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가솔린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가솔린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6년 9월 11일 일요일

[수입차시장 바뀐다]떨어진 신뢰, 위축된 수요

국내 수입차 판매량이 감소했다. 아우디폭스바겐의 판매정지로 지난달 판매량이 1만6000대에 그쳤다. 메르세데스-벤츠가 5000대 가까이 팔며 선전했지만 아우디가 470여대, 폭스바겐이 70여대 판매에 그치며 전체 실적을 끌어내렸다.

한국수입자동차협회에 따르면 8월 수입차 신규 등록대수가 전년보다 12.5% 감소한 1만5932대로 집계됐다. 브랜드별 등록대수는 벤츠가 4835대로 1위를 차지했다. 이어 BMW가 3047대로 2위, 포드(912대)와 랜드로버(866대), 토요타(824대) 등이 뒤를 이었다. 벤츠는 지난달에 이어 8월에도 4000대 넘는 판매고를 올리며 BMW와의 격차를 벌렸다. 앞서 6월 1위였던BMW는 8월 3047대 판매에 그쳤다. 전월대비로는 15% 늘었지만 전년대비로는 16%가 빠졌다. 치열한 1위 경쟁을 벌이고 있는 벤츠와 BMW의 올해 1~8월 누적 판매는 각각 3만3507대, 2만8839대로 이제는 5000대까지 벌어졌다.

정부로부터 80개 모델, 8만3000대의 인증취소 ·판매정지 처분을 받은 폭스바겐코리아는 지난 8월 총 76대의 차량을 판매했다. 행정처분을 받지 않은 투아렉과 CC의 판매량으로 전월보다는 82%, 전년보다는 98% 가까이 판매량이 줄었다. 아우디코리아 역시 판매량이 급감했다. 8월 476대를 팔며 지난달보다는 70%, 지난해보다는 83%가 빠졌다.

디젤 게이트 여파도 지속되고 있다. 8월 가솔린 판매량이 6195대로 지난해보다 25% 늘어난 반면 디젤차 판매는 8664대로 72%나 줄었다. 디젤 수입차는 올들어 누적 판매량에서도 9만2626대 판매에 그치며 지난해(10만9502대)보다 15% 줄어든 상태다.

수입차 시장은 이미 올해 반기 기준 7년만에 감소한 상태다. 올해 상반기(1~6월) 수입차 신규 등록 대수는 11만6749대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6% 줄었다. 상반기 수입차 시장 판매가 내림세를 보인 것은 2009년 이후 처음이다. 디젤 게이트 논란으로 인해 수입차 판매를 이끌던 아우디와 폭스바겐이 부진하면서 수입차 전체 판매량이 감소했다.

디젤차 판매도 크게 줄었다. 상반기 디젤차 판매 대수는 7만5676대로 지난해 상반기(8만2023대)보다 7.7% 빠졌다. 디젤 비중도 지난해 상반기 68.4%에서 올해 64.8%로 3.6%포인트 하락했다. 

이같은 추세는 8월까지 이어지고 있다. 1~8월 누적 수입차 판매량은 14만8411대로 전년동기보다 6.5% 감소했다. 윤대성 한국수입자동차협회 전무는 "8월 수입차 시장은 일부 모델의 판매중단으로 지난해보다는 감소했지만 주요 업체들의 신차 출시 효과로 지난달보다는 소폭 상승세를 보였다"며 "하반기에도 신차 출시가 예정돼 있지만 당분간 감소 기조가 이어질 전망"이라고 밝혔다.
<기사 출처 : 아시아경제>

2016년 2월 9일 화요일

하이브리드車 정숙성 뛰어나다는데 정말일까?

가솔린 엔진과 전기모터를 탑재한 하이브리드 차량의 정숙성이 알려진 것과 달리 국내 일부 차종은 시끄럽다는 지적이다.

회원 20만명을 보유한 국내 한 하이브리드차 관련 인터넷 카페 게시글에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엔진 소음이 시끄럽다는 불만이 쇄도하고 있다. 차량 운행시 전기모터가 구동할 경우 정숙성이 뛰어난 반면 배터리 충전 등의 이유로 가솔린 엔진 개입시 소음이 경운기 소리 뺨치게 시끄럽다는 내용이다. 하이브리드 차량은 가솔린 엔진과 전기모터가 함께 구동하는 방식으로 움직인다.

