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육군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육군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6년 1월 23일 토요일

"이런 비행체도 있었다니"…부산에 최첨단 드론 몰려온다



장난감부터 특수 목적 드론까지…첨단 통제·운항시스템도 출품

우리 평화유지군과 함께 아프가니스탄에 파견됐던 최강의 소형 무인항공기 등 최첨단 기능을 갖춘 비행체가 부산 해운대 하늘에 몰려온다.


우리나라 최초 드론(무인비행체) 전문 전시회인 '2016 드론쇼 코리아'(Drone Show Korea 2016)가 28일 해운대 벡스코에서 막을 올릴 예정인 가운데 이번 전시회에 출품될 첨단 드론에 대한 관심이 벌써 뜨겁다.

현재 드론 관련 원천기술을 보유한 40여 개 국내·외 기업이 참가를 신청한 가운데 지금까지 보지 못했던 첨단 드론이 전시장에 모습을 드러낼 예정이다.

세계적인 수준에 올라선 우리의 드론 기술을 과시할 대표주자로 A사의 주력기들이 대거 출전할 것으로 알려졌다.


우리나라 최초 무인기 지상통제시스템 수출업체이기도 한 이 회사는 무인항공기, 무인헬리콥터, 무인비행선, 지상통제장비, 통합합법장치 분야 선두주자로 꼽히는 곳이다.

A사는 고정익 무인항공기 시리즈와 회전익 무인항공기 시리즈를 선보일 것으로 전해졌다.

이 회사의 제품은 이미 2008년 해병대에 납품돼 우리나라 최초로 해외에 파병(아프가니스탄 평화유지군)된 소형 무인항공기로 명성이 자자하다. 또 다른 제품은 지난해부터 우리 해병대와 육군에 500대가량 실전 배치될 만큼 우수한 성능을 자랑한다.


2014년 국책과제인 무인기 정찰시스템을 개발한 B사는 세계 최장 체공시간(90분)을 구현한 드론을 비롯해 뛰어난 기동성을 지닌 고정익 무인항공기, 취미용 드론을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대한민국 최초 고정익 무인기를 생산한 C사는 우리나라 환경과 지형에 최적화돼 지형 탐색과 환경감시, 인명구조, 재난감시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드론을, D사는 장시간 체공 무인기 등을 선보인다.

이밖에 E사는 조류 퇴치에 효과적인 쿼드콥터 드론을, F사는 항공과학 교육용 비행체를, 무인 이동체 전문기업인 G사는 그동안 개발해온 군용수직이착륙기 등과 관련된 기술을 시현한다.


중국의 한 업체는 이번 드론 코리아에서 세계 최초로 선보이는 월드 프리미어 드론을 출품한다. 벌써 지대한 관심을 받는 이 업체의 작품은 개막 당일 공개된다.

드론 뿐만 아니라 드론을 통제하거나 활용하기 위한 첨단 시스템도 대거 출품된다.

H사는 우리 군의 첨단화를 실현해 줄 무인화 자동화 솔루션을, I사는 영상 촬영, 물자수송, 농약살포 등 사용 목적에 최적화된 드론 시스템을, J사는 무인항공기 안전 항행 시스템을, L사는 드론에 장착하는 카메라 시스템과 드론 자율 항법장치 시스템을 출품한다.

유동현 벡스코 마케팅팀장은 "현재까지 전 세계적으로 개발된 드론과 드론 관련 시스템이 모두 등장할 것"이라며 "첫 전시회를 성공적으로 개최해 부산이 드론산업의 전진기지로 부상하는데 일조할 것"이라고 밝혔다.
<기사 출처 : 연합뉴스>

2016년 1월 6일 수요일

1시간 비명 지르다 숨졌는데… 軍법원 ‘면죄부’

‘특전사 포로체험 사망’ 훈련 감독 장교 2명 무죄선고

육군 특수전사령부는 2014년 9월 초 포로체험 훈련을 실시했다. 적에게 포로가 될 경우를 대비한 고위험 고난도 생존훈련이었다. 하지만 극한 훈련 과정에 필수적인 안전조치에 소홀했다. 하사관들은 손과 발이 포승줄에 묶이고 머리에 방수 처리된 폴리에스테르 재질의 두건을 뒤집어쓴 채 독방에 감금됐다. 하지만 숨을 쉬지 못해 “살려 달라”고 몸부림치던 하사 2명이 질식사하고, 하사 1명이 다칠 때까지 훈련장에선 아무 조치도 취해지지 않았다.

이 사건을 맡은 항소심 재판부는 “현장에서 이 훈련을 실시할 책임과 권한은 교관들에게 있었다”고 밝혔다. 마치 부사관에게 지휘관 수준의 권한이 있는 것처럼 읽히는 대목이다. 장교들에게 무죄를 선고하기 위해 지휘가 하달되는 군 조직 체계를 무시하는 것처럼 보일 수 있는 표현까지 동원한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그러면서도 책임 문제는 곳곳에 제기했다. 재판부는 교관들은 물론이고 지휘관인 당시 여단장 정모 준장과 사고 당일 여단장의 부재로 여단장 직무대리를 했던 참모장 이모 대령에게 최종 책임이 있다고 판결문 곳곳에 명시했다. 

“여단 지휘관이 교관들에게 훈련 실무 준비를 전담시켰다” “현장에 앰뷸런스를 배치하지 않기로 결정한 건 대령 이○○이었다” 등 지휘관(여단장 및 여단장 대리)의 무책임함을 곳곳에서 지적했다.

이렇게 잘못된 의사결정을 한 지휘관에게 책임이 있다고 명시했지만 정작 지휘관들은 기소조차 되지 않았다. 당시 여단장은 훈련 당일 진급심사위원으로 차출됐다곤 하지만 훈련 준비 단계에서 수차례 중요 결정을 내렸다. 그러나 형사 입건도 되지 않았다. 여단장 직무대리였던 대령은 형사 입건됐지만 기소유예 처분을 받았다. 

군 법무관 출신의 한 변호사는 5일 “판결문에 지휘관들의 근원적인 책임을 명시했다면 그에 따른 후속 조치로 당시 지휘관들을 추가 기소하는 게 맞다”며 “책임을 명시하되 그 책임을 다시 묻지 않는 이상한 방식으로 면죄부를 주고 있다”고 말했다. 

이 지휘관들은 군 내부에서 솜방망이 징계를 받았을 뿐이다. 이번 사건으로 징계를 받은 사람은 3명에 불과하다. 당시 특전사령관이었던 전인범 중장(현 1군사령부 부사령관)은 서면경고를, 두 지휘관은 각각 1개월, 3개월 감봉 처분을 받은 것이 전부다. 육군 관계자는 “군 내부 징계는 계속 기록에 남기 때문에 지휘관들도 충분히 불이익을 받았다고 본다”고 말했다. 

육군은 “교관 4명과 장교 2명에 대한 재판이 마무리되는 대로 징계 절차에 착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교관 4명에 대한 재판은 지난해 초 모두 끝났지만 육군은 1년이 다 되도록 징계 절차에 들어가지도 않았다. 사고 뒤 특진한 고 이유성 중사의 어머니 윤모 씨(49)는 이 같은 사실을 전해 듣고 “뭐라고 할 말이 없다”고 했다.
<기사 출처 : 동아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