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파는 입맛을 돋우는 채소일 뿐만 아니라 건강 증진과 치료를 위해 전통 의료요법에서 약으로 오랫동안 사용돼 왔다. 식품 영양 정보 사이트 '뉴트리션 앤 유 닷컴'이 양파의 영양과 효능 6가지를 소개했다.◆다이어트 효과=양파 100g은 40칼로리에 불과할 정도로 열량이 낮고 지방도 거의 없다. 반면 식이섬유는 풍부해 소화 작용과 다이어트에 좋다.◆암, 당뇨병 예방=연구에 따르면 양파에 풍부한 알리신 성분은 돌연변이 물질을 퇴치해 각종 암을 예방하는 효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당뇨병 예방 효과도 있고 당뇨병 환자의 혈당 수치를 낮추는 효능도 있다.◆콜레스테롤 감소=연구에 따르면 알리신은 간세포에 있는 HMG-CoA 환원효소를 억제함으로써 콜레스테롤 생성을 떨어뜨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알리신은 항 세균, 항바이러스, 항 진균 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혈전, 심혈관질환, 뇌졸중 예방=알리신은 일산화질소를 배출해 혈관의 강직성을 떨어뜨려 혈압을 낮추는 효과가 있다. 여기에 혈소판이 엉기는 것을 방지하고 혈관 내의 섬유소 용해 작용을 하기도 한다.이러한 효능들을 가진 양파는 결국 심장동맥질환, 말초혈관질환, 뇌졸중 위험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발휘한다.◆혈당 조절=양파에는 크롬이 풍부하게 들어있다. 크롬은 포도당 대사의 항상성을 유지시키는 미량 무기질이다. 크롬은 지방대사에 필수적으로 인슐린 작용을 촉진시키고 당뇨병 환자들의 당 수치를 조절하는 데 도움이 된다.◆염증 방지=양파에는 항산화제인 플라보노이드 케르세틴이 많이 들어있다. 이 성분은 항 발암, 항염증, 항 당뇨 기능이 있다. 또한 양파에 들어있는 비타민C와 마그네슘은 항산화제로 몸속의 유해산소를 없애고 염증을 막아주는 효능이 있다.
<기사 출처 : 코메디닷컴>
땅콩잼 바른 빵 (AP=연합뉴스 자료사진)
비흡연자 폐암은 흰빵, 흰감자 같은 혈당지수(glycemic index)가 높은 탄수화물 식품의 과다섭취와 연관이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텍사스 대학 M.D. 앤더슨 암센터 연구팀이 폐암 환자 1천900여명과 일반인 2천400여명을 대상으로 탄수화물 식품 종류와 섭취량을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헬스데이 뉴스가 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전체적으로 혈당지수가 높은 식품 섭취 상위 20% 그룹은 하위 20% 그룹에 비해 폐암 위험이 49%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연구팀을 지휘한 암예방실장 우시펑(Xifeng Wu) 박사가 밝혔다.
이러한 경향은 특히 담배를 피우지 않는 사람들에게서 훨씬 두드러졌다.
담배를 전혀 피운 일이 없는 사람만 대상으로 했을 경우 혈당지수 높은 식품 섭취 상위 20% 그룹의 폐암 발생률은 하위 20% 그룹에 비해 2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흡연이라는 가장 중요한 교란변수를 배제한 결과인 만큼 음식이 폐암 위험에 미치는 영향을 보다 분명히 보여주는 것이라고 우 박사는 설명했다.
이 결과는 혈당지수가 높은 식품과 폐암 위험 사이에 인과관계가 있다는 의미는 아니지만 식습관이 독립적인 폐암 위험인자가 될 수 있다는 증거라고 그는 지적했다.
시가 피우는 여성 (AP=연합뉴스 자료사진)
혈당지수란 섭취한 탄수화물에 함유된 당분이 체내에서 소화흡수되는 속도, 즉 혈당이 상승하는 속도를 나타내는 지표다.
같은 양의 당분을 함유한 식품이라도 당분의 종류에 따라 소화흡수되는 속도가 다르다.
혈당 지수가 높은 식품은 혈당을 급격히 상승시키는 반면 혈당지수가 낮은 식품은 혈당을 긴 시간에 걸쳐 서서히 올린다.
