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하와이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하와이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6년 8월 16일 화요일

"태어날 아이 첫 선물" 상술에 놀아나는 원정출산

- 만삭 임산부, 하와이·괌·사이판 등 미 현지 출산 ‘기승’
- 제왕절개·산후 전문조리 등 이용시 수천만원 더 들어
- 유학 등 법망 헛점 이용해 이중국적 취득하는 편법도

우리나라에서 매년 미국 원정출산으로 연 5000명 가량의 아이가 태어나고 있다. 두달간의 원정 출산 기간동안 약 2000만원에서 3000만원의 출산비용이 드는 것으로 알려졌다.(사진은 본 기사와 무관)
 “법적으로 아무런 문제가 될 것이 없어요. 전문가들이 미 출입국 심사 답변에서부터 숙소, 병원, 의료 컨설팅 등 모든 문제를 해결해 줍니다. 태어나는 내 아이에 첫 선물이라고 생각하시고 투자하세요” (원정출산 전문업체 직원)

미국 시민권 취득을 돕는 원정 출산 전문업체들과 연결은 어렵지 않다. 이들은 미 현지에병원, 산후조리원 등과 연계한 출산 대행업체를 두고 한국에서 사무소를 운영한다. 

좀더 규모가 큰 업체는 미국 현지에 한국계 병원과 대형 산전·산후 조리원을 차려 놓고 온라인 커뮤니티 등을 통해 고객을 모집한다. 원정 출산에 따른 비용은 두달 동안 2000만~3000만원이다. 

현행법상 관광비자를 받아 미국으로 출국해 아이를 낳는 것은 관광비자 규정에 위배되는 행위다. 그러나 원정 출산 전문업체들은 “도덕적인 문제일 뿐 법적으로 불이익을 받을 가능성은 전혀 없다”며 부모들을 유혹한다.

실제로 법무부 산하 출입국관리사무소는 원정출산으로 태어난 아이가 성인이 된 이후 어느 한 국적을 포기하거나 이중국적을 신청할 경우 체류기간 등 제출서류를 보고 후행적인 심사를 할 뿐이다. 

◇ 태교여행 위장해 사이판·괌·하와이서 원정출산 성행 

원정 출산을 떠나는 산모들은 괌, 사이판, 하와이 등 미국 영토인 휴양지로 몰린다. 최근 유행하는 태교여행을 가장해 입국하기가 쉽고 몸조리를 하기도 편해서다. 원정출산 전문업체들은 휴양지에 대형 산후조리원을 운영하며 현지 병원과 연계해 원정 출산을 유도한다. 

본지 취재 결과 괌, 사이판에서 자연분만을 전제로 한 원정출산에는 비행기값 숙소비용 등을 모두 합해 임산부 1인당 2개월(60일) 기준 최소 2만 달러다. 하와이는 7000~8000달러 가량 더 비싸다. 

다만 미 현지에서 추가로 발생하는 비용이 만만치 않다. 하와이에서 출산 대행업체를 운영하고 있는 관계자는 “산후 조리를 위해 친정 엄마나 남편 등 가족들이 오기 때문에 방 두 개가 있는 숙소를 잡는 경우가 많다”며 “이경우 최소 1만 달러 정도 비용이 더 든다”고 전했다. 

또한 남편과 친정 엄마 등 가족이 동행할 경우 비행기 값과 식사비 등은 별도다. 3주에 3500~5000 달러 가량 드는 산후 전문 조리사 서비스 등도 추가 옵션 사항이다. 자연분만이 아닌 제왕절개를 하게 될 경우 의료비는 8000달러(자연분만)에서 1만 3000달러(제왕절개)로 5000달러 이상 늘어난다.

복지부 관계자는 “원정출산이 명백한 불법행위는 아니어서 제재할 수단은 없다”라며 “과도한 원정출산 비용문제에 대해서는 실태조사 등을 고려해 보겠다”고 말했다.

◇“유학생 위장하면 이중국적 가능” 편법 알선도

지난 2005년 개정된 국적법으로 원정출산의 경우 예외없이 성인이 된 이후에는 이중 국적을 가질 수 없다. 현행법상 원정출산으로 태어난 남자들은 정상적인 병역 의무를 마치기 전까지는 한국 국적을 포기할 수 없다. 원정 출산으로 이중 국적을 유지하고 있는 여성은 만 22세 이후 한 곳의 국적을 포기해야 한다. 

