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두바이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두바이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7년 4월 26일 수요일

가족 여행, 두바이로 떠나야 하는 5가지 이유

2010 두바이 엑스포 홍보 현수막이 걸린 부르즈 알 아랍. 두바이관광청 제공© News1
두바이관광청은 지난 1~2월 두바이를 방문한 가족 단위의 방문객이 전년 대비 60% 성장했다고 26일 밝혔다. 관광청에 따르면 두바이는 세계에서 4번째로 관광객이 많이 찾는 여행지로 특히 가족 단위 여행객이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

두바이관광청은 두바이가 가족 여행지로써 좋은 이유 5가지로 Δ안전한 치안 Δ사막 체험 Δ중동 문화 경험 Δ남녀노소 나이 불문하고 즐기는 놀거리 Δ미래도시 경험 등을 꼽았다.

◇ 안전한 치안

아이를 동행하는 여행에서 안전은 필수요소이다. 두바이가 속한 아랍에미리트는 '세계경제포럼'(WEF)의 조사 결과, 세계에서 3번째로 안전한 여행국으로 선정되기도 할 만큼 안전할 뿐 아니라, 교통, 쇼핑 시설, 호텔 리조트 등 여행에 필요한 각종 인프라 또한 쾌적하고 편리하게 정비돼 있다. 

두바이관광청 제공© News1
◇ 사막 체험 

아이를 동행하는 여행자들은 십중팔구 리조트에서만 시간을 보내기 쉽다. 아이들을 데리고 즐길만한 마땅한 놀거리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물론 두바이의 리조트는 세계 어디와도 비교할 수 없는 수준을 자랑한다. 하지만 리조트를 벗어나 1시간 거리에 있는 사막은 아이들에게 전혀 새로운 경험을 선사한다. 열기구를 타고 하늘에서 바라보는 일출, 사막을 가로지르는 사막 사파리와 모래 언덕에서 맞이하는 일몰은 부모와 아이 모두에게 평생 잊지 못할 추억을 만들 수 있다.

◇ 중동 문화 경험

중동은 세계 3대 문명의 발상지임에도 막상 그 문화는 유럽이나 아시아에 비해 폭넓게 알려지지 않았다. 두바이 여행은 아직은 낯선 중동문화를 가장 쾌적하고 개방적인 형태로 즐길 기회를 제공한다. 중동 문화의 모든 것에 대해 질문을 할 수 있는 '셰이크 모하메드 문화이해 증진센터'(SMCCU)의 프로그램에 참여하거나, 현대적으로 해석된 아라비아 문양을 두른 쇼핑몰에서 중동 전통복장을 두른 여유로운 사람들과 자연스럽게 마주치는 것만으로도 중동에 대한 이미지는 전혀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런 경험들은 자녀들에게 세계 인구의 3분의 1을 차지하는 이슬람 문화권에 대한 이해를 높여준다.

레고랜드. 두바이관광청 제공.© News1
◇ 남녀노소 나이 불문하고 즐기는 놀거리

두바이는 가족 관광에 적합한 도시로 처음부터 설계되고 발전된 도시이다. 따라서 할아버지 할머니부터 어린 손자 손녀까지 즐길 수 있는 세대별 프로그램이 예산별로 잘 준비돼 있다. 두바이엔 하늘과 바다, 사막에서 이루어지는 각종 스포츠와 워터파크 및 테마파크, 오페라나 팝과 같은 다양한 공연, 쇼핑, 골프, 전 세계의 요리를 맛볼 수 있는 다양한 음식 등 가족의 어느 구성원도 만족하게 할 것들이 있다.

