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패스트푸드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패스트푸드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6년 6월 15일 수요일

햄버거 이것 때문에 몸에 안좋대요

패스트푸드 중에서도 소비자가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것 중 하나인 햄버거에는 ‘몸에 나쁜 음식’이라는 꼬리표가 따라다닌다. 전문가들은 열량이 높고 상대적으로 비타민과 식이섬유가 부족한 햄버거의 섭취에 대해서 모두가 부정적인 견해를 내놨다. 물론 모든 햄버거에 해당되는 이야기는 아니다. 




균형있는 영양섭취를 할 수가 없다

'리얼푸드'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소비자들이 브랜드 매장에서 만나볼 수 있는 수 많은 햄버거를 관통하는 공통점은 ‘영양 불균형’이다. 햄버거 자체는 영양이 풍부한 식품이다. 전미라 동아대 식품영양학과 교수는 “햄버거는 단백질, 철분, 아연, 비타민 B12가 풍부한 식품임에도 불구하고 일반적으로 건강에 좋지 않다는 부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다”고 했다. 

하지만 그 영양이 특정 부분에 치중돼있는 것이 문제다. 전 교수는 “(햄버거에는) 포화지방산의 함유량이 높고 화학첨가물이 함유된 가공육, 높은 나트륨 함량, 정제된 밀가루로 만들어진 빵, 설탕과 물엿 등 단순당과 나트륨 함량이 높은 케첩 때문이다”며 “적색육에 포함돼 있는 포화지방산을 많이 섭취하게 될 경우 비만, 고혈압, 심장병 등이 발병하기 쉽다. 정제된 밀가루로 만들어진 빵과 단순당의 함량이 높은 케첩은 혈당지수가 높은 탄수화물 식품”이라고 설명했다. 햄버거가 고지방식인 점도 유의해야한다. 염분도 높아 각종 질환의 원인이 될 수도 있다.



[사진출처=123RF]
세트메뉴는 열량·나트류 함량 높다

통상적으로 햄버거를 세트로 주문할 때 제공되는 감자튀김과 탄산음료 등 소위 ‘사이드 메뉴’는 한 끼의 열량과 나트륨 섭취량을 높이는 주범이다. 성인 기준 하루 권장 열량 섭취량이 1900~2400kcal인 점을 고려하면 일부 햄버거 세트의 칼로리는 두 끼 수준에 달한다. 노봉수 서울여자대학교 식품공학과 교수는 “감자튀김은 기름에 의한 섭취가 많아져 칼로리가 훨씬 높아지고 입맛을 자극하기 때문에 자신도 모르게 소금의 섭취도가 높아진다”며 “탄산음료도 이성화당과 같은 당류가 높은 칼로리를 제공하게 되기 때문에 섭취 칼로리는 단품으로 먹는 것보다 높아진다”고 말했다. 

단품으로 봤을 때도 햄버거에 들어가는 양상추, 토마토 등의 채소는 한 끼에 필요한 각종 영양을 채우기에 턱없이 부족하다. 손숙미 가톨릭대학교 식품영양학과 교수는 “햄버거에는 섬유소가 약 2g밖에 들어있지 않은데 하루 섭취 권고량에 턱없이 부족한데다가 어린이 성장에 필요한 칼슘도 떨어진다”며 “비타민은 권장량의 2~3% 밖에 들어있지 않다”고 말했다. 




어린이와 청소년 건강을 위협한다

고기에 치즈, 각종 소스로 맛을 낸 햄버거, 여기에 감자튀김과 콜라는 어린이, 청소년들이 선호하는 식품 중 하나다. 손숙미 교수는 “예전에 조사를 해보니 하루에 두 끼를 햄버거로 먹는 학생도 있었다. 청소년들이 학원을 다니고 하느라 시간이 없으니 빨리 먹을 수 있는 햄버거를 먹게 되는 것”이라며 “시간이 없을 때는 굶는 것 보다는 낫지만 잦아지면 문제가 있다”고 했다. 

