판매는 8664대로 72%나 줄었다. 디젤 수입차는 올들어 누적 판매량에서도 9만2626대 판매에 그치며 지난해(10만9502대)보다 15% 줄어든 상태다.

수입차 시장은 이미 올해 반기 기준 7년만에 감소한 상태다. 올해 상반기(1~6월) 수입차 신규 등록 대수는 11만6749대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6% 줄었다. 상반기 수입차 시장 판매가 내림세를 보인 것은 2009년 이후 처음이다. 디젤 게이트 논란으로 인해 수입차 판매를 이끌던 아우디와 폭스바겐이 부진하면서 수입차 전체 판매량이 감소했다.

디젤차 판매도 크게 줄었다. 상반기 디젤차 판매 대수는 7만5676대로 지난해 상반기(8만2023대)보다 7.7% 빠졌다. 디젤 비중도 지난해 상반기 68.4%에서 올해 64.8%로 3.6%포인트 하락했다. 

이같은 추세는 8월까지 이어지고 있다. 1~8월 누적 수입차 판매량은 14만8411대로 전년동기보다 6.5% 감소했다. 윤대성 한국수입자동차협회 전무는 "8월 수입차 시장은 일부 모델의 판매중단으로 지난해보다는 감소했지만 주요 업체들의 신차 출시 효과로 지난달보다는 소폭 상승세를 보였다"며 "하반기에도 신차 출시가 예정돼 있지만 당분간 감소 기조가 이어질 전망"이라고 밝혔다.
<기사 출처 : 아시아경제>

2016년 2월 9일 화요일

하이브리드車 정숙성 뛰어나다는데 정말일까?

가솔린 엔진과 전기모터를 탑재한 하이브리드 차량의 정숙성이 알려진 것과 달리 국내 일부 차종은 시끄럽다는 지적이다.

회원 20만명을 보유한 국내 한 하이브리드차 관련 인터넷 카페 게시글에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엔진 소음이 시끄럽다는 불만이 쇄도하고 있다. 차량 운행시 전기모터가 구동할 경우 정숙성이 뛰어난 반면 배터리 충전 등의 이유로 가솔린 엔진 개입시 소음이 경운기 소리 뺨치게 시끄럽다는 내용이다. 하이브리드 차량은 가솔린 엔진과 전기모터가 함께 구동하는 방식으로 움직인다.

몇몇은 엔진이 심하게 떨리면서 굉음이 심하게 난다며 차량 결함 가능성까지 거론하고 있다. 문제를 제기한 하이브리드 차량 운전자가 인터넷 게시판 등에 올린 동영상을 확인하면 실제 소음이 상당해 보인다. 해당 동영상에는 ‘디젤 차량보다 소음이 크다’며 공감을 나타내는 댓글이 줄을 이었다.

하지만 제조사는 하이브리드 차량에서 심한 소음이 발생한다는 운전자들의 불만에 차량 결함 가능성은 없다고 일축한다. 해당 제조사 직영 사업소(AS) 관계자는 “차량 엔진의 특성상 소음이 발생할 수 있다”면서도 “차량 결함으로 볼 수 없다”고 말했다.

종종 엔진이 심하게 떨리면서 굉음을 내는 증상에 대해서도 문제가 없다는 입장을 밝히고 있다.

 그러나 최근 이 회사는 엔진 떨림 현상에 대해서 ‘점화코일’ 불량 문제를 제기하는 일부 운전자들에게만 무상으로 점화코일을 교체해 주고 있다.

연비 논란도 뜨겁다. 공인 연비 대비 실제 연비가 절반에도 못 미친다는 불만이 그것이다. 이에 대해 차량 제조사 측은 “연비는 운전습관과 도로사황에 따라 차이가 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기사 출처 : 매일경제>

2015년 11월 26일 목요일

국내 폴크스바겐 경유차도 배출가스 조작…12만5천대 리콜


사진은지난 10월 11일 윤성규 환경부장관이 인천 서구 종합환경연구단지에 위치한 국립환경과학원에 방문하여 폭스바겐 임의설정 관련 배출가스 검사 현황 등을 확인 하고 있는 모습
환경부 조사결과…과징금 141억 부과·미판매 車 판매정지
현대·BMW 등 국산·수입차 16개사도 내달부터 조사

국내에서 판매된 폴크스바겐 경유차(디젤차)도 미국에서와 마찬가지로 배출가스 저감장치를 조작한 사실이 확인됐다.

환경부는 폴크스바겐 디젤차 6개 차종 7대를 검사한 결과, 현행법상 금지된 임의설정(defeat device)을 한 사실을 확인했다고 26일 밝혔다.

임의설정은 일종의 눈속임 장치다. 차량 인증시험 모드와 다르게 실제 도로주행시에는 배출가스 관련 부품의 기능이 저하되도록 정지·지연·변조하는 것이다.

문제의 차종은 구형 EA189 엔진이 장착된 티구안 유로5 차량이다. 도로주행 중 배출가스 재순환 장치(EGR)를 고의로 작동 중단시키는 형태로 조작이 이뤄졌다.

이 차량은 실내 인증시험에서는 EGR을 가동해 질소산화물(NOx) 배출량을 줄였다가 도로를 주행할 때에는 EGR 작동을 중단해 질소산화물이 과다 배출되도록 했다.

후속 모델인 신형 EA288 엔진이 장착된 골프 유로5 차량과 유로6 차량 4종(골프·제타·비틀 및 아우디 A3)은 임의설정 사실을 현재까지 확인하지 못했다고 환경부가 밝혔다.