마디낫 주메이라 호텔. 두바이관광청 제공.© News1

◇ 미래 도시 경험

가족여행은 무엇보다 안전하고 즐거워야 한다. 하지만 자녀를 데리고 여행하는 많은 부모는 여기에 의미도 부여할 수 있기를 원한다. 두바이는 사막의 기적이라고 불리며, 인간의 상상력과 의지가 얼마나 큰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2020 엑스포'를 유치하면서 도시 곳곳엔 기상천외의 프로젝트가 벌어지고 있다. 두바이에 높게 솟은 '부르즈 칼리파'는 전 세계에서 가장 높은 빌딩으로 불과 50여 년 전 사막에 도시를 건설하기 시작한 두바이가 이룩해낸 눈부신 발전을 상징한다. 두바이에서라면 아이들에게 꿈꾸는 것의 소중함과 미래를 동시에 보여줄 수 있다.
<기사 출처 : 뉴스1>

2016년 4월 13일 수요일

두바이에 또 최고층건물…현대판 '바빌론 공중정원' 재연

두바이에 들어설 초고층 건물 '더 타워'의 모습. (에마르 프로퍼티 제공) © 뉴스1
(서울=뉴스1) 정이나 기자 = 아랍에미리트연합(UAE) 두바이에 현존하는 세계 최고층 빌딩인 부르즈칼리파보다 높은 건물이 들어선다. 

10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두바이의 부동산 개발회사 '에마르 프로퍼티'(Emaar Properties)는 두바이 월드 엑스포가 열리는 2020년까지 세계 최대 높이의 건물 '더 타워'를 완공한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두바이에 들어설 초고층 건물 '더 타워'의 모형. AFP=뉴스1
'더 타워' 건립에는 10억달러(약 1조1472억원)가 투입되며 현재 두바이크릭에 짓고있는 6㎢ 면적의 주상복합 지구 안에 들어설 예정이다. 

스페인 출신 건축가 산티아고 칼라트라바 바야스가 백합과 미나레트(이슬람 사원의 첨탑)에서 영감을 받아 건물을 설계했다. 

완공될 경우 '더 타워'는 828m 높이의 부르즈칼리파를 뛰어넘는 높이가 된다.

에마르 프로퍼티의 모하메드 알라바르 최고경영자(CEO)는 구체적인 높이는 밝히지 않고 부르즈칼리파보다 '한 단계(a notch)' 더 높아질 것이라고 전했다. 

호텔, 레스토랑은 물론 꼭데기에는 회전형 발코니와 공중정원도 들어선다. 이에 세계 7대 불가사의로 꼽히는 '바빌론 공중 정원'의 재연이라는 설명도 따라붙는다. 

한편 사우디아라비아 제다에도 높이 1km에 달하는 세계 최고층 건물 '제다타워'가 건설중이다. 

WSJ는 "UAE와 사우디가 세계 최고층 건물 건립을 놓고 경쟁을 벌이고 있다"고 전했다. 


(에마르 프로퍼티 제공) © 뉴스1<기사 출처 : 뉴스1>

2015년 11월 20일 금요일

인도 외교부 "말리 호텔 인질 중 인도인 20명…아직은 안전"

말리 수도 바마코의 래디슨블루 호텔에서 20일(현지시간) 이슬람 무장단체로 추정되는 괴한들이 170명을 붙잡고 인질극을 벌인 가운데 인도인 20명이 인질에 포함됐다고 인도 외교부가 밝혔다.

비카스 스와루프 인도 외교부 대변인은 인질로 잡힌 인도인들은 두바이에 본사를 둔 회사 직원으로 이 호텔에 장기투숙하고 있었으며 지금까지는 안전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고 일간 타임스오브인디아 인터넷판이 전했다.

말리 주재 인도 대사가 현재 이들과 접촉을 시도하고 있으며 상황을 주의깊게 보고 있다고 스와루프 대변인은 덧붙였다.

현재 말리군 특수부대가 호텔로 진입해 170명 가운데 80명의 인질이 석방된 것으로 알려졌으나 인도인 인질의 석방 여부는 파악되지 않고 있다.
<기사 출처 : 연합뉴스>