국적법상 예외규정은 있다. 자녀가 출생할 당시 부모가 유학이나 상사 주재원, 공무 파견 등의 사유로 외국에 있었다면 이중 국적 취득이 가능하다. 최문정 법무부 국적과 사무관은 “부모가 자녀 출생을 전후해 2년 이상 외국에 체류하거나 외국의 영주권 등을 취득한 경우, 자녀 출생 당시 유학·공무파견 등 사유로 오랜 기간 외국에 머문 경우에는 원정출산으로 간주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이런 법규정의 헛점을 노려 유학 등을 빌미로 외국에서 아이를 출산하는 경우도 있다. 

한 원정출산 전문업체 관계자는 “학생비자(F1)로 1년 이상 체류하면서 출산을 하게 되면 자녀가 성인이 된 이후 한국에서 외국국적 불행사 서약 방식으로 복수 국적 유지가 가능하다”면서 “미리 유학을 준비하거나 해외 파견 등의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도 많다”고 귀띔했다. 

서울 목동에 사는 김명준(가명·38)씨는 “원정출산으로 내 아이가 해외에서 질 높은 교육을 선택해 받을 수 있고 성인이 된 이후에도 세제, 의료 혜택 등 좋은 환경에서 생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고 들었다”며 “사회적 지탄을 받을 수 있지만 범법 행위도 아니고 나쁠 건 없다고 본다”고 말했다. 




<기사 출처 : 이데일리>

2015년 11월 9일 월요일

하와이, 노숙인 '천국'…무너진 하와이 드림



세계 최고의 휴양지로 꼽히는 하와이가 노숙인의 천국으로 변모했다. 하와이 인구 10만 명당 487명이 노숙인으로 미국 50개 중 뉴욕주(州)를 제치고 정상을 차지했다. 

미 연방 통계청에 따르면, 2010년 이후 하와이 노숙인 수치는 꾸준히 증가해왔다. 경기 회복으로 미국 전역의 노숙인 비율이 감소세를 나타낸 것과는 대조적이다. 해변에서 잠을 청하는 노숙인들로 인해 세계적인 휴양지인 하와이의 이미지는 치명상을 입었다.

하와이의 노숙인은 2014~2015년 사이에만 46%가 증가했는데 이렇게 단기간에 노숙인이 급증한 요인 중 하나는 미크로네시아인들의 유입이 증가한 것이다. 미크로네시아는 태평양 서북부에 위치한 섬나라로, 미국 정부가 미크로네시아인의 미국 이주를 허용하자 의료 혜택과 교육 기회, 일자리를 찾아 가장 가까운 미국 영토인 하와이로 몰려든 것이다. 미 통계청은 하와이 노숙인 중 약 30%는 하와이 원주민, 27%는 미크로네시아인, 26%는 백인이라고 밝혔다. 물론 하와이의 높은 물가와 낮은 임금이 그들을 길거리로 나앉게 한 원인이기도 하다. 

하와이 주는 2006년 노숙인들이 거주할 수 있는 캠프를 법적으로 허용했지만 현지 주민들의 불만이 터져나오자 캠프 단속에 나섰다. 이로 인해 많은 노숙인들은 와이키키 해변 호텔 주차장과 인도로 몰려들었다. 그러자 하와이 주 정부는 노숙인들이 인도에 앉거나 눕는 것을 금지하고 나섰다. 하와이 관광 수입에 큰 공헌을 하는 하얏트 호텔과 힐튼 호텔 등이 노숙인들에 대해 불만을 제기했기 때문이다. 


키오니나 카네소라는 이름의 미크로네시아 여성은 지난 2004년 하와이로 건너와 식당 설거지 및 공장 직원 등의 일자리를 전전했다. 현재는 맥도날드에서 일하며 미크로네시아에 남겨둔 아들의 비행기표 값을 모으고 있다. 그녀의 아들이 심장병을 앓고 있어 미국에서 치료를 받게 하기 위해서다. 