몇몇은 엔진이 심하게 떨리면서 굉음이 심하게 난다며 차량 결함 가능성까지 거론하고 있다. 문제를 제기한 하이브리드 차량 운전자가 인터넷 게시판 등에 올린 동영상을 확인하면 실제 소음이 상당해 보인다. 해당 동영상에는 ‘디젤 차량보다 소음이 크다’며 공감을 나타내는 댓글이 줄을 이었다.

하지만 제조사는 하이브리드 차량에서 심한 소음이 발생한다는 운전자들의 불만에 차량 결함 가능성은 없다고 일축한다. 해당 제조사 직영 사업소(AS) 관계자는 “차량 엔진의 특성상 소음이 발생할 수 있다”면서도 “차량 결함으로 볼 수 없다”고 말했다.

종종 엔진이 심하게 떨리면서 굉음을 내는 증상에 대해서도 문제가 없다는 입장을 밝히고 있다.

 그러나 최근 이 회사는 엔진 떨림 현상에 대해서 ‘점화코일’ 불량 문제를 제기하는 일부 운전자들에게만 무상으로 점화코일을 교체해 주고 있다.

연비 논란도 뜨겁다. 공인 연비 대비 실제 연비가 절반에도 못 미친다는 불만이 그것이다. 이에 대해 차량 제조사 측은 “연비는 운전습관과 도로사황에 따라 차이가 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기사 출처 : 매일경제>

2015년 10월 20일 화요일

디젤차의 몰락… 국내 자동차업계 영향은

폴크스바겐 ‘디젤게이트’ 한 달 후진하는 디젤차 … 전기차 전환 ‘가속페달’ 밟는다
폴크스바겐 그룹의 디젤차 배기가스 조작사건은 전세계 자동차 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세계 각국은 이번 사태가 자국의 자동차산업에 미칠 영향을 분석하느라 분주한 모습이다. 디젤차 판매가 급감할 것으로 전망되면서 가솔린차나 전기차, 하이브리드차 중 반대급부를 누릴 차종과 폴크스바겐의 점유율 일부를 어떤 브랜드가 가져갈지가 관심사이다. 특히 유럽이나 인도, 우리나라 등 디젤차 비중이 높은 지역에서 시장 변화가 클 것으로 예상된다.

클릭하면 큰 그림을 볼 수 있습니다.

◆미국보다 유럽·인도·한국 시장 변화 클 것

20일 미국의 자동차산업 시장조사기관인 LMC 오토모티브에 따르면 지난해 미국에서 팔린 폴크스바겐 차량의 16%가 디젤차였지만 올해 그 비중은 10% 미만으로 줄어들 전망이다. 폴크스바겐은 이달 초 미국 내 4실린더 2LTDI 디젤엔진을 장착한 모든 신차 판매를 전면 중단했다. 이로써 폴크스바겐은 올해 미국에서 지난해보다 4만대가량 줄어든 56만대 판매에 머무르고, 시장 점유율은 지난해 3.6%에서 올해 3.3%로 약 8.3% 하락할 전망이다. 지난해 3.5%가량인 미국 내 디젤차 점유율도 올해 소비자 신뢰 감소로 최악의 경우 3% 아래로 떨어질 것으로 보인다. 디젤 게이트가 발생하기 전까지만 해도 미국 내 디젤차 비중이 빠르게 증가하는 추세였다는 점을 고려하면 이번 사건의 파장이 예상보다 크다.

지역별로는 지난해 판매된 전체 차량의 절반 이상이 디젤차였던 유럽연합(EU)과 인도, 40%에 육박한 우리나라 등의 자동차 시장이 큰 변화를 겪을 전망이다. 일반적으로 차를 살 때 가솔린과 디젤, 세단과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등 단순한 카테고리 안에서 선택하는 경향이 짙어 디젤차의 빈자리는 단기간에는 차 값과 운행성능 면에서 유사한 가솔린차가 메울 것으로 관측된다. 중장기적으로는 디젤차의 대체재로 하이브리드차가 부각되고 있고, 전기차로의 전환도 빨라질 수 있다. 이번 사태 이후 디젤차에 대한 환경규제가 강화되면서 차 값과 유지비가 증가하면서 하이브리드차나 전기차와의 가격차가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국내 완성차업체들에게 ‘작은 기회’가 올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현대차는 미국에서 하이브리드차와 전기차를 출시했고, 지난 8월 독일 전기차 시장에서는 기아차 쏘울 EV가 판매 1위에 오른 만큼 독일 디젤차가 빠진 시장 점유율 일부를 가져올 것으로 보인다. 구체적으로 현대·기아차가 미국에서 0.2∼04%p, 유럽에서 1.6∼3.0%p 점유율을 확대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1∼2년 새 디젤차 늘린 국내 업체의 명암

