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시내버스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시내버스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7년 5월 2일 화요일

서울 시내버스 연료절감장치 달았더니 300억 절감

서울 시내버스에 장착된 변속지시기(서울시 제공)© News1
연료사용량 9.7%↓, 연비 10.8% 개선

서울시는 시내버스 ‘연료절감장치’ 운영 약 2년반 만에 300억원 넘는 연료비용을 절감했다고 2일 밝혔다. 

서울시에 따르면 시내 수동변속버스에 연료절감장치를 설치한 지 29개월만에 303억원(2016년 12월 기준)의 연료비를 절감했다. 월평균 10억원을 아낀 셈이다.

현재 서울 시내버스는 총 7421대로 그중 저상버스를 제외하고 60%가 수동변속버스다. 수동변속 버스에 설치된 연료절감장치는 최적의 변속시점을 알려주는 변속지시기와 냉각팬 자동제어로 연비개선을 유도하는 차량 열관리 시스템 등으로 구성된다. 운전자의 주행패턴을 분석해 친환경경제운전 점수도 알려준다. 

연료절감장치 장착 후 연료사용량은 9.7% 줄었고 연비는 10.8% 개선됐다. 계절적 영향을 적게 받는 4~5월에는 연비가 2.1㎞/㎥에서 2.36㎞/㎥까지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절감액 일부는 버스회사에 인센티브로 주며 이중 최소 30%를 연료절감에 기여한 운수종사자에게 포상금으로 지급해 경제운전을 독려하고 있다. 운전기사의 급가속·급정거 감소로 이어지면서 버스 교통사고건수도 2013년 시내버스 990건에서 2016년 722건으로 27% 감소했다.

올 상반기 중 저상버스까지 연료절감장치를 설치하면 연간 81억원이 추가로 절감될 전망이다. 저상버스 연비(2016년 12월 기준)는 평균 1.82㎞/㎥으로 1.98㎞/㎥까지 연비가 개선될 경우 연료사용량이 8% 줄어들게 되며 비용으로 환산하면 절감액은 월평균 6억8000만원(연 81억원) 수준이다. 마을버스 업계도 연료절감장치 장착을 긍정적으로 검토 중이다.

윤준병 서울시 도시교통본부장은 “앞으로도 저상버스, 마을버스로 확대 장착해 연료비용 절감으로 버스업계 보조금도 줄이고, 대기질 개선에도 기여할 것”이라며 “연료 절감에 기여한 운전자와 회사에 확실한 동기부여가 되도록 인센티브 지급 제도도 보완하겠다”고 말했다.
<기사 출처 : 뉴스1>

2017년 1월 18일 수요일

시내버스 사고 잇따르는데…왜 안전벨트가 없을까

단거리 주행·입석 승객 감안, 안전벨트 설치 '예외'

"안전벨트 필요" 또는 "설치 어렵다면 안전운전 강화해야" 의견도

"안전벨트가 당신의 운명을 바꿉니다". 

안전벨트 착용 중요성을 강조하는 이 문구는 누구나가 공감한다.

차량 운전자·탑승자는 어떤 도로에서든 안전벨트를 매야 한다는 게 불문율로 여겨진다.

그런데도 안전벨트 착용이 예외가 되는 경우가 있다. 바로 시내버스다.

시내버스 내부 [연합뉴스 자료사진]

시내버스는 승객을 한 번에 많게는 수십 명을 태우고 달리는데도 안전벨트가 없다.

자동차 및 자동차부품의 성능과 기준에 관한 규칙 제27조는 시내버스(마을·농어촌버스 포함)에는 안전벨트를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고 규정하고 있다.

18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시내버스가 안전벨트 설치 예외 공간이 된 건 그 특성에서 비롯됐다.

대부분 시내버스는 고속도로나 자동차 전용도로를 달리지 않고 단거리 주행을 한다.

또 정류장 사이 거리(400m∼800m)가 멀지 않은 데다 정기적으로 신호를 받는다는 점도 반영이 됐다.

무엇보다 시내버스에는 입석 승객이 있다. 

서 있는 승객에게 안전벨트를 매게 할 방법이 마땅치 않을뿐더러 입석을 없애고 전면 좌석제로 운영하는 건 탑승 가능 인원을 줄여 교통 불편을 야기할 우려가 있다.

그러나 최근 시내버스 사고로 부상자들이 잇따라 발생하면서 일각에서는 안전벨트가 없는 것에 불안을 드러내고 있다. 