그러나 그녀는 거처할 곳이 없어 노숙인 수용소에서 지내며 하와이 공공주택 거주를 위해 대기자 명단에 이름을 올린 상태다. 그녀에게 지난 9월의 경험은 악몽이었다. 하와이 당국이 그녀와 딸, 손녀들이 거주하던 텐트를 없애버려 길거리에 나앉았기 때문이다. 다행히 며칠 만에 노숙인 수용소에 들어갔지만 그녀는 공공주택 입주를 손꼽아 기다리고 있다. "우리는 언제까지 기다려야 할까요?" 아들의 심장병 치료를 위해 하와이 맥도날드에서 일하는 카네소의 말이다.

미 당국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와이키키 해변 인도에 누워 잠을 청하는 것을 금지하고, 이들에게 선적 컨테이너를 임시 거처로 제공하기도 했다. 데이벳 이게(David Ige) 하와이 주지사는 지난달 노숙인 비상사태를 선포하기도 했다. 그러나 노숙인 수용 시설은 여전히 턱없이 부족한 형편이다. 

하와이 북부 오아후 섬에는 노숙인 7620명 중 4900여 명만이 노숙인 시설에 거주한다. 하와이 주는 2020년까지 2만 7000개의 임시 거주 시설이 필요할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그러나 올해 예산으로 새로 마련할 수 있는 시설은 800여 개에 불과하다. 하와이 주 전체로 보면, 1만여명의 노숙인들이 공용 노숙인 시설에 들어가기 위해서 5년을 기다려야 하는 것이다. 
<기사 출처 : 뉴시스>

2015년 11월 7일 토요일

"칠레서 규모 6.8 지진…쓰나미 위험 없어"-USGS

칠레 코킴보주에서 7일(현지시간) 규모 6.8의 지진이 발생했다. (USGS 제공) © 뉴스1


칠레에서 7일(현지시간) 규모 6.8의 강진이 발생했다고 미국 지질조사국(USGS)이 밝혔다.

지진은 이날 오전 4시31분 코킴보주에서 약 100㎞ 떨어진 지하 14㎞ 지점에서 일어났다. 

태평양 쓰나미경보센터(PTWC)에 따르면 쓰나미 위험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9월에도 코킴보주에서 규모 8.3의 강진이 발생해 11명이 숨지고 100만명이 긴급 대피하는 사태가 발생했다. 

당시 미국 하와이와 캘리포니아 해안지역을 비롯해 태평양 연안에 위치한 중남미 국가, 뉴질랜드, 일본에 쓰나미 경보가 발령됐다. 

칠레는 '불의 고리(Ring of Fire)'라 불리는 환태평양화산대에 위치해 지진·화산 활동이 활발하다.
<기사 출처 : 뉴스1>

2015년 4월 15일 수요일

알로하 마카다미아 팬케이크

↑ 팬케이크 하우스 내부
사탕수수나 파인애플 농장 노동자의 고단한 역사와 함께한 하와이 음식인 포케, 스팸 무수비, 로코 모코 등에 비한다면, 하와이 팬케이크는 나름 즐거운 음식이다. 하와이가 미국에서 팬케이크 애정도가 가장 높은 지역이라 자신있게 말할 수는 없을지몰라도, 이것만큼은 확실하다. 양 많기로는 어느 도시에도 뒤지지 않을 거라는 점, 그리고 다양한 재료 역시 여느 지역 못지않을 것이라는 점. 웬만한 여자 손바닥보다 크고 두툼한 팬케이크를 5장씩 주는 건 기본이요, 하와이에 넘치는 마카다미아, 파인애플, 바나나, 블루베리에 시럽, 꿀, 버터, 생크림까지…. 하와이 팬케이크 인심이 이렇게도 좋은 이유? 하와이에서 팬케이크는 노동자와 서퍼를 위한 음식이기 때문이다. 밤늦게, 혹은 새벽 일찍 문을 열어 그들을 배불리먹이겠다는 식당의 의도가 여행자들에게는 조금 부담스러울지 모르지만, 양에 기죽거나 팬케이크는 거기서 거기라는 생각에 포기한다면, 하와이에서 제일 중요한 '먹방' 거리 하나를 놓치는 것.지금부터 소개하는 하와이 베스트 팬케이크집은 각기 다른 승부수를 띄우고 있지만 공통점은 어느 집에든 반드시 허기진 배를 움켜쥐고 가야 한다는 것.