2015년 8월 6일 목요일

중동지역 건설 수주액 72% 급감…해외수주 전년치 밑돌듯

중동지역 해외건설 수주 계약금액이 1년 전의 약 4분의 1 수준으로 줄었다.
저유가 탓에 중동 수주물량이 급격히 줄었기 때문인데, 이런 추세면 올해 전체적인 해외 수주액도 지난해보다 크게 줄어들 것으로 우려된다.
6일 해외건설협회에 따르면 1~7월 해외건설 계약액은 265억2337만달러로, 1년 전 같은 기간(408억1530만달러)에 비해 35% 줄어들었다. 해외에서도 건설 시장 전반으로 업황이 안좋은 영향도 있지만 한국 건설사들의 수주 텃밭인 중동 지역 수주물량이 급감한 영향이 크다.
중동, 아시아 등 각 지역별 수주액 비교자료. 중동 지역은 2015년 1월~8월(5일) 기준으로 수주 계약액이 급격히 줄어든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아시아 지역 수주금액은 2배 가량 늘었다. /해외건설협회 제공
중동지역 수주액은 71억7285만달러로, 1년 전 259억2491만달러에 비해서 72.33% 급감했다. 1년 전의 약 4분의 1 수준인데 이라크, 아랍에미리트, 알제리, 쿠웨이트 등 발주물량이 급격히 줄어들었다. 이라크 지역 수주액은 27억1281만 달러로 1년 전 80억6056만달러에서 66.3% 줄었다. 아랍에미리트는 1년 전 16억6750만달러에서 5분의 1 수준인 3억359만달러로 크게 감소했다.
지난해 42억4809만달러 수주고를 올렸던 알제리는 1억달러도 안되는 9383만달러에 그쳤다. 9억달러대 수주고를 올렸던 이집트와 카타르에서도 5000만 달러 미만을 수주하는데 머물렀다.
2014년 71억원대 수주고를 기록했던 쿠웨이트 지역에서는 통계상으로 수주액이 341만 달러에 그쳐 사실상 제로에 가까웠다. 다행히 7월 말 대우건설, 현대중공업, 현대건설, SK건설, 한화건설이 쿠웨이트 알 주르 신규 정유공장(NRP) 프로젝트 5개 패키지 중 4개 패키지를 54억달러에 수주하며 체면치레는 했다.
중동 수주가 크게 줄어든 것은 지난해 말부터 시작된 저유가 타격이 크다.OPEC이 11월부터 생산량을 유지하기로 결정한 이후 유가가 급락했는데, 이 때문에 중동 산유국에서 1분기까지 주요 프로젝트에 대한 결정을 내릴 수가 없었다. 게다가 2분기에도 주요 프로젝트를 정확히 어떤 시기에 발주하겠다고 언급하지도 않은 채 상황을 지켜보고 있었던 것이다.
이 때문에 사실상 해외건설쪽에서 상반기는 실적을 올리기가 쉽지 않았다. 하반기에 접어들어서야 쿠웨이트 NRP와 같은 대형 프로젝트 발주가 시작됐다. 하지만 올해 중동에서의 석유, 화학, 플랜트 분야 발주물량이 과거만큼 많지 않을 것으로 업계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게다가 3~4년 전까지 공격적으로 수주에 나섰던 건설사들도 과거와는 달리 보수적이다. 실제로 대림산업, 삼성엔지니어링과 같은 대형 건설사들은 중동에서 무리하게 수주한 탓에 영업이익에 큰 타격을 입기도 했다. 이 때문에 무리한 수주에 나서지 않고 있고 NRP 역시 공종별, 프로젝트별로 나눠서 수주하고 있다.
결국 거시적 경기 측면에서도 시장이 축소될 수 밖에 없고 기업들도 조심스러울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중동과는 다르게 아시아에서의 수주 실적이 개선되고 있다. 중국, 중앙아시아에서의 수주금액이 늘었기 때문이다. 1~7월 아시아 지역 수주액은 137억 달러로 1년 전 같은기간 75억달러에 비해서 2배 가까이 증가했다. 하지만 규모 측면에서는 중동 시장과의 격차가 커서 전체적인 해외건설 수주고 회복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아시아에서는 중앙아시아의 독립국가연합(CIS) 지역 수주액이 눈에 띈다. 특히 투르크메니스탄에서 수주액이 48억3358만달러에 달해 1년 전의 10배를 뛰어넘는 수주를 기록했다. 베트남에서도 34억3886만달러의 수주를 기록하며 1년 전보다 10억달러 가까이 수주액이 늘었다. 중국에서도 3억2000만달러에 불구했던 수주액이 11억200만달러까지 증가했다.


