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층간소음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층간소음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6년 2월 8일 월요일

주부 최대관심사 '층간소음'.."도대체 왜 못 잡죠?"

[[층간소음 스트레스 그만! 우리 아파트는요]기술보단 '비용'이 문제..."요즘 짓는 아파트는 훨씬 나아져"]
#"낡은 아파트라 그런지 층간소음 때문에 못 살겠어요. 아이 뛰는 소리, 어른 발소리, 변기 물 내리는 소리까지 바로 옆에 있는 것처럼 들려요."
#"우리 아파트엔 프라이버시가 없어요. 부부싸움이라도 하면 옆집, 윗집, 아랫집 모르는 데가 없다니까요. 윗집 동선까지 훤히 꿰뚫을 수 있어요."
전문가들은 노후 아파트에 거주하는 주민 10명 중 7명이 층간소음에 시달린다고 보고 있다. 조용한 윗집을 만나는 것은 그야말로 '복불복', 운이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 층간소음 체험관 모습.
한국토지주택공사(LH) 층간소음 체험관 모습.
기술력 부족인지, 부실 시공 때문인지 도무지 알 수 없을 정도로 심각한 아파트 층간소음. 건설사들은 층간소음 없는 아파르를 못 짓는 걸까? 안 짓는 걸까?
◇층간소음 잡는 시공 "비용만 3~4배"
'조용한 아파트'는 주부들의 최대 관심사다. 최근 마곡지구 아파트에 전세로 입주한 황민영씨(가명·33·여)는 "애 키우는 친구들이 모이면 층간소음이 화두"라며 "삶의 질과 직결돼 집 살 때 최우선 항목으로 고려 중"이라고 말했다.
층간소음은 청소기를 돌리거나 의자 끄는 소리 등 경량충격음과 사람이 뛰어다니는 수준의 중량충격음으로 나뉜다. 정부는 경·중량충격음을 각 58dB, 50dB 이하로 제한하고 슬라브 두께가 210mm 이상인 표준바닥구조로 시공토록 하고 있다.
층간소음을 줄이기 위해선 바닥 콘크리트와 완충재를 얼마나 두껍게 시공하느냐가 관건이다. 시공사 입장에선 돈도 더 들고 만만찮은 기술도 필요하다.
층간소음 완충재는 재질에 따라 크게 EPS와 EVA 계열로 나뉜다. 대부분 210mm 콘크리트에 20~30mm 완충재를 추가한다. 이렇게 하면 완충재를 안 쓰는 것보다 3.3㎡당 비용이 3~4배 이상 더 든다. 때문에 거실과 부엌, 복도 일부에만 완충재를 넣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이병권 대림산업 기술개발원 박사는 "대림은 완충재를 60mm 짜리로 자체 가공해 적용한다"며 "비용이 더 드는 대신 층간소음 차단효과는 뛰어나다"고 말했다. 대림산업의 경우 완충재를 2007년 자체 개발해 2014년 완공 아파트부터 적용하기 시작했다.
◇"중층에 헬스장 있는 곳은 뭐지?"..."시공·유지 비용 높아"
완충재를 부엌, 거실, 복도는 물론 각 방에 모두 적용하는 사례도 있다. 하지만 서울 반포동 아크로리버파크 등 최근 공급된 고급 아파트 일부에 불과하다. 아크로리버파크는 2013년 말 일반 분양가가 3.3f㎡당 4040만원에 달했던 곳이다.
고급 주상복합아파트 등 공동주택 중층에 헬스장, 골프연습장 등 운동시설이 있는 경우에도 특수한 바닥재가 적용됐다고 보면 된다. 바로 아래층에 사람이 살고 있는데도 위층의 뛰는 소리나 소음을 전혀 느낄 수 없게끔 하는 데는 최소 수억~수십억원이 든다.
이 박사는 "중층에 피트니스 센터가 있는 타워팰리스가 대표적인 사례"라며 "바닥에 에어스프링을 적용하고 에어컴프레셔를 전기로 계속 작동시켜 충격을 흡수하도록 해야 하기 때문에 비용부담이 매우 크다"고 설명했다.
실수요자 입장에서 가장 현실적인 대안은 최근 2~3년 내 완공된 아파트 중 완충재를 충실히 적용한 곳을 찾는 것. 공동체가 잘 꾸려져 있는 단지를 찾아 이웃 간 소통하고 배려하면서 '생활규범'을 지키며 사는 것도 대안이 될 수 있다.
<기사 출처 : 머니투데이>