오리지널 팬케이크 하우스

오리지널 팬케이크 하우스The Original Pancake House가 하와이 오리지널이 아니라 포틀랜드에서 왔다는 건 좀 유감일지모르지만, 하와이 정착 역사가 짧은 것도 아니다. '미리 만들어놓은 재료는 절대 쓰지 않는다'는 원칙을 고수하며 팬케이크 반죽에 들어가는 모든 재료를 당일 준비하고 손으로 반죽하는데, 부들부들하고 가벼운 질감이 특징이다. 일반적인 팬케이크에 외 오븐에 구운독일식 애플 팬케이크도 인기지만 40분 정도 기다려야 하므로 배고픈 자에겐 좀 곤란하다.

LOCATION 1221 Kapiolani Blvd, Ste 103, Ala Moana
WEBwww.originalpancakehouse.com

↑ 릴리하 베이커리 내부
↑ 릴리하 베이커리의 팬케이크
릴리하 베이커리

1950년대 문을 연 이 빵집의 주인공은 물론 유명한 코코 퍼프(슈크림)나 시폰 케이크 같은 빵이지만, 베이커리 옆으로 길게 자리한 다이너도 빵집 인기를 능가한다. 이곳 릴리하 베이커리Liliha Bakery 팬케이크는 '폭신하기론 하와이 최고'라는 평인데, 많은 사람이 그 비밀을 캐려 애썼으나 실패했다고. 3장짜리, 1장짜리도 주문할 수 있으므로 달걀 요리 등과 함께 맛볼 것.

LOCATION 515 N. Kuakini St, Honolulu
TEL +1-808-531-1651
WEBlilihabakeryhawaii.com

↑ 빌즈의 팬케이크
빌스

얼마 전 서울 잠실의 제2 롯데월드에도 오픈한 셰프 빌그레이저의 그 빌스Bills다. 부드럽고 진하기로는 단연1등이다. 그도 그럴 것이, 리코타 치즈를 섞은 반죽과 몇 덩이씩얹어주는 허니콤 버터가 시럽마저 필요 없게 만들어버리기 때문 .다른 집 팬케이크보단 조금 비싸지만 위로, 옆으로 시원하게 뚫린실내 분위기 값이라고 생각한다면야.

LOCATION 280 Beachwalk Ave, Waikiki
TEL +1-808-922-1500
WEBwww.billshawaii.com

↑ 부츠 & 키모스의 팬케이크
부츠 & 키모스

와이키키와 알라모아나에서 실컷 즐긴 사람들에게 카일루아는 새롭고 한적한 휴양지일지 모르나 이곳의 대표 식당 부츠 & 키모스Boots & Kmi o's는 오전 7시에 문을 열어 낮 2시에 매몰차게 문을 닫아버릴 때까지 언제나 사람들로 북적인다. 하지만 이곳에서 개발했다는 진한 마카다미아 소스로 덮인 팬케이크는 멀리서 찾아와 긴 줄을 감당할 만한 가치가 충분하다.

LOCATION 151 Hekill St, Kailua
TEL +1-808-263-7929

↑ 에그스 엔 싱스 내부
↑ 에그스 엔 싱스의 팬케이크
에그스 엔 싱스

흠. 누가 뭐래도 이 집이 지금 하와이에서 가장 인기 있는 팬케이크집임에는 분명하다. 분점도 여럿에(심지어 일본 도쿄의 하라주쿠에도 있다) 기념품 숍까지 생겼을 정도니까. 와이키키 번화가에서 가깝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이곳 에그스 엔 싱스Eggs 'n Things 인기는 일본 관광객 덕분이기도 하다. 초반에는 밤과 새벽 손님을 위한 곳이었고 현지인도 많았지만, 이제는 종일 영업에 일본 관광객 명소처럼 바뀐 건 사실. 팬케이크는 좀 뻑뻑한 감이 있으나 생크림과 과일을 잔뜩 얹어 푸짐하기론 어느 집에도 뒤지지 않는다.

LOCATION 343 Saratoga Rd., Honolulu
TEL +1-808-923-3447
WEBwww.eggsnthings.com
<기사 출처 : 더 트래블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