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불교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불교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5년 12월 26일 토요일

이슬람교, 2070년에 기독교 제치고 세계 최대종교 떠올라



퓨리서치 "평균 3.1명 높은 출산율 덕분, 2050년이면 28억명으로 기독교 육박"

2070년이면 전 세계적으로 무슬림의 수가 기독교도를 넘어설 것으로 예측됐다.

여론조사기관인 퓨리서치센터가 25일(현지시간) 내놓은 보고서에 따르면 2010년 전 세계 인구의 23%를 차지했던 무슬림의 비율은 2050년이면 30%로 성장, 그 수가 기독교도와 거의 맞먹을 것으로 예상됐다.

기독교는 현재 전 세계 인구의 3분의 1가량인 총 22억 명의 신자를 둔 최대 종교이다. 

특히 퓨리서치센터는 이슬람의 성장이 지금과 같은 속도로 계속된다면 2070년 이후에 무슬림의 수는 기독교도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이슬람이 기독교를 제치고 역사상 최초로 세계 최대 종교로 부상하는 것이다. 

퓨리서치센터는 "이는 기독교도가 줄고 있다는 의미가 아니라 기독교도의 증가가 무슬림의 증가만큼 크지 않다는 의미"라며 "기독교도는 지금 22억 명에서 2050년 29억 명으로 늘어나는 반면 무슬림은 16억 명에서 28억 명으로 더욱 빠르게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고 지적했다.

무슬림의 이러한 폭발적 성장은 무슬림 신자가 상대적으로 젊고, 출산율이 높은 것 때문으로 분석됐다.

2010년 현재 무슬림 인구의 3분의 1가량은 15세 이하다. 또 무슬림 여성들은 생애 평균 3.1명의 아이를 둔다.

반면 불교도들은 절반가량이 30세 이상이며, 여성의 생애 평균 출산은 1.6명에 그치고 있다. 

기독교 여성이 생애 평균 갖는 아이도 2.7명으로 무슬림 여성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무신론자나 불가지론자, 종교와 무관한 사람의 수가 2050년이면 줄어들 것으로 예상됐다.

이 역시 무신론자 등의 출산율이 낮기 때문이다. 종교를 갖지 않은 여성은 생애 평균 1.7명의 아이들 두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현재 기독교도의 중심은 유럽이지만 2050년이 되면 아프리카 대륙의 사하라사막 이남으로 옮겨질 것으로 예상됐다.

퓨리서치센터는 "전 세계 기독교도의 거의 40%가 사하라사막 이남에서 살 것"이라며 "이 곳 여성들이 평균 4.4명의 아이를 낳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기사 출처 : 연합뉴스>

2015년 11월 11일 수요일

기부 가장 잘하는 나라는 미얀마…한국 64위

세계 기부 지수(WGI)…G20 중 기부 순위 20위 포함국 5개·중국 144위 

글로벌 국내총생산(GDP) 순위 70위권인 미얀마가 세계에서 가장 인심이 넉넉한 나라로 꼽혔다. 

영국 자선구호재단(CAF)이 미 여론조사기관 갤럽과 함께 집계해 10일(현지시간) 발표한 2015 세계기부지수(WGI) 순위에서 미얀마는 전 세계 145개국 중 1위에 올랐다.

지난 2010년부터 매년 발표되는 WGI는 국민들의 기부 참여율·빈도, 자원봉사 시간, 자선단체 가입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한 국가의 기부 문화가 얼마나 잘 발달됐는지를 알아보는 지표다. 기부금 절대액을 측정하지는 않는다. 

지난해 미국과 함께 공동 1위에 올랐던 미얀마는 2년 연속 정상을 차지했다. CAF는 미얀마의 불교문화가 기부에 우호적인 배경으로 작용했다고 분석했다. 승려의 인구 비중이 높은 데다 불교 문화에서 기부가 중요한 종교적인 의미를 갖고 있는 만큼 국민들의 참여율이 높다는 설명이다. 미얀마 국민들의 기부 참여율은 92%에 달했다. 

WGI 순위에서 미얀마에 이은 2~5위는 미국, 뉴질랜드, 캐나다, 호주 등 선진국들이 었다. 20위 내에는 스리랑카(8위), 말레이시아(10위), 과테말라(16위), 카자흐스탄(18위), 태국(19위) 등 신흥국·개도국들이 많았다. 독일은 20위에 랭크됐다. 주요 20개국(G20) 중 기부 순위 20위안에 포함된 국가는 5개뿐이었다. 

한국은 145개국 중 64위에 올라 지난해(135개국 중 60위)와 비슷한 중위권 그룹에 속했다. 일본은 102위였고 중국은 144위로 브루나이에 이어 꼴찌에서 두번째를 기록했다. 

145개국의 기부 참여율 평균은 31.2%로 1년 전보다 3.2%포인트 증가했다.CAF의 존 로우 최고경영자(CEO)는 "글로벌 경기둔화에도 기부 참여율이 높아진 것은 고무적"이라고 밝혔다. 
<기사 출처 : 아시아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