강재헌 서울 백병원 가정의학과 교수는 “햄버거 등 고칼로리 식으로 인한 소아비만은 성장기에 있는 아이들에게 각종 문제를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며 “성장에 필요한 비타민, 무기질 등은 부족해 영양의 불균형을 초래할 수 있고 비만으로 인해 성조숙증(사춘기에 나타나는 2차 성징이 여자는 8세 이전, 남자는 9세 이전에 나타나는 경우)도 불러올 수 있다. 빠른 2차 성징이 나타나는 것뿐만이 아니라 이로 인해 키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설명했다. 
<기사 출처 : 헤럴드경제>

2016년 4월 16일 토요일

일본 ‘물방울 케이크’, 美 뉴욕 상륙

일본에서 인기를 끈 물방울 케이크가 미국에도 소개됐다.

외신과 ‘리얼푸드’에 따르면, 최근 일본에서 큰 인기를 누린 저칼로리 물방울 케이크는 미네랄 워터와 젤라틴을 대체하는 채소 성분인 한천으로 만들어졌다. 이 물방울 케이크를 뉴요커 대런 웡(Darren Wong)이 미국 뉴욕에 처음으로 소개했다. 



물방울 케이크는 물 맛만 나기 때문에 케이크를 서빙할 때 옆에 견과류와 소스를 곁들인다. 또한 식감이 기존의 케이크와 달리 젤리와 비슷한 것이 특징이다. 

물방울 케이크는 지난 주말부터 뉴욕 스모가스버그 푸드 마켓(Smorgasburg Food Market)에서 판매되기 시작했다. 

한편 물방울 케이크는 일본에서는 미즈신겐모찌로 알려져 있고, 한국에서는 물방울떡 혹은 물방울 모찌로 알려져 있다.
<기사 출처 : 헤럴드경제>

2016년 2월 24일 수요일

고3 남학생, 10년 전보다 키 줄었다

평균 0.1㎝ 줄어 성장 정체
초·중·고 몸무게 소폭 늘었지만 고도비만율은 두 배 이상 증가




초등학생과 중학생은 해마다 조금씩 키가 커지고 있지만 고등학생은 성장세가 멈춘 것으로 나타났다. 초·중·고교생 고도비만율이 10년 전보다 두 배 이상으로 늘어났다.

교육부는 지난해 4~9월 전국 초·중·고 764개교 8만4815명을 대상으로 시행한 ‘2015년 학생 건강검사 표본분석’ 결과를 24일 발표했다.

초등학교 6학년 남학생의 키는 평균 151.4㎝, 여학생은 151.9㎝로 2005년보다 각각 2.3㎝, 1.6㎝ 커졌다. 중학교 3학년 남학생과 여학생 키는 각각 169.7㎝와 159.8㎝로 10년 전보다 1.2㎝와 0.5㎝ 커졌다. 그러나 고등학교 3학년 남학생은 173.5㎝로 2005년(173.6㎝)보다 0.1㎝ 작아졌다. 고3 남학생은 2013년 이후 173.5㎝에서 변화가 없어 성장이 정체된 것으로 교육부는 분석했다.

평균 몸무게는 초6 남학생 46.6㎏, 여학생 45.2㎏, 중3 남학생 62.3㎏, 여학생 54.4㎏, 고3 남학생 69.4㎏, 여학생 57.1㎏ 등으로 10년 전보다 조금씩 늘었다. 학생 전체 비만율도 15.6%로 전년보다 0.6%포인트 증가했다. 특히 고도비만율이 10년 전 0.78%의 두 배를 넘는 1.6%로 나타났다. 고도비만이란 표준체중 대비 초과 정도가 50% 이상인 경우를 말한다. 지역별로는 농어촌 지역 학생의 비만율이 남녀 초·중·고교생 모두 도시 지역보다 높게 나타났다. 특히 농어촌 지역 고등학생 비만율은 20%를 기록했다.

1주일에 한 번 이상 햄버거와 피자 등 패스트푸드를 먹는 비율은 초등학생 62.9%, 중학생 74.9%, 고등학생 76.6%로 전년도 61.4%, 72.1%, 74.3%보다 모두 증가했다.

