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악성코드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악성코드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6년 9월 16일 금요일

"추석에 영화나 다운 받을까?" 보안업계, 악성 파일 주의보

영화 파일로 위장해 악성 파일이 유포 중인 토렌트 화면 © News1
악성코드 유포를 노리는 해커들에게 추석 명절은 대목이다. 연휴 기간 최신 영화나 드라마를 다운 받는 사람들이 적지 않고 업무용 PC의 경우, 보안이 소홀한 채 장기간 사용하지 않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안전한 추석을 보내기 위해서 보안업계는 영화 파일이나 게임 등은 공식 사이트나 앱 마켓 등을 통해 내려받는 게 안전하다고 조언한다. 

실제 이달 들어 파일 공유 프로그램인 토렌트(Torrent)에서는 '부산행'을 위장한 악성 파일이 발견되기도 했다. 이 파일을 실행하면 가짜 동영상 파일과 함께 악성 코드가 함께 다운로드된다. 악성 코드가 심어지면 중요 파일을 암호화한 뒤, 이를 푸는 대가로 금전을 요구하는 경우도 잦다. 

외부에서의 지출, 결제가 많은 명절엔 공인인증서가 담긴 USB를 가지고 다니는 경우가 많다. 휴게소나 펜션, 콘도 등 외부 PC에서 USB를 사용하면 개인정보가 유출되기 쉬운 만큼, 주의해야 한다. 

공공장소에서는 제공자가 불분명하거나 보안이 적용되지 않은 와이파이(WiFi)는 가급적 사용하지 말고, 연휴 동안 장기간 사용하지 않는 PC는 전원을 꺼 네트워크에서 분리하는 것이 안전하다.

최근 일상화된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역시 안전지대가 아니다. 연휴 기간 사용 빈도가 더 잦은 만큼, 인증된 기기에서만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공용PC 또는 무선인터넷 사용 후엔 로그아웃을 확인하고 로그인 내역을 점검해 외부인의 접속 내역을 확인하는 것도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전문가들은 PC와 모바일 모두, 최신 보안 패치로 업데이트하는 것을 조언한다. 보안업체 관계자는 "백신 프로그램을 한번 설치하면 업데이트를 소홀해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며 "구 버전으로는 최신 악성 해킹을 방어하기 어렵기 때문에 최대한 자주 업데이트해줘야한다"고 조언했다.
<기사 출처 : 뉴스1>

2015년 11월 9일 월요일

애플 iOS 노린 악성코드 포착

애플의 운영체계인 iOS를 노린 악성코드가 지속적으로 활동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파이어아이는 최신 버전의 iOS까지 영향을 미치는 악성코드 '엑스코드고스트' 변종을 발견했다고 9일 밝혔다. 엑스코드고스트는 지난 9월 논란이 됐던 iOS 악성코드다.

파이어아이에 따르면 210개의 기업 네트워크에서 엑스코드고스트에 감염된 애플리케이션이 작동된 것을 발견됐고 약 2만8천번이 넘는 명령제어(Control-and-Command) 서버 연결 시도를 감지됐다.

기사이미지

지난 9월 엑스코드고스트 감염 사태 이후 애플은 감염된 앱을 앱스토어에서 차단했다. 하지만 파이어아이는 애플의 후속 조치에도 불구하고 악성코드가 미국 기업 네크워크로 침입해 지속적인 보안 위협을 가하고, 그 봇넷(Botnet)의 일부 역시 아직까지 활동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했다.

또한 엑스코드고스트S(XcodeGhost S)라 불리는 변종 악성코드에 의한 침해 사례가 추가로 발견됐는데 이는 iOS9까지 영향을 미치는 변종으로 기존 탐지 체계(static detection)를 우회한다는 게 파이어아이 측 설명이다.

파이어아이 모바일 위협 분석 플랫폼(MTP)은 엑스코드고스트S에 실제 감염된 앱을 탐지했다. 이 앱은 '자유방(自由邦)'이라 불리는 여행자용 쇼핑 앱으로 미국과 중국 앱스토어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다. 현재는 애플에 의해 앱스토어에서 차단됐다.

기사이미지

파이어아이가 발표한 엑스코드고스트 침해 범위에 따르면 엑스코드고스트의 CnC서버 콜백 시도 횟수를 살펴봤을 때 가장 많은 국가는 독일, 미국, 프랑스였으며 산업별로는 교육, 첨단산업, 제조업, 통신업체가 상위권을 차지했다.

기사이미지

파이어아이의 동적 위협 인텔리전스(DTI)에 수집된 자료에 의하면 감염된 앱은 152개에 달하며 왕이윈음악(网易云音乐)과 위챗(WeChat) 등 중국 기반 앱이 가장 많이 감염됐다.

대부분의 앱 업체들이 해당 앱을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많은 사용자들은 구버전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iOS버전에 따른 감염 여부를 살펴보면 70%에 가까운 비율로 구 버전에서 감염이 이뤄졌다.

기사이미지

전수홍 파이어아이코리아 지사장은 "엑스코드고스트에 감염된 애플리케이션이 기업 네크워크에서 대거 발견된 만큼 기업보안을 위해 직원들은 엑스코드고스트를 포함한 악성 iOS 앱에 대해 경각심을 가지고, 모든 앱을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 해야 한다" 전했다.

이어 "애플에 의해 차단 됐던 앱의 경우 해당 앱 사용자들은 앱을 제거하고 앱스토어에서 감염되지 않은 앱으로 다시 다운로드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기사 출처 : 아이뉴스24>

2015년 11월 5일 목요일

스마트폰 개인정보 노리는 '랜섬웨어' 주의

스마트폰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암호화한 뒤 암호 해제의 대가로 금품을 요구하는 악성 코드인 '랜섬웨어'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모바일 백신 '360 시큐리티'는 올해에만 약 4만 건의 모바일 '랜섬웨어'가 확인돼 지난해보다 6배 이상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고 밝혔습니다. 

모바일 '랜섬웨어'는 대부분 스마트폰 기기를 잠그는 락커 방식이나 내부의 중요한 파일을 암호화하는 크립토 방식인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랜섬웨어' 피해를 막으려면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할 때, 반드시 모바일 백신을 이용해 신뢰할 수 없는 소스가 포함돼 있는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기사 출처 : YT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