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햇빛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햇빛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6년 1월 18일 월요일

월요병·우울증을 극복할 수 있는 5가지 생활 팁


삶이 참 팍팍하다고 느껴지는 요즘이다. 주머니는 가볍고 날씨는 우중충하다. 휴일이 끝나고 집을 나서야 하는 월요일은 더욱 그러하다. 영국에 ‘블루 먼데이’(Blue Monday)라는 말이 있다 한다. 새해 연휴가 끝난 1월 이후의 월요일들을 일컫는다. 기분이 나쁠 정도로 쌀쌀한 영국 겨울 날씨와 연휴 때문에 텅 빈 지갑 등으로 1년 365일 가운데 가장 우울해지는 날이라는 의미다. 

 영국 일간지 텔레그래프가 18일(현지시간) 겨울 월요병을 극복할 수 있는 다섯 가지 방법을 소개했다. 당장 정신과 전문의 상담이나 우울증약 복용을 추천하진 않는다. 기본적인 방향은 일체유심조(一切唯心造·모든 것은 오로지 마음이 정한다)에서 시작한다고 조언한다. 월요일 마음을 다져먹고 사소한 생활습관을 바꾼다면 심신이 달라지고 현대병인 우울증까지 털어버릴 수 있다는 얘기다. 

 1. 햇볕을 쬐라.

 자연은 위대하다. 햇빛은 신경전달물질 세로토닌을 안정화시키고 엔도르핀 분비를 촉진시킨다. 모두 기분을 좋게 하는 호르몬이다. 하루 10분만 짬을 내 햇볕을 쬐어보라. 머리와 몸에서 바로 효과가 나타날 것이다.

 2. 운동을 하라.

 땀이 뻘뻘 흘릴 정도의 격렬한 운동이 아니어도 좋다. 산책이나 조깅만으로도 엔도르핀은 샘솟는다. 몸이 바뀌면 마음도 변화한다. 보다 차분해지고 행복해진다. 덩달아 기분을 업할 수 있는 준비상태가 갖춰진다.

 3. 일부러 웃어라.

 웃어라. 웃으면 엔도르핀처럼 뇌의 상태를 좋게 하는 화학물질이 폭포처럼 분비된다. 뻣뻣하기만 했던 몸도 느슨해지면서 ‘골칫거리’ 혈압도 낮아질 수 있다. 웃음은 전염된다. 활짝 웃으면 보는이도 덩달아 즐거워진다.

 4. 매사 감사하라.

 당신이 기독교인이 아니어도 ‘감사’라는 단어는 늘 잊지 않는 게 좋다. 최신 연구결과를 보면 감사하는 마음을 갖는 사람은 보다 활력이 넘치고 긍정적이 된다. 내 삶에 고마운 일들과 사람들에 관한 목록을 작성해보자.

 5. 주변에 베풀자.

 감사에 그쳐서는 안된다. 베풀어야 한다. 베풂은 남이 아닌 자신을 위한 행위다. 이타주의적 행동은 건강을 증진시키고 삶의질을 높인다. 기부처럼 굳이 물질적이 아니어도 좋다. 그저 고마운 사람에게 “고맙다”고 말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기사 출처 : 세계일보>

2015년 12월 8일 화요일

옐로우 푸드의 힘…겨울철 면역력 높이는 영양소 듬뿍

- 눈의 활성산소 제거하고 면역력 높이는 루테인…옐로우 푸드 통해 섭취
- 일조량 부족한 겨울철 비타민D 결핍…매일 10분 햇빛 쫴야
- 피로하면 생기는 눈 밑 떨림 현상…마그네슘과 충분한 수면으로 해결



본격적인 겨울이 시작됐다. 저절로 몸이 움츠러드는 추운 날씨에 야외활동도 급격히 줄어 들기 마련이다. 

‘햇빛 비타민’이라 불리는 비타민D가 결핍되거나 면역력이 떨어지면서 눈 밑 떨림, 알레르기성 결막염, 안구건조증 등에 걸리기 쉬워 주의가 필요하다.

겨울에 발생하는 질환들은 평소 면역력만 높여도 쉽게 발병하지 않고 예방이 가능해 일상 속 신체 면역력을 높일 수 있는 음식과 영양 보조제 섭취로 미리 관리해주는 것이 중요하다.