2015년 11월 19일 목요일

와이파이 이름이 '504호 너무 시끄러'…층간소음 대처법


본문이미지
와이파이(Wi-Fi) 이름 변경을 통해 층간소음 고충을 알리고 있다./ 사진=독자제보, 온라인 커뮤니티
사소한 말다툼을 넘어 방화·살인 등 강력범죄로 이어지는 층간소음 갈등이 늘면서 직접 맞닥뜨리지 않고 간접적으로 '복수'하는 방법이 공유되고 있다. 가정용 와이파이 이름을 바꾸는 등 다양한 대처법이 관심을 모으고 있지만 전문가들은 층간소음과 관련한 법적인 실효성 확보가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19일 환경부 산하 국가소음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층간소음 관련 고충건수는 △2012년 7021건 △2013년 1만5455건 △지난해 1만6370건으로 해마다 꾸준히 증가했다. 올해 상반기에는 8537건이 접수돼 2012년 이후 누적 고충건수가 4만7000여건을 넘어섰다.

층간소음이 사회문제로 떠오르면서 대처법도 다양해졌다. 네이버·다음 등 포탈사이트에는 층간소음 피해자들이 모인 카페가 60개 넘게 개설됐고 이를 중심으로 '층간소음 복수법'이 활발하게 퍼졌다. 대체로 갈등을 빚는 이웃과 대면하지 않은 채 간접적으로 불만을 표시하는 내용이다.

현재 온라인 상에서 공유되고 있는 대처법 상당수가 보복성에 가깝다. △윗집에 우퍼스피커 대고 큰 소리로 음악 틀기 △화장실 환풍기로 담배 연기 뿜기 △천장에 못질하기 등 이른바 '맞불놓기작전'이 층간소음 대처법으로 유명하다. 심지어 한 가전업체는 '층간소음 복수종결자'라는 이름으로 천장에 부착 가능한 무선 우퍼스피커를 13만원대에 내놨다.

최근엔 층간소음에 되받아치지 않는 대처법이 등장해 눈길을 끌었다. 바로 가정용 와이파이(Wi-Fi) 이름을 바꿔 상대방에게 고충을 알리는 방법이다. 예컨대 '○○○호 시끄럽다. 조용히 해달라'는 식이다. 인터넷 설정에 들어가 손쉽게 와이파이명을 바꿀 수 있는 데다 신분이 노출될 위험이 적어 층간소음 피해자들 사이에서 인기다.

실제로 서울 동대문구 이문동 한 아파트에 거주하는 주부 이모씨(30)는 "윽박지르며 얼굴 붉혔다가 서로 데면데면해지기보다 간접적이면서도 지속적으로 불만을 알릴 수 있어 효과적이었다"며 "당사자 뿐만 아니라 이웃에 사는 사람들에게도 내용이 노출돼서인지 와이파이명을 바꾼 뒤로 층간소음이 꽤 많이 줄었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보복성 대응을 자제하는 동시에 층간소음 관련 법적 실효성이 확보돼야 한다는 의견이다.

남민준 법무법인 성율 변호사는 "최근 층간소음 문제로 이웃간 감정이 극에 달해 법적 다툼으로 번지는 경우가 잦아졌다"며 "결국 해결법은 한쪽이 주거지를 옮기거나 다른 한쪽이 소음을 아예 내지 않는 것인데 이중 어느 하나만 택한다는 게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층간소음 문제는 피해가 명확하지 않은 데다 법원 판결이 가능하더라도 개인행동을 제약해야 하는 등 집행이 쉽지 않아 실효성이 떨어진다"며 "법과 제도가 실효성을 갖추는 것과 아울러 애초에 이웃간 적대적 감정표출을 자제하고 대화와 소통으로 풀어가려는 노력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본문이미지
/사진=flickr
<기사 출처 : 머니투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