그러나 환경부는 조작 의심이 든다는 판단에 따라 추가 자료 점검 절차를 거쳐 임의설정 여부를 확인할 계획이다. 

환경부는 임의설정이 적발된 구형 엔진 차량에 대해 이달 23일 판매정지 및 결함시정(리콜) 명령을 내리고 과징금을 부과했다. 

미판매 차량은 판매정지 명령이, 이미 판매된 12만5천522대는 리콜 명령이 내려졌다. 과징금은 15개 차종에 총 141억원이 부과됐다. 

차량 인증취소를 위한 행정절차도 개시했다. 

아우디폭스바겐코리아는 리콜계획서를 내년 1월 6일까지 환경부에 제출해야 한다. 계획서에는 임의설정 차종의 배출가스 개선 방안과 리콜 전후의 연비 변화를 조사한 결과를 담아야 한다.

한편 환경부는 국내에서 디젤차를 판매 중인 모든 자동차 제작사에 대해 조사를 확대하기로 했다. 조사는 다음달 시작해 내년 4월까지 진행된다.

해당 회사는 현대, 기아, 한국지엠, 르노삼성, 쌍용, 아우디폭스바겐, BMW, 벤츠, 포르쉐, 재규어랜드로버, 볼보, 푸조, FCA코리아, 포드, FMK, 닛산 등 16개사다.

조사 대상에는 미국에서 추가로 문제가 발견된 폴크스바겐·포르쉐 3천CC급 디젤차도 포함된다.

환경부는 이번 사태와 같은 디젤차 임의설정을 막기 위해 '실도로 배출가스 관리제도'를 도입하고, 처벌도 강화할 계획이다.

한국과 유럽연합(EU)은 '실도로 배출가스 검사' 제도를 대형차(3.5t 이상)는 내년 1월부터, 중소형차(3.5t 미만)은 2017년 9월부터 각각 도입한다. 해당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는 차량은 판매가 금지된다. 

임의설정이 적발된 차량의 과징금 부과 상한액은 현행 10억원에서 100억원으로 높일 계획이다. 

대기환경보전법 개정을 통해 임의설정을 한 자동차 제작사를 사법처리하는 처벌 규정(7년 이하의 징역이나 1억원 이하의 벌금)도 신설한다.
<기사 출처 : 연합뉴스>

2015년 11월 12일 목요일

독일 정부, 현대차 등 16개사 디젤차 조사중



독일 정부가 폴크스바겐 디젤 스캔들 이후 현대자동차를 포함한 16개사의 디젤차 배출가스를 조사하고 있다고 파이낸셜타임스가 1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 신문에 따르면 독일 연방자동차청(KBA)은 현대차와 다임러, BMW, 폴크스바겐, 포드 등 조사중인 16개 업체의 명단을 이날 처음으로 공개했다.KBA는 조사 대상 차종이 50종이 넘는다고 밝혔다. 

현대차는 ix35(투싼)와 유럽 전략차종인 소형 해치백 i20 등 2개 차종이 조사 대상에 포함됐다.
<기사 출처 : 연합뉴스>

2015년 11월 8일 일요일

"폴크스바겐, 디젤차 소유주에 현금 제공할 듯"


(AP=연합뉴스)
獨신문 "폴크스바겐 임원들, 기소될까봐 미국출장 우려"

배출가스 조작 스캔들로 위기에 놓인 폴크스바겐이 미국에서 문제가 된 디젤 차량의 소유주들에게 현금을 제공할 가능성이 있다고 뉴욕타임스(NYT) 인터넷판이 7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폴크스바겐은 오는 9일 구체적인 현금 제공 계획을 밝힐 예정이라고 관계자들은 전했다.

앞서 5일 자동차 전문 매체 '더 트루스 어바웃 카스'는 미국의 폴크스바겐 차주들이 사용 제한이 없는 500달러(약 57만원)짜리 선불카드와 폴크스바겐 딜러 매장에서만 쓸 수 있는 500∼750달러 선불카드 등 최대 1천250달러(약 142만원)를 받을 예정이라고 보도했다.

그러나 회사측은 이 매체에서 언급한 구체적인 액수에 대해서는 확인해주지 않고 있다.

이 매체에 따르면 폴크스바겐 미국법인은 신차 또는 중고차 여부와 관계없이 문제 차량의 현 소유주들에게 선불카드를 제공하는 'TDI 친선 프로그램'을 발표할 계획이다. 

한 소식통은 폴크스바겐이 미국에서 디젤차량 문제와 여론 악화를 해결하는 데 이 프로그램을 포함해 모두 40억 달러(약 4조5천억원)를 배정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전했다.

폴크스바겐은 디젤차량의 배기가스 조작 사실이 드러난 지난 9월부터 전 세계적으로 파문을 일으켰으며 각국에서 공식 수사뿐 아니라 차주들이 낸 민사 소송에도 직면했다.

회사로부터 현금을 받은 차주가 소송을 포기해야 하는지는 확실하지 않다고NYT는 덧붙였다.

한편 로이터통신은 폴크스바겐 임원들이 미국으로 출장을 갔다가 배기가스 조작과 관련해 미국 당국의 조사를 받거나 기소될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다고 독일 신문 쥐트도이체 차이퉁을 인용해 전했다.

이 신문은 미국을 방문한 한 직원이 조사관들에게 여권을 압수당했으며 마티아스 뮐러 최고경영자(CEO)가 이달 중으로 예정된 미국행을 취소하게 될 수도 있다고 보도했다.
<기사 출처 :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