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주류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주류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5년 10월 29일 목요일

아시아 사치품 물가 1위 도시는 상하이, 서울은 4위


여객기 비즈니스석(프레스티지)
중국 상하이가 아시아 지역 주요 도시 가운데 사치품 가격이 가장 비싼 곳이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서울은 4번째로 비싼 도시로 조사됐다. 

스위스의 대표적인 자산관리 은행인 줄리어스 베어는 아시아 11개 도시의 사치품 가격을 조사해 29일 자체 홈페이지에 게시한 보고서에서 상하이의 사치품 물가가 역내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비교 대상 품목은 보석과 골프장 회원권 등 20가지에 달했다. 

상하이는 보톡스 비용이 1천293달러(약 148만 원)로 가장 비쌌고 병원, 시계, 남성 정장, 여성 신발 가격도 가장 높았다.

상하이에 이어 홍콩과 싱가포르가 각각 2위와 3위를 기록했고 서울은 4위를 차지했다. 

특히 서울은 비즈니스석 항공권 가격이 8천421달러(963만 원)로 아시아 지역에서 가장 비싼 것으로 조사됐다. 

남성용 정장과 시계 가격도 각각 평균보다 31%와 11% 높았다. 

와인은 평균보다 23% 낮았고 호텔 스위트룸과 자동차도 각각 21% 낮았다.

서울에 이어 태국 방콕과 대만 타이베이(臺北), 일본 도쿄(東京) 등이 아시아에서 사치품 물가가 높은 도시로 꼽혔다. 

한편, 줄리어스 베어는 아시아 고액순자산보유자(HNWI)의 투자 가능한 자산 규모가 2020년 14조5천억 달러(1경6천588조 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중국 부유층의 투자 가능 자산은 2020년 8조2천500억 달러(9천442조 원)로 아시아 전체의 절반을 웃돌 것으로 관측됐다.

한국은 작년 5천400억 달러(618조 원)에서 2020년 8천120억달러(929조 원)로 50% 급증할 것으로 내다봤다. 
<기사 출처 : 연합뉴스>

2015년 10월 15일 목요일

"제값주고 사면 바보" 와인 폭탄세일의 비밀

[머니투데이 민동훈 기자] [1만원짜리 와인 10만원으로 둔갑시켜 2만원에 파는 상술…FTA로 철폐된 관세, 마진으로 흡수도]
본문이미지
백화점 와인할인행사 자료 사진./사진=머니투데이 포토DB
직장인 김병수(41·가명)씨는 평소 와인을 좋아해 백화점, 대형마트 할인행사 때면 한번에 여러 병씩 구매하는데 불만이 많다. 최대 할인율이 80%라고 홍보하지만 실제 해외 판매가와 비교하면 여전히 높은 수준인데다 잦은 할인행사에 할인율이 높다보니 정가가 과연 얼마인지 불신만 커져서다. 

김 씨는 "정가 15만원짜리 와인을 3만원 균일가에 준다길래 샀는데, 해외에선 5000원도 안 되는 가격에 팔리는 싸구려 와인이더라"며"대체 와인 수입 업체가 얼마의 이윤을 남기기에 이런 폭탄세일을 하는지 모르겠다"고 혀를 찼다.

대규모 와인 할인행사를 바라보는 소비자 시선이 따갑다. 터무니없는 정상가를 내걸고 큰 폭의 할인율을 내세워 소비자를 끌어모으는 상술 탓이다. 이처럼 소비자를 기만하는 와인 판매 관행이 지속될 경우 와인 시장이 순식간에 붕괴 될 수도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14일 와인 수입업계에 따르면 전날부터 이마트, 홈플러스, 롯데마트 등 대형마트 3사에서 일제히 와인장터가 열렸다. 금양인터내셔날, 아영FBC, 롯데주류, 신세계L&B 등 국내 주요 와인 수입업체가 수입하는 와인은 물론 대형마트들이 직수입한 물량을 풀어 놓는다. 이번 행사에 선보이는 물량만 100만 병이 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할인율은 최대 80%에 달하며 5000원·1만원 균일가 제품도 상당수 선보인다.

와인 수입업체들과 대형마트들은 마진축소와 라벨손상 상품 재고처리, 해외직소싱 등으로 가격을 낮췄다고 주장한다. 큰 폭의 할인에 따른 부담을 자체적으로 감내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 같은 설명을 그대로 받아들이기엔 수입 와인 유통구조가 단순치 않다는 지적이다. 한 수입와인 매장 관계자는 "보통 와인 마진율은 수입상 30%, 도매상 20%, 소매상(대형마트 등) 20% 정도로 보면 된다"며 "마진율을 높게 잡았기에 할인 폭을 키울 수 있다"고 말했다.

이처럼 마진을 높게 책정할 수 있는 비밀은 세금에 있다. 예컨대 1만원짜리 와인을 수입했을 경우 관세(15%)를 더한 가격을 과세표준으로 삼아 주세 30%를 부과한다. 여기에 부가가치세 등을 더하면 단순 계산으로도 1만6000원이 훌쩍 넘는다.

이후에는 유통업체가 마진을 얼마를 붙이던 제품에 붙는 세금은 달라지지 않는다. 수입원가 1만원짜리 제품의 정상가를 5만원으로 하던 10만원으로 하던 모두 업체 마음대로다.

대형마트 와인 할인행사가 홍보하는 최대 할인율 80%도 이러한 과세·유통구조에 기인한다. 수입원가에 상관없이 일단 가격을 높이 책정한 뒤 백화점과 대형마트 등에서 큰 폭의 할인율을 내세워 소비자를 끌어모으는 꼼수를 부린다는 지적이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와인 주산지인 미국, 칠레, 호주 등과 FTA를 체결하고도 수입와인의 가격이 떨어지지 않는다. 철폐된 관세 15%를 사실상 유통마진으로 가져가는 셈이다. 

익명을 요구한 한 수입와인 업체 관계자는 "할인행사에 참여하더라도 인건비는 물론 재고가 발생해도 업체가 다 책임져야 하는 만큼 어느 정도 안전장치가 필요한 것 아니냐"면서도 "최근 대형마트가 직소싱으로 가격을 더 떨어뜨리는 등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어 생각만큼 폭리를 취하는 건 아니다"라고 말했다. 
<기사 출처 : 머니투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