최고수치가 100(흰빵)인 혈당지수는 대체로 정제된 곡물과 가공한 식품이 높고 통밀빵, 콩, 채소, 과일, 견과류 같은 가공하지 않은 식품은 낮다.
이 연구결과는 '암 역학-생물표지-예방'(Cancer Epidemiology,Biomarkers & Prevention) 최신호(3월4일자)에 게재됐다.
<기사 출처 : 연합뉴스>
구글이 바늘을 쓰지 않는 혈당 측정기기를 개발, 특허를 출원했다. 이는 스마트시계 등에 적용돼 심박 외에 혈당까지 측정할 수 있게 해 줄 전망이다.미특허청은 3일(현지시간) 구글이 마이크로 입자(미세입자)로 피부를 뚫어 혈당을 분석해 주는 소형기기에 대한 특허를 출원했다고 발표했다.특허출원서는 피부를 뚫는 미세입자가 든 통에 가스 파동을 일으켜 작은 핏방울을 내게 하는 ‘바늘없이 피를 뽑는 시스템’(Needle-Free Blood Draw)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가스 압력을 받은 작은 통 속의 미세입자가 피부를 뚫고 작은 핏방울을 형성하면 음압(negative pressure)통으로 빨아들여진다. 통은 이 피를 분석해 혈당 수치를 알려주게 된다. 이 과정은 바늘로 찔러 혈당을 측정하는 방식보다 훨씬 빠르고 간단하다. 아주 빠른 속도의 가스에 의한 미세입자는 가능한 한 작게 피부를 뚫음으로써 채혈시 고통을 줄여준다.
구글이 바늘을 사용하지 않는 웨어러블, 또는 핸드헬드 기기에 사용할 수 있는 혈당측정시스템 기술에 대한 특허출원을 했다. 사진=미 특허청
구글은 바늘을 사용하지 않는 이 기기를 시계나 다른 웨어러블기기에 부착해 당뇨환자의 혈당관리를 돕도록 할 것으로 보인다. 사진=미특허청이 기기는 향후 스마트워치나 웨어러블 기기에 장착돼 혈당 측정을 돕게 될 전망이다.이 특허는 지난 해 5월 28일 출원됐다.한편 구글은 이미 당뇨수치를 측정해 주는 스마트 콘택트렌즈와 클라우드를 연계하는 센서를 만들고 있다. 웨어러블, 또는 손목시계 방식의 기기가 이 구상에 따라 만들어질 가능성도 높아 보인다.구글은 헬스케어 시장에 진입한 유일한 IT거인은 아니다.심박,잠자는 패턴,운동활동 등 건강데이터 분야는 IT기업들의 차기 비즈니스 전장터가 될 전망이다.애플의 애플워치 앱 헬스키트는 애플워치에서 측정된 혈압,체온,맥박 등 건강데이터 수집, 관리의 중심이 되고 있다. 구글도 이에 대응해 애플 헬스키트와 비슷한 구글핏을 선보였다. 이는 다양한 피트니스 및 헬스앱으로부터 수집된 사용자의 모든 건강정보를 한곳으로 모아준다.■구글의 스마트 콘택트렌즈앞서 구글은 당뇨환자의 당뇨수치를 모니터링하는 스마트콘택트렌즈를 발표했다. 이어 지난 여름 노바티스사와 이 스마트콘택트렌즈 생산계약을 맺었다.양측은 먼저 당뇨병환자를 위한 혈당 모니터링용 렌즈와 원시 시력을 가진 사람들을 위한 렌즈를 만들기로 했다.
구글의 당뇨측정용 콘택트렌즈. 노바티스사와 공급계약을 체결해 보급을 준비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사진=구글이 스마트렌즈기술은 눈에 이식하지 않는(Non-invasive)센서, 마이크로칩, 그리고 렌즈안에 들어갈 정도로 소형화된 전자기기 등이 포함된다.이같은 기능을 가진 스마트렌즈는 당뇨병환자의 눈물 방울로 혈당치를 측정하고 무선으로 모바일단말기에 이 데이터를 연계시켜 혈당치를 알게 해 준다. 이는 당뇨병 환자가 몸에 바늘을 찌르지 않고도 지속적으로 혈당관리를 할 수 있게 도와준다.이 스마트콘택트렌즈는 또한 원시 시력을 가진 사람의 시력을 보정해 준다.<기사 출처 : 전자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