이번 디젤 게이트로 국내 수입차 시장의 70%를 장악한 독일 디젤차의 타격이 예상된다. 그렇다고 최근 1∼2년 새 디젤 라인업을 확대한 국내 완성차업체들이 마냥 웃을 수 없는 게 현실이다. 폴크스바겐처럼 ‘클린 디젤’을 전면에 내세운 것은 아니지만 디젤 엔진에 대한 소비자 신뢰가 훼손된 상황이라 국산 경유차도 비상이 걸렸다. 실제 지난해 현대차와 기아차의 디젤차 비율은 각각 32.6%와 36.0%였지만, 올해 1∼8월에는 그 비율이 37.4%와 45.9%로 껑충 뛰었다. 한국GM, 쌍용차, 르노삼성차 등도 최근 몇 년 새 디젤차 비율을 경쟁적으로 늘려온 만큼 이번 디젤 게이트로 타격을 입을 수도 있다는 지적이다. 특히 해외 수출 차량의 디젤차 비율도 함께 확대하는 상황에서 디젤차 내수와 수출이 ‘동반하락’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올해 8월까지 판매된 차량 10대 중 7대가 디젤차인 국내 수입차 시장의 지각 변동도 예상된다. 일단 10월에는 폴크스바겐 차량의 판매가 반토막 날 것으로 보이고, 아우디의 경우 브랜드가 전면에 등장하지 않고 피해 차량도 많지 않았던 까닭에 예년 수준을 유지할 전망이다.

디젤 게이트에 연루된 두 브랜드 외에 BMW와 메르세데스-벤츠 등 다른 독일차 판매가 관심사다. 1∼8월 독일 4개사 가운데 벤츠의 디젤차 비율이 59.53%로 가장 낮아 이번 사태 여파가 가장 작을 것으로 관측되고, 디젤차 비율이 83.06%인 BMW도 판매에 일부 영향을 받을 전망이다.

도요타와 혼다, 피아트 등은 국내에서 판매하는 디젤차가 아예 없어 오히려 반사이익이 예상된다. 반면, 판매량 전체가 디젤차인 시트로엥과 푸조는 이번 사태 여파에 따라 판매가 줄어들 공산도 있다.
<기사 출처 : 세계일보>

2015년 10월 18일 일요일

간단하지만 획기적인 혼유 사고 방지 주유구

지난 14일부터 17일까지 화성 현대기아 기술연구소에서 열린 ‘현대기아 R&D 모터쇼’에 현대 신형 아반떼에 적용된 혼유 사고 방지 장치가 선보였다.
 
지난 해 국내에서 혼유 사고로 인한 차량 수리 및 분쟁 건수는 125건에 달하며, 수리비는 최소 200만 원에서 많게는 1,200만 원에 이를 정도로 문제가 심각했다.
 
 자동차 사진 

가솔린과 승용 디젤의 주유건 외경은 각각 21mm, 24mm다. 이 때문에 승용 디젤 주유건으로는 가솔린 차량에 연료를 주입할 수 없으나, 가솔린 주유건으로는 디젤차량에 주유가 가능해서 혼유 사고 발생 가능성이 적지 않았다. 특히 최근에는 디젤 세단들의 수요가 급증하면서 혼유 사고 사례가 급증했고, 불안감에 시달리는 운전자들은 셀프 주유소에서만 주유를 하는 경우도 많아졌다.
 
 자동차 사진 

기존에는 주유건이 주유구보다 작기만 하면 주유가 가능했는데, 이번에 현대차가 선보인 주유구는 주유건과의 사이즈가 정확히 일치해야만 주유가 가능하도록 했다. 만약 사이즈가 작은 가솔린 주유건을 주유구에 삽입하면 양쪽의 차단막에 닿지 않아 삽입자체가 불가능하다. 대신 주유구와 정확히 일치하는 디젤 주유건을 삽입하면 슬라이드가 전개되면서 차단막이 열리도록 설계됐다. 간단한 장치지만 매우 효과적으로 혼유 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자동차 사진 

현재 국산차 중 혼유 사고 방지 디젤 주유구는 현대 신형 아반떼에 적용되었으며, BMW, 아우디, 폭스바겐 등의 유럽산 디젤차량들은 이미 폭넓게 혼유 사고 방지 구조를 활용하고 있다.
<기사 출처 : 오토트리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