▶눈 면역력 높이는 루테인…옐로우 푸드 통해 섭취=우리 눈은 항상 자외선에 노출돼 있는데 겨울이라고 자외선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자외선에 많이 노출될수록 눈 속에는 활성산소가 생성돼 눈의 정상 세포를 파괴하고 황반을 손상시키며 노안을 초래하는 원인이 된다.

눈의 황반은 망막 중심에서 물체를 식별하고 색을 구별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황반을 구성하는 색소가 줄어들고 루테인 역시 밀도가 낮아지게 된다. 그로 인해 시력 저하가 찾아오고 눈에 각종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눈의 활성산소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루테인이 풍부한 음식을 섭취하면 도움이 된다. 키위, 오렌지 등 옐로우 푸드를 섭취하면 좋다. 양배추, 브로콜리 등 녹색잎 채소에도 많이 포함돼 있어 음식으로도 간편하게 섭취할 수 있다. 특히 브로콜리는 루테인과 함께 철분함량도 높고, 비타민C의 함량이 레몬의 2배 가량이 함유돼 있어 피로회복에도 좋은 음식이다.

또 날씨가 쌀쌀해지면서 아침에 일어났을 때 눈이 뻑뻑하고 따끔거리거나 자주 충혈되고 이물감을 느낀다면 안구건조증을 의심해볼 수 있다. 안구건조증은 기본적으로 수분 섭취를 충분히 해주는 게 중요하며, 안토시아닌과 칼륨이 풍부한 음식을 섭취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안토시아닌은 안구의 예민함을 줄여주고 눈의 피로와 뻑뻑한 느낌을 감소시켜주는 영양소로, 안토시아닌이 풍부한 음식에는 블루베리, 포도, 가지 등이 있다. 주로 보라색 과일이나 채소에 많이 함유돼 있으며 항암 효과뿐만 아니라 망막과 동공의 작용을 좋게 만들어 준다.

비앤빛 강남밝은세상안과 김정섭 원장은 “겨울철 눈의 면역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식습관 개선과 함께 루테인, 비타민A 성분이 포함된 눈 영양제를 복용하면 눈 건강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다”며 “하지만 이는 예방차원이므로 눈에 이상 증상이 나타나면 반드시 병원을 찾아 전문의에게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전했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일조량 부족한 겨울철 비타민D 결핍…매일 10분 햇빛 쫴야=비타민D는 뼈 건강, 신장기능 향상, 면역조절세포 증식 등 우리 몸의 다양한 역할을 담당하는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영양소다.

음식과 햇빛을 통해 주로 보충되는데 일조량이 부족한 겨울철에는 쉽게 결핍될 수 있다. 특히 하루 종일 실내에 있는 직장인들은 충분한 햇빛을 쬐는 것이 쉽지 않아 더욱 주의해야 한다.

하지만 비타민D는 매일 10분정도의 자외선에만 노출되면 우리 몸에서 자동으로 생성하기 때문에 점심시간 혹은 주말에 의식적으로라도 햇빛을 쬘 수 있도록 야외활동을 해주는 것이 좋다.

겨울에는 햇빛이 비치는 날이 많지 않아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비타민D 생성 적정 자외선 노출 시간’ 정보를 참고해 외출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비타민D가 풍부한 음식으로는 달걀노른자나 생선, 치즈, 요거트와 같은 유제품 등에 많이 포함돼 있어 꾸준한 섭취가 필요하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피로하면 생기는 눈 밑 떨림 현상…마그네슘과 충분한 수면으로 해결=눈 주위가 파르르 떨리는 현상은 누구나 한번쯤 경험해 보는 증상이다. 가벼운 눈 떨림 증상은 주로 신경이 근육을 자극하는 부위가 민감해져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증상들은 일반적으로 눈과 주변 근육의 탈수 현상, 피로 및 과로, 스트레스 및 영양소 불균형에 의해 나타난다. 보통 눈 떨림 현상은 특별한 치료 없이 충분한 휴식을 취하고 마그네슘이 많이 함유된 음식을 섭취하면 거의 사라진다.

신경이 정상적으로 기능하는데 마그네슘은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마그네슘이 부족하면 신경이 계속 흥분 상태로 있어 눈 밑이 파르르 떨릴 수 있다.
마그네슘이 많이 함유된 조개류, 토마토, 멸치, 우유 등을 자주 먹으면 증상을 완화하는데 도움이 된다. 또 피로 회복을 위해 과음과 흡연을 삼가고 스트레스를 적게 받는 생활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기사 출처 : 헤럴드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