시내버스가 안전하게 운행한다고 하더라도 다른 차량에 의해 사고를 당할 위험까지 배제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지난 16일 경남 창원에 한 정류장에서는 시내버스가 앞서 정차해 있던 다른 시내버스를 추돌, 두 버스 승객 13명이 경상을 입었다. 

지난 9일 전북 정읍 한 교차로에서는 시내버스와 25t 덤프트럭이 충돌, 승객을 포함해 8명이 다쳤다.

지난달 30일 강원 원주의 한 교차로에서는 1t 트럭과 시내버스가 부딪쳐 트럭 운전자와 승객 14명이 경상을 입기도 했다. 

지난해 10월 31일에는 거제시 연초면에서 출근길 시내버스끼리 충돌, 승객 30명이 다친 바 있다.

시내버스가 낸 사고가 적지 않은 점도 불안을 키우고 있다.

경찰 자료를 보면 가해 차량이 시내버스인 사고는 2015년 6천462건 발생했다. 

이 사고로 버스와 피해 차량에 타고 있던 109명이 숨졌고, 9천700명이 중경상을 당했다.

2011년에는 6천3건(사망 105명·부상 9천241명), 2012년 6천226건(사망 110명·부상 9천566명), 2013년 6천390건(사망 105건·부상 9천543명), 2014년에는 6천415건(사망 125명·부상 9천747명)의 사고가 있었다.

안전벨트 [연합뉴스 자료사진]

사고뿐만 아니라 시내버스 탑승 중 과속·신호 위반·급정거 등 사고 위험에 노출된 경험이 있는 시민들도 안전을 우려하는 목소리를 냈다.

김도혜(23·여·창원시 마산회원구)씨는 "시내버스에도 예외 없이 안전벨트가 필요하다. 있다면 저는 꼭 할 것"이라며 "버스를 거칠게 모는 분들이 예상외로 많다"고 말했다.

안전벨트 설치가 현실적으로 어렵다면 그만큼 안전운전을 강화하고, 난폭운전을 막을 실효성 있는 대책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있다.

강명희(60·여·창원시 성산구)씨는 "버스 사고 얘기를 들으면 '왜 안전벨트가 없지'라는 생각을 해본 적이 있다"며 "처음부터 없었던 이유가 있는 거라면, 대신 안전운전을 강화해 사고 위험을 줄일 대책을 찾아야 한다"고 전했다.

황준승 도로교통공단 교수는 "단거리 교통수단인 시내버스 특성을 고려하면 대형 사고에 노출될 위험이 비교적 낮아 정책적으로 안전벨트를 도입할 필요성은 낮다고 본다"고 말했다.

황 교수는 "다만, 사고 예방을 위해서는 안전운전 수칙이 준수돼야 하고 근본적으로 과속 등을 유발하는 현행 운수업계 문화도 개선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기사 출처 : 연합뉴스>

2016년 2월 29일 월요일

'30m 이내' 시내·마을버스 정류장, 하나로 합쳤다

서울시, 가까운 시내버스·마을버스 정류장 156개소 하나로 통합해 29일부터 운영

본문이미지
서울시가 거리가 30m 이내로 서로 가까운 시내버스와 마을버스 정류소 156개소를 한 정류소로 합쳤다./사진=서울시

거리가 30m 이내로 가까웠던 시내버스와 마을버스 정류소 156개소가 한 정류소로 통합됐다. 

서울시는 시민들이 버스 환승시 이동시간을 줄일 수 있도록 시내버스~마을버스 정류소간 거리가 30m 이내인 버스정류소 156개소를 통합해 29일부터 운영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정류소 통합으로 인한 혼잡을 고려해 시내·마을버스 정류소 간 거리가 30m 이내인 215개 정류소 중, 통합 시 버스 노선수가 4개 이하인 156개소를 우선적으로 합했다.

예컨대 기존에 마을버스에서 내려 시내버스 환승을 위해 30m 가량 걸어가야 했던 서울시민들은 앞으로 내린 위치에서 시내버스를 탈 수 있게 된다. 

시는 노선수가 많은 정류소와 환승 승객이 많은 지하철역, 백화점 주변 정류소, 마을버스가 오래 정차하는 정류소 등 이번 통합에서 제외된 나머지 59개 정류소도 통합을 검토한다. 

시는 시내버스~마을버스 간 환승하는 승객들의 환승 거리가 짧아지고, 정류소 명칭이 통일되면서 가로변 버스정류소 이용 편의가 높아질 것으로 기대했다.

