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박물관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박물관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5년 12월 7일 월요일

유니온페이 본사 가보니…"마스터 제치고 비자 추격한다"


중국 상하이 차이나유니온페이 본사 박물관에 진열된 자사 브랜드로 세계에서 발급된 카드들.
상하이 본사 1층에 '괘속성장史' 자랑하는 박물관 배치
드라마틱한 '숫자·그래프들'로 '자부심·자신감' 과시 
작년말 기준 발급카드 50억장…한국시장 공략도 본격화 

막강한 '유커(遊客·중국인 관광객)'의 구매력을 바탕으로 세계 신용카드 시장에서 브랜드 파워를 급속히 키워온 회사가 있다.

바로 유니온페이(UnionPay)다.

유니온페이는 2002년 중국 은행카드의 연합체로 출범한 지불결제 서비스 업체다. 한국에선 은련(中國銀聯)카드로 더 많이 알려져 있다.

2012년 글로벌 업무를 전담하는 자회사인 유니온페이인터내셔널(UPI)을 설립해 3년째 글로벌 네트워크를 확대하고 있다.

아직 국내 신용카드 사용자들이 쓰는 카드 겉면에는 비자나 마스터, 아멕스 같은 글로벌 브랜드의 로고가 주로 박혀 있고, 유니온페이의 인지도는 그리 높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명동 등 중국인 관광객이 즐겨 찾는 가게 입구에서 빨간색·파란색·녹색이 섞인 유니온페이 로고를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을 만큼 대중화되고 있다.

이제 유니온페이 카드의 역할은 유커들이 한국에서 하는 신용구매에 머물지 않는다.

한국인 고객에까지 유니온페이 브랜드의 인지도가 서서히 높아지고 있는 것이다.


유니온페이는 중·상위 계층까지 고객을 확대해 한국 시장에서 선발주자인 비자·마스터카드를 제치겠다는 청사진을 갖고 있다.

지난 4일 찾아간 중국 상하이(上海)의 차이나유니온페이(CUP) 본사와 UPI본사의 모습은 설립한 지 불과 10여 년 만에 세계적인 신용카드사들의 경쟁자로 우뚝 섰다는 특유의 자부심과 자신감을 고스란히 엿볼 수 있었다.

요즘 유행하는 표현을 빌리자면 중국 카드의 굴기(<山+屈>起)인 셈이다.

CUP 본사의 1층 박물관에는 유니온페이 설립 이전부터 지금까지 중국 신용카드 산업의 역사를 정리해 보여줬다.

이렇게 정리된 역사의 곳곳은 CUP의 빠른 성장을 자랑하는 드라마틱한 숫자와 그래프로 채워져 있었다.

발급 카드 수는 2011년에 이미 마스터와 비자를 넘어 작년 말 기준으로 50억 장에 달했다. 

연간 거래량도 2012년 마스터를 제친 데 이어 지난해 7조 달러를 넘어서며 비자를 추격 중이라는 지표도 눈에 띄었다.

기본적으로 유니온페이의 쾌속 성장에는 세계 최대 인구를 자랑하는 중국인의 신용카드 사용이 늘어난 점이 주요 배경으로 꼽힌다.

UPI 설명에 따르면 2002년 유니온페이의 설립 이전까지 중국의 소비 중 카드 사용 비중은 2.2%에 불과했으나, 현재는 48%에 이를 정도로 카드 산업이 급성장했다.

이제는 중국인 고객층을 넘어 글로벌 고객의 구매력까지도 자사 브랜드로 흡수하겠다는 것이 유니온페이의 전략이다.

UPI의 둥리(董力) 부총재는 "유니온페이가 이전에는 중국인만을 위한 브랜드였다면 지금은 전 세계 카드 사용자들이 좋아하고 사용할 수 있는 카드로 바뀌어 가고 있다"고 말했다.

K팝을 매개체로 아시아 전역의 젊은 층과 접촉할 수 있는 '엠넷 아시안 뮤직 어워즈(MAMA)'를 BC카드 등과 함께 후원하는 것은 글로벌 고객층을 공략하기 위한 대표적인 마케팅 전략으로 볼 수 있다.

유니온페이가 스위스 시계 브랜드인 스와치와 협업해 내년 출시 예정인 체크카드 기능이 탑재된 시계의 샘플.
스위스의 시계 브랜드인 '스와치'와 협업해 체크카드 기능의 칩을 탑재한 시계를 내년 출시할 예정이기도 하다.

