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슈퍼카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슈퍼카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6년 4월 27일 수요일

‘무늬만 법인차’ 세웠더니… 슈퍼카 판매 질주 급제동

정부, 업무용 차량 세금 회피 규제 강화 
비과세·유지비용 처리 ‘편법’ 어려워져 
지난달 수입 법인차 비율 32.6% 최저

지난해까지 국내 시장에서 급격하게 성장하던 수억원대 슈퍼카의 질주에 급제동이 걸렸다. 지난해 급격하게 판매량이 늘어나며 시장 점유율 확대를 위해 마케팅 총력전을 펼쳤던 슈퍼카 수입 업체들의 계획에도 차질이 생겼다.

26일 한국수입자동차협회(KAIDA)에 따르면 올 3월까지 최소 1억원이 넘는 포르셰를 비롯해 벤틀리, 롤스로이스 등 슈퍼카의 누적 판매량은 전년 대비 각각 13.6%, 45.0%, 12.5%가 각각 감소했다. 지난 한 해 동안 이들 브랜드의 전년 대비 국내 판매량은 포르셰가 50.2%, 벤틀리는 19.6%, 롤스로이스는 40.0% 성장했다. 지난해 전체 국내 수입차 판매량 평균 증가율인 24.4%를 웃도는 급성장을 해 온 슈퍼카가 판매량 감소폭도 더 커진 것이다. 판매량을 공개하지 않는 이탈리아의 슈퍼카 브랜드 페라리도 최근 국내 판매량이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에서는 슈퍼카들의 이 같은 국내 판매량 감소가 올해부터 실시된 법인차 사용 규제 강화 조치에 따른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 정부는 올해부터 세금을 회피할 목적으로 이용되는 ‘무늬만 법인차’를 근절하기 위해 업무용 승용차 경비를 해마다 1000만원까지만 비과세 비용으로 인정해 주고, 감가상각비는 연간 800만원까지만 경비 처리를 가능하도록 했다. 차 값이 수억원에 달하고 1년 유지비용만 수천만원이 들어가는 슈퍼카를 ‘무늬용 법인차’로 사용하기 어려워진 것이다. 업계 관계자는 “세법 개정 이전에는 수억원대 슈퍼카를 사도 세금을 덜 내거나 유지 비용을 전액 비용 처리할 수 있었지만 이제는 이 같은 편법이 사실상 어려워진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 올 1~3월까지 국내 수입차 전체 판매량 중 법인차의 비율은 34.9%로, 지난 한 해 전체 판매량 중 법인차 비율인 39.0%보다 4.1%포인트 낮아졌다. 특히 지난 3월 법인차 비율은 32.6%로 역대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슈퍼카 업계에서는 “슈퍼카의 경우 차량 계약에서 인도까지 길게는 1년까지 걸리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최근 판매량 감소가 세법 개정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면서 아직 눈치를 보고 있지만 내부적으로는 적잖이 당황하고 있는 모습이다. 더구나 지난해 성장세를 감안해 늘려 놓은 국내 도입 물량을 소화해야 하는 것도 수입차 업체들로서는 부담이 될 전망이다.
<기사 출처 : 서울신문>

2015년 11월 8일 일요일

"불황이 뭐예요?" 가속페달 밟는 슈퍼카

수입차 늘어 희소성 더 부각… 3억~5억대에도 인기
마세라티 연 800대 판매 눈앞·페라리는 50% 증가
애스턴 마틴·람보르기니는 올들어 30대 이상 팔려 

람보르기니 우라칸 LP 610-4마세라티 콰트로포르테 GTS페라리 488 GTB애스턴 마틴 DB10

경기 불황이 이어지고 있지만 국내 수입차 시장에서 수억원을 호가하는 슈퍼카의 질주가 계속되고 있다. 강력한 주행 성능과 차별화된 디자인이 '상위 1%'의 지갑을 열게 하고 있다. 8일 서울경제신문이 한국수입자동차협회의 누적 등록대수 자료를 분석한 결과 대당 3억~5억원에 육박하는 슈퍼카들의 판매량이 많게는 지난해보다 50% 이상씩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슈퍼카들은 '영업 비밀'이라는 이유로 여타의 수입차 브랜드들과 달리 매달 판매 실적을 발표하지 않는다. 

◇마세라티 연 800대 판매 눈앞… 페라리 판매량 50% 증가=슈퍼카 브랜드 중에서는 이탈리아 명차 마세라티의 판매량 증가세가 가장 눈에 띈다. 마세라티의 연도별 판매량은 2013년 115대에서 지난해 726대로 6배 이상 급증했다. 올해 9월까지 판매량은 790대로, 이미 지난해 실적을 넘어섰다. 마세라티 인기의 비결은 엔트리(최하위) 모델인 '기블리' 덕분이다. 평균 1억원대의 가격에도 마세라티 고유의 감성을 느낄 수 있다는 점에서 판매량이 폭발적으로 늘었다. 지금까지 마세라티의 누적 판매대수는 총 1,970대로 지금의 추세대로라면 올해 누적 2,000대를 돌파할 전망이다.

마세라티와 형제 브랜드인 페라리 역시 판매 증가세가 두드러지고 있다. 지난 9월까지 페라리의 판매량은 78대로 지난해(52대)보다 50% 가량 늘었다. 페라리의 판매량은 2013년 75대에서 지난해 소폭 감소했지만, 다시 증가세가 이어지는 모습이다. 페라리는 지난 7월 3억원 중반대 가격의 '488GTB'를 출시했다. 최고 670마력으로 정지 상태에서 시속 100km까지 3초가 걸린다. 페라리는 또 이달 17일 페라리 역사상 가장 강력한 오픈카인 '488 스파이더'도 선보인다.