아울러 시는 정류소를 통합하면서 시내버스와 마을버스 도착시간을 모두 표시할 수 있는 '버스도착정보안내단말기'도 41개 정류소에 설치했다.

이상훈 서울시 버스정책과장은 "그동안 가까운 거리에 있으면서도 정류소가 따로 운영돼 일부 승객들이 혼란을 겪거나 불편했던 점을 개선하기 위해 정류소를 통합 했다"며 "작은 부분이라도 시민 편의를 우선으로 버스 서비스를 계속 개선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기사 출처 : 머니투데이>

2016년 2월 8일 월요일

"아들이 준 용돈" 두고내린 할머니, 버스 붙잡은 '여경 투캅스'

시내버스. 기사내용과 사진은 관련이 없습니다. / 사진제공 = 뉴시스
시내버스. 기사내용과 사진은 관련이 없습니다. / 사진제공 = 뉴시스
"명절 보내라고 큰아들이 보내준 용돈 100만원 인데 어떡해…아이고"

지난 4일 오후 2시쯤 서울 은평경찰서 불광지구대를 찾은 한 할머니(69)가 바닥에 털썩 주저앉으며 눈물을 글썽였다. 그는 "720번 버스에 가방을 놓고 내렸다. 전화로 신고할 생각도 못하고 여기로 뛰어왔다"며 숨을 몰아쉬었다.

할머니는 같은 버스가 한 대 더 지나서야 가방을 잃어버린 것을 알아차리고 버스정류장에서 50m가량 떨어진 지구대가 눈에 보이자 곧바로 뛰어들어왔다. 할머니는 이미 떠난 버스를 잡을 방법이 없었다.

신고를 받은 불광지구대 김우희 경사와 김민지 순경은 스마트폰 시내버스 앱을 통해 찾을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뇌리를 스쳤다. 두 여경은 출·퇴근에 사용하던 앱을 열어 지나간 720번 버스들의 현재 위치를 파악할 수 있었다.

하지만 할머니의 100만원이 있는 버스가 몇 번인지는 알 수 없는 상태. 버스 한대가 지나갔다는 할머니의 진술을 통해 분실된 현금이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버스를 찾기 위해 김 경사는 할머니와 곧바로 순찰차에 올랐다.

그 사이 김 순경은 720번 버스회사 전화번호를 확인, 차고지에 전화를 걸어 100만원이 들어있는 가방이 있다는 버스 기사의 확인을 받았다. 김 순경은 할머니와 버스를 쫓고 있는 김 경사에게 무전을 통해 "버스에 가방이 있다"고 전했다.

할머니는 결국 버스차고지에서 100만원이 들어있는 가방을 찾고 나서야 안도의 한숨을 쉬었다. 할머니는 "학교에서 일하는 큰아들이 보내준 돈이다. 가방을 찾지 못했다면 명절 내내 마음이 아팠을 것"이라며 "경찰 덕분에 돈을 찾아 고맙고 행복하다"고 말했다.

김 경사는 "경찰관으로서 당연한 일을 했을 뿐"이라며 "깜박 하시는 저희 어머니 생각이 나기도 했다"며 웃음을 내보였다.
<기사 출처 : 머니투데이>

2015년 12월 23일 수요일

버스운전사 절반 운행 도중 휴대전화 사용한다



버스 운전사의 절반은 운전 중 휴대전화를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통안전공단은 시내버스와 고속버스 운전사 204명을 대상으로 면접조사한 결과 103명(50.4%)이 최근 일주일 내 운전 중 휴대전화를 사용한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고 23일 밝혔다.

시내버스 운전사 102명 가운데 35명(34.3%), 고속버스 운전사 102명 가운데 68명(66.7%)이 운전 중 휴대전화를 사용했다.

휴대전화를 사용한다는 응답자 가운데 23명(22.3%)은 매일 사용한다고 답했고 주 3회 이상이 17명(16.5%), 주 1∼2회가 63명(61.1%)으로 나타났다.


최근 3년간 휴대전화 사용으로 인한 교통사고는 총 720건이며 13명이 숨지고 1천251명이 부상했다. 

교통안전공단 관계자는 "스마트폰이 대중화되면서 문자메시지, SNS, 게임 이용이 많아졌는데 자동차 운행 중 이러한 행동을 하는 것은 음주운전이나 졸음운전과 다를 바 없다"고 주의를 당부했다.
<기사 출처 :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