유니온페이는 특히 한국 시장에 주목한다.

둥 부총재는 "현재 유니온페이의 해외시장 중 가장 중시하는 곳이 한국시장"이라면서 "비자와 마스터 브랜드가 강한 홍콩에서 올해 유니온페이가 '넘버원'으로 올라섰는데, 이런 성공사례가 한국 시장에서도 재연되길 바란다"고 했다.

한국 시장에서 고객층 확대에 나서겠다고 선언한 것이다.

그는 "2008년 발급 업무를 시작한 이후 하위레벨의 고객이 주 타깃이었다면 앞으로는 중상·상위 클래스로 상품을 확대할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그는 이런 전략에 따라 그린피 할인, 연습 라운지 무료 제공 같은 골프 관련 서비스와 공항 라운지 이용 혜택 등을 주는 프리미엄 시장에서 회원들이 선호할 프로그램을 내놓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둥 부총재는 국내에서 오랜 제휴관계를 맺고 있는 BC카드와의 협업을 확대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그는 양사 간 제휴를 통해 유니온페이가 자사 고객들에게 BC카드 가맹점을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 덕에 한국 시장에서 빠르게 성장할 수 있었다고 평가했다.

올해 기준으로 외국인이 발급받은 유니온페이 카드는 모두 5천만 장이다. 

이 가운데 32%인 1천600만 장이 한국에서 발급됐다고 한다.
<기사 출처 : 연합뉴스>

2015년 10월 28일 수요일

고흐 '해바라기'…찬란한 노란색 옅어져

이탈리아 과학자, 화학적 성분 분석 결과 드러나 

▲ 반 고흐의 노란 '해바라기'가 화학적 변화로 색이 바래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사진제공=뉴사이언티스트]
찬란했던 노란색
태양같이 뜨거운
그 색이 바래졌다


화려하게 빛났던, 태양처럼 타올랐던 '해바라기'의 색이 바래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빈센트 반 고흐의 대표적 작품인 '해바라기'의 색이 빠르게 퇴색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상세한 부분을 조사했더니 많은 부분이 위기에 처했다는 것이다. 더 이상의 손상을 막기 위한 보호 작전이 필요하다고 전문가는 지적했다. 

해외 과학매체인 뉴사이언티스트는 27일(현지 시간)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연구결과를 비중 있게 보도했다. 7개의 해바라기 중 네 개는 크롬 황색으로 부르는 색소로 그려졌다. 크롬 황색은 19세기에 발명된 납과 크롬이 기본이다. 반 고흐는 미세한 대조와 음영 등을 위해 이 크롬 황색을 섞는 둥의 작업을 했다. 

이 같은 색조가 화학적 변화를 가져오면서 수년 동안 논쟁의 대상이 됐다. 이탈리아 페루자대학의 모니코(Letizia Monico) 박사는 이전 연구에서 "유황이 풍부한 크롬 황색은 빛에 오랫동안 노출되면 변한다"는 것을 증명해 보였다. 모니코 박사 연구팀은 최근 이동 분광계와 X-레이 스캐너를 통해 암스테르담에 있는 반 고흐 박물관에 소장돼 있는 '해바라기'에 대한 조사를 실시했다. 

조사 결과 빛에 매우 민감한 색조를 포함하고 있는 '고 위험' 지역이 나타났다. 정밀 모니터링이 필요하고 나아가 빛의 노출로부터 보호해야 한다는 것이다. 모니코 박사는 고성능의 X-레이를 이용해 '해바라기'에서 미세 현미경으로 관찰 가능한 샘플을 분석했다. 그 결과 그림의 표면에 있는 크롬산납의 일부분이 초록빛의 산화크롬으로 변했다는 것을 파악했다. 반 고흐가 그렸을 당시의 노란색 보다 색깔이 더 어둡고 갈색 색조로 바뀌고 있다는 것이다. 

모나코 박사는 "이미 변질된 부분의 색조를 되돌릴 수 있는 방법은 없다"며 "더 이상 퇴색되지 않도록 보호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빛의 노출, 특히 초록과 파랑 빛으로부터 회피하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고 덧붙였다. 
<기사 출처 : 아시아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