하루 2시간 이상 인터넷이나 게임을 하는 학생 비율은 초등학생 14.9%, 중학생 29.7%, 고등학생 19.9%였다. 주 3일 이상 숨이 차거나 땀이 날 정도로 운동하는 학생 비율은 초등학생 57.0%, 중학생 36.5%, 고등학생 25.6%였다. 운동하는 학생 비율은 2011년 이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기사 출처 : 한국경제>

2015년 12월 22일 화요일

맥도널드 45년만에 일본에서 손 떼나


맥도널드
맥도널드가 실적 부진을 겪고 있는 일본 맥도널드의 지분을 대량 매각하기로 했다.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은 22일 미국 맥도널드가 보유하고 있는 일본 맥도널드 홀딩스의 지분(49.99%) 가운데 최대 33% 정도를 처분할 방침을 확정했다고 보도했다. 이를 위해 맥도널드의 미국 본사 간부가 최근 일본을 방문해 일본의 외식 산업에 정통한 상사와 투자 펀드 등 5개 업체를 상대로 15~33%의 주식 매각을 타진한 것으로 전해졌다.

불량 식자재 이용 신뢰·매출 추락
일본 지분 49%중 33% 처분 방침


맥도널드는 이들 업체들에게 새해 1월 중순까지 주식 인수에 응할 의향이 있는지 회신해 줄 것을 요구해, 매각 성사 여부는 그 이후에나 구체화될 것으로 보인다. 주식 매각이 성사되면 이 주식을 사들인 업체 쪽이 일본 맥도널드의 대주주로 경영권을 쥐게 될 가능성이 크다. 신문은 맥도널드가 “외부의 자금과 노하우를 흡수해 실적 부진을 겪고 있는 일본 사업의 재건을 서두를 예정”이라고 전했다.

맥도널드는 1971년 7월 도쿄 긴자에 1호점의 문을 연 이후로 45년 동안 일본의 패스트푸드 문화를 선도해왔다. 그런 맥도널드가 일본 사업의 경영권을 넘기려는 가장 큰 이유는 2013년부터 이어진 실적 부진이다. 맥도널드는 2014년 여름 유통기간이 지난 닭고기를 사용한 것이 드러나 일본 소비자들의 신뢰를 잃었고, 올 1월엔 음식에서 이물질이 나오는 대형 사고로 다시 한번 큰 홍역을 치른 바 있다. 

일본 맥도널드는 2011~2012년 120억엔대의 흑자를 기록했지만, 2013년 회계연도(2013년 4월~2014년 3월)엔 흑자폭이 45억엔으로 줄었고, 2014년엔 무려 211억엔의 적자를 기록했다. 이런 흐름은 더 가속화돼 2015년 12월 말 현재까지 380억엔의 적자가 예상된다.

일본 맥도널드의 시가총액은 3900억엔 정도이기 때문에, 33% 정도의 주식을 매각하면 거래대금은 1000억엔 정도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일본 맥도널드의 지분은 미국 맥도널드가 49.99%, 개인 투자자가 41.51%, 기타 8.5%를 점하고 있다. 
<기사 출처 : 한겨레>

2015년 12월 8일 화요일

홈리스 여성과의 진심 어린 뜨거운 포옹 '화제'



미국 캘리포니아 애너하임에 사는 여성 카르멘 멘데즈의 선행과 당시 심경을 기록한 포스트가 소셜 미디어에서 큰 화제를 낳았다.

카르멘 멘데즈는 지난 11월 말 한 패스트푸드점을 갔다. 한 홈리스 여성이 보였다. 그녀는 사람들에게 남은 음식을 좀 달라고 청했지만 사람들은 무시하거나 남은 음식을 버려 버렸다.

도와주기로 결심한 멘데즈는 자신이 먹던 음식을 그 여성에게 주었다. 홈리스 여성은 맛있게 먹기 시작했다. 순간 카르멘 멘데즈는 미안한 마음이 들었고 이 여성에게 메뉴를 하나 새로 시켜줘야 마땅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주문을 하는 동안 사람들은 눈살을 찌푸렸다. 홈리스 여성의 냄새도 거슬렸던 것 같다. 카르멘 멘데즈가 따뜻한 음식을 시켜 주었더니, 여성은 감격했고 포옹했다.

카 르멘 멘데즈는 당시 그녀의 얼굴에서 순수한 감사의 마음을 읽었다고 했다. 또 홈리스 여성이 자신을 껴안았는데 그런 진심어린 허그는 처음이었다고 한다. 또 홈리스 여성이 흘린 눈물은 자신의 마음속으로 스며드는 것 같았다고 회고했다.

그녀가 남기 사진과 글을 해외 누리꾼 사이에서 감동을 일으키며 인기를 누리고 있다.
<기사 출처 : POP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