최중석 해외건설협회 정책기획처 부장은 “중동지역 수주 여건은 상반기보다 하반기가 나아 보이지만 전체적으로 물량이 줄어든 것은 어쩔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며 “최근에는 천연가스 매장이 많은 중앙아시아, 유라시아 등이 주요 시장으로 떠오르고 있다”고 말했다.
<기사 출처 : 조선비즈>

2015년 5월 8일 금요일

“침실이 바다 밑에…용궁이 따로 없네” …2016년 두바이에 ‘럭셔리 보트 하우스’ 등장

“침실이 바다 밑에…용궁이 따로 없네” …2016년 두바이에 ‘럭셔리 보트 하우스’ 등장 기사의 사진
데일리 메일 캡처


“바다 속 침실에서 물고기, 산호를 보며 잠을 자고… 바다 위 미니 바에서 멋진 석양을 바라보며 와인 한잔하는 여유! 상상만 해도 즐겁지 않나요?” 

오는 2016년 쯤 아랍에미리트 두바이에 이처럼 ‘럭셔리 보트 하우스’가 등장할 것으로 보인다. 제임스 본드 영화에 나올 법한 ‘용궁 같은 집’이 세계에서 처음 만들어지는 것이다.

7일(현지시간) 영국 데일리메일 보도에 따르면 세계적인 디자인 회사인 ‘클라인디엔스트 그룹’이 바다 위에 ‘둥둥 떠 다니는 해마 빌라(Floating seahorse villa)’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일명 ‘하우스 보트(house boat)’다. 기술적으로 추진 기관이 없어 바다 위를 떠 다니는 집인 셈이다.

클라인디엔스트 그룹은 세계 아일랜드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아라비아 만의 바다에 떠 다니는 3층짜리(3 decks) 빌라 42개를 만들 계획이다. 빌라의 침실과 화장실이 있는 1층은 바다 밑에 잠겨 있다. 거주자들은 휴식을 취하면서 바다 생물들로 둘러쌓일 수 있게 된다. 



해수면 층은 오픈된 부엌과 거실 공간이다. 미니 바와 바닥이 유리로 된 자쿠지가 있다. 개발자들은 집 아래 인공 산호초도 만들 계획을 세우고 있다. 이런 특별한 집을 찾는 유명 인사나 갑부들의 사생활 보호를 위해 완벽하게 옮겨질 수도 있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이 ‘호화 수중 집’의 가격은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 

개발자들은 “멸종 위기의 해마를 보호할 인공 산호초도 집 밑에 만들 것”이라면서 “거주자들에게 놀라운 바다 밑 풍경을 보여 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프로젝트는 지난 3월 두바이 국제보트쇼에서 처음 제시됐으며 지난 4일(현지시간) 처음 발표됐다. 발표 이후 회사는 사우디아라비아, 카타르, 캐러비안 국가, 스웨덴, 포르투갈 등으로부터 뜨거운 관심을 받았다.

클라인디엔스트 그룹의 CEO 조셉 클라인디엔스트는 “플로팅 시호스 빌라의 완공 시기를 2016년으로 잡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또 “수개월간 연구, 디자인, 기획을 거쳤다. 이런 수중 집을 두바이에 짓는 것에 모두 흥분돼 있다”면서 “혁신적 디자인으로 최고의 수중 생활을 위한 럭셔리 라이프 스타일 시장에 새로운 벤치마크를 찍을 것”이라고 자신했다.  

클라인디에스트 그룹 측은 플로팅 시호스 빌라가 두바이 바다에 국한되지 않는다고 말한다. 전세계 휴양 리조트에 들어설 수 있도록 두바이에서 디자인되고 조립될 수 있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클라인디에스트씨는 “해마는 멸종 위기종이다. 우리는 럭셔리 휴양공간 밑에 인공 산호초를 만들어 해마가 안전하게 살아가고 새끼도 낳을 수 있도로 보호할 것”이라고 밝혔다.
<기사 출처 : 국민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