'제임스 본드의 차'로 잘 알려진 영국 슈퍼카 브랜드 애스턴 마틴의 최근 판매량도 크게 늘었다. 2013년 1대에 불과하던 애스턴 마틴의 국내 판매량은 지난해 5대로 늘어난데 이어 올해는 36대나 된다. 올해 초 기흥모터스가 애스턴 마틴을 수입 판매하면서 서비스망을 재정비, 판매량이 훌쩍 늘었다. 주력 차종인 'DB 9'(2억5,900만원)와 '뱅퀴시'(3억7,900만원), 4도어 쿠페 '라피드 S'(2억7,900만원) 등이 고르게 판매되고 있다.

지난 7월부터 매달 판매 실적을 공개하고 있는 폭스바겐그룹의 슈퍼카 람보르기니도 꾸준히 판매가 늘고 있다. 2013년과 지난해 연평균 20대 수준을 유지하다 올해는 9월까지만 30대 넘게 팔렸다. 

◇불황일수록 더 잘 팔리는 슈퍼카=슈퍼카 판매량이 매년 크게 늘어나는 것은 수입차 저변 확대와 무관하지 않다. 수입차 판매량이 늘면서 일반 브랜드를 타던 고객은 프리미엄 브랜드로, 프리미엄 브랜드 고객은 슈퍼카 브랜드로 이동하고 있는 추세다. 희소성이 있는 차량을 통해 자신의 개성을 표현하는 것이다. 

불황이 장기화 되는 점도 반영됐다고 업계 관계자들은 분석했다. 슈퍼카 브랜드도 일반 브랜드처럼 불황에는 구매 조건을 다양화해 보다 합리적인 가격에 차를 살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일부 슈퍼카 브랜드는 올해 유로5 모델 소진을 위해 저금리 무이자 할부 판매를 하기도 했다. 고객의 환심을 끌기 위해 해외 투어 행사 등을 진행한 곳도 있다. 국회에서 논의 중인 무늬만 회사차에 대한 과세 논의가 지지부진한 것도 한 가지 이유다. 

업계 관계자는 "현대차가 제네시스를 별도 브랜드로 만들고 고성능 N 브랜드를 출시하는 것 역시 상위 1% 수요층을 공략하기 위한 것"이라며 "독자 감성을 가진 브랜드의 힘"이라고 말했다. 
<기사 출처 : 서울경제>

2015년 10월 28일 수요일

소금물로 가는 자동차, 꿈이 실현되다

소금물로 작동하는 자동차? 일견 헛된 망상으로 넘겨버릴 듯한 생각이 현실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수소를 넘어 미래 자동차의 새로운 동력원으로 소금물이 등장하게 될 전망입니다. 

유럽의 작은 공국 리히텐슈타인의 자동차 회사 나노플로우셀(nanoFlowcell)은 26일(현지시간) 자사의 차량이 유럽 도로의 최종주행허가를 획득했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이 회사는 내년도부터 스위스에 ‘퀀트 시티(QUANT City)’라는 첨단 R&D 센터 건립을 시작해 오는 2018년 완공을 목표로 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이 회사가 주력으로 선보일 제품은 소금물로 작동하는 슈퍼카입니다. 이미 지난해 3월 스위스 제네바 모터쇼에서 선보인 바 있는이 차량의 이름은 ‘퀀트 e-스포트리무진’(Quant e-Sportlimousine)인데요. 슈퍼카 형태의 디자인은 물론, 연료로 소금물을 이용해 큰 화제가 됐습니다. 

올해 열린 제네바 모터쇼에서도 이 업체는 퀀트 F와 콴티노라는 두 개의 콘셉트 모델을 내놓기도 했습니다.



핵심 구동 원리는 나노 플로우 셀(Nano Flow Cell)입니다. 나노플로우셀의 원재료는 소금물과 같은 전해질인데요. 두 종의 전해액을 결합해 일어나는 반응을 이용해 구동하는 것입니다. 이는 기존 배터리에 비해 안정성, 친환경성, 내구성, 에너지 직접도가 매우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있습니다. 

당시 제네바 모터쇼에서 업체가 밝힌 이 차량의 출력은 912마력입니다. 시속 0㎞에서 시속 100㎞까지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은단 2.8초. 최고속도는 377.6km/h에 달하는 성능을 자랑합니다. 

충전성능 역시 탁월합니다. 한번 충전을 하면 최대 370마일(약 592km)을 주행할 수 있으며 충전은 소금물로 간단하게 할 수 있습니다.



이 차는 지난해 세계 10대 발명품에 등재되기도 했는데요.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자동차업계의 중요한 돌파구로서 기대되는 데다 지구 생태계에 나쁜 영향을 주고 있는 화석연료를 대체할 가능성도 내포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동력이 되는 전해물질은 대부분 소금물과 같은 가장 근본적인 액체로 구성돼 있으며, 귀금속이나 희토류 원소를 사용하지 않아 경제적이고 매우 친환경적이라는 것이 업체의 설명입니다. 

나노플로우셀 역시 이 기술은 단순히 자동차 업계에 적용되는 것이 아닌 에너지원으로서 비행기, 철도 등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습니다. 
<기사 출처 헤럴드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