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뇌종양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뇌종양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6년 6월 22일 수요일

커다란 뇌종양 수술 흉터… 아들 위해 흉터문신 새긴 아빠

뇌종양 수술로 머리에 큰 상처가 남은 아들을 위해 아버지가 똑같은 모양의 문신을 머리에 새겨 부성애(父性愛)가 무엇인지 다시금 생각하게 한다.

지난 21일(현지시간) 미국 ABC 뉴스 등 외신들에 따르면 캔자스주에 사는 가브리엘 마샬(8)은 작년 3월 악성 뇌교종 수술을 받았다.

악성 뇌교종이란 뇌를 구성하는 세포 중 신경교세포에서 기원한 악성 종양을 말한다. 종양 세포 침투에 따른 뇌 조직 기능 상실로 마비, 언어장애, 의식저하 그리고 경련 등의 증상을 유발한다.

수술은 잘 끝났지만 가브리엘의 머리 오른쪽에는 큰 상처가 남았다. 그렇지 않은 척했지만 소년은 의기소침해질 수밖에 없었다. 아직 어려도 자신의 상처를 다른 사람에게 보여주는 게 부끄러웠던 것이다.

가브리엘의 아빠 조쉬는 그런 아들이 측은해졌다. 어떻게 용기를 줄 수 있을까 고민하던 그는 한 가지 묘책을 생각했다. 아들의 상처와 똑같은 모양의 문신을 머리 오른쪽에 새기는 것이었다.

수술 후 5개월쯤 지난 같은해 8월, 조쉬 머리 오른쪽에는 아들의 흉터와 같은 모양의 문신이 생겼다.


조쉬는 “문신을 새기고 나서 아들에게 ‘네 머리에 있는 흉터와 똑같은 게 아빠 머리에도 있다’는 말을 했다”고 당시를 떠올렸다. 그는 “사람들은 이제 네가 아닌 ‘우리’를 보게 될 거야는 말도 해줬다”고 덧붙였다.

마샬 부자(父子)의 사진은 페이스북 등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서도 널리 퍼졌다. 네티즌들은 조쉬의 결정을 칭찬하면서 덕분에 가브리엘이 자신감을 갖게 될 거라고 반응을 보였다. 어떤 이는 조쉬를 ‘영웅’이라고 칭찬했다.

조쉬는 “이렇게 큰 반응을 얻을지는 몰랐다”며 “다행히 아들은 치료과정을 잘 이겨내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가브리엘은 석 달마다 한 번씩 병원에 검사받으러 가야 한다”며 “다음주에 MRI 촬영을 앞두고 있다”고 덧붙였다.

조쉬는 자기와 아들의 사진이 비슷한 처지에 놓인 다른 이들에게도 용기를 주기를 바라고 있다.


뉴질랜드에서도 조쉬와 비슷한 결정을 내린 아버지가 공개돼 네티즌들의 가슴을 훈훈하게 한 적 있다.

작년 8월, 아리스테어 캠벨은 '인공와우 이식수술'을 받은 딸 샬롯의 인공와우와 같은 모양의 문신을 왼쪽 귀 부근에 새겼다. 그는 딸이 창피해할까봐 이같은 결정을 내렸다.

샬롯은 아빠의 문신을 매우 신기해했다. 그는 인공와우와 똑같은 모양의 문신에 “신기해요”라고 아리스테어에게 말했다.

인공와우는 고도의 난청이 발생한 환자가 보청기 착용으로도 청력에 도움이 안 될 때, 달팽이관에 이식하는 특수 장치를 말한다.

사진=미국 ABC 뉴스·뉴질랜드 헤럴드 캡처
<기사 출처 : 세계일보>

2015년 12월 18일 금요일

두개골 열고 뇌종양 수술중 환자는 색소폰연주…"해변에 누운듯"


스페인의 색소폰 연주가 카를로스 아귈레라 씨는 지난 10월 15일 평생 잊지 못할, 특별한 연주를 했다.
9세 때부터 20년 가까이 색소폰을 불어온 그가 이날 연주한 '무대'는 스페인 남부 말라가 지방 병원의 수술실이었다.
관객은 아귈레라의 두개골을 열고 뇌종양 제거 수술을 하는 의료진뿐이었다.
부분 마취만 받아 의식이 또렷한 그는 12시간에 걸쳐 뇌수술을 받는 동안 재즈 명곡 '미스티'와 셀린 디옹의 '유 앤드 아이'를 여러 차례 연주했다.
또 사이사이 의사의 지시에 따라 1에서 10까지 숫자를 세거나 사물의 이름을 말하거나 자신이 보는 상황을 설명하거나 악보를 보는 일들도 반복했다.
수술 전 준비단계에서도 마찬가지 과정을 거쳤다.
의료진이 영상촬영장치를 통해 음악과 언어, 운동 등과 관련된 그의 뇌 부위를 정확히 찾도록 하기 위해서였다.
종양이 이런 대뇌피질 부위에 가까이 자리잡아 수술 도중 잘못 건드려 손상이 일어나지 않는지, 기능이 계속 제대로 작동하는지 등을 관찰할 수 있게 하려고 이런 방식을 사용했다.
유튜브 영상 화면 캡처
스페인 일간지 엘 파이스 온라인판은 17일 아귈레라의 이색 '수술 연주' 소식을 보도했다.
말라가 병원은 이미 유사한 수술을 12차례 했으나 환자에게 수술 중 숫자세기 등이 아닌 연주를 하게 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수술을 집도한 신경외과 의사 기예르모 이바네스는 "아귈레라가 음악인이고, 그의 생애와 직업에 가장 중요한 음악 언어와 운동 기능을 무엇보다 잘 보존해야 해 이런 수술 방식을 택했다"고 설명했다.
수술은 성공적이었으며 앞으로 2주 뒤면 완전 회복돼 퇴원하게 될 것이라고 그는 밝혔다.
수술 중 환자가 연주한 일은 지난 6월 미국 캘리포니아 병원에서 딱 한 번 있었으며, 유럽에선 이번이 처음이라고 병원 측은 강조했다.
지난 16일 의료진 12명과 함께 기자회견에 나선 아귈레라는 "마치 해변에 누워있는 기분이었다"고 고 설명했다.
오케스트라에서 연주자로도 일하는 그는 "두 달 전 병상에 누워 있던 내가 다시 태어나 감사하다"며 평생 음악과 함께 살아갈 것이라고 다짐했다.
그는 수술 받을 때 연주한 2곡 외에 직접 편곡한 바하의 무반주 첼로 모음곡 제1번 전주곡을 이날 기자회견장에서 즉석 연주해 갈채를 받았다.
유튜브 영상 화면 캡처
<기사 출처 :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