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탈모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탈모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7년 5월 9일 화요일

탈모·흰머리에 영향 주는 단백질 발견… 동시 치료 길 열려

탈모와 흰머리에 동시에 영향을 미치는 단백질의 존재가 발견돼 두 현상을 동시에 치료할 수 있는 길이 열릴 전망이다.

미국 텍사스대 사우스웨스턴의료센터의 피부과 부교수 루 레 박사 연구팀은 ‘KROX20’이라는 단백질이 모발을 만들기도 하고 나중에는 모발의 색소를 만드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하기도 한다는 것을 밝혀냈다고 메디컬 익스프레스가 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KROX20’은 원래 신경 발달과 연관이 있는 단백질인데 연구팀은 이 단백질이 모발로 분화하기 전의 세포(전구세포·precursor cell)를 작동시켜 모발의 줄기 부분인 모간(毛幹·hair shaft)을 만들고, 또 이 과정에서 만들어진 줄기세포인자(SCF)는 모발에 색소를 입힌다는 것을 발견했다.

조선일보 자료사진
지금까지는 모낭에 있는 줄기세포가 모발을 만들고 SCF 단백질이 모발의 색소에 관여한다는 정도만 알려져 있었다. 루 레 박사 연구팀의 발견은 모발 생성 과정에서 만들어진 KROX20 단백질이 모발을 자라나게 하고 모발에 색을 입히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루 레 박사는 “신경에서 자라는 양성 종양인 제1형 신경섬유종증(neurofibromatosis type I)을 연구하는 과정에서 우연히 이 단백질이 모발 생성에 관여한다는 사실을 발견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번 발견을 바탕으로 탈모를 치료하는 크림 또는 연고 형태의 약품이나 모낭에 직접 유전자를 전달하는 치료법을 만들어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유전학 전문지 ‘유전자와 발달’(Genes and Development) 최신호에 실렸다.
<기사 출처 : 조선일보>

2017년 1월 15일 일요일

'대머리는 불치병?' 3D 프린터로 탈모 치료한다


지금껏 ‘탈모’는 불치병으로 여겨져 왔다. 로션이나 스프레이 타입의 바르는 약, 모발 이식 수술 등이 보편화되었지만 완벽한 치료가 아닌 탈모 진행 속도를 늦추는 효과 정도였다. 이마저도 효과를 거두지 못한 사람들은 가발로 휑해진 머리를 가릴 수밖에 없던 게 현실이다.

그런데 최근 '탈모인‘에게 희망적인 소식이 들렸다. 21세기 가장 주목받고 있는 기술인 '3D 프린터’로 탈모를 치료하는 방법이 개발 중이란 내용이다. 세계적인 헤어 제품 전문 기업 로레알이 이 새로운 분야에 손을 뻗었다. 해외 매체 메트로가 9일(현지 시간) 전한 소식이다.

미용 전문 기업에 3D 프린팅 기술은 생소한 분야다. 이 때문에 로레알은 바이오프린팅 전문 기술을 갖춘 화학 기업인 포이에티스와 손잡았다. 3D 프린터로 발모가 가능한 피부 모낭을 제작하려는 계획이다. 여기에 레이저로 생체 조직을 만드는 신기술이 활용된다. 


로레알이 실험한 결과, 모낭 조직은 제작 후 약 3주간 성장 기간을 거치면 이식 가능한 상태가 된다. 3D 프린터에 사용되는 ‘잉크’는 탈모 환자의 머리카락 수술 후 채취한 세포로 만들어졌다. 

로레알 조세 코토비오는 “로레알에게 이번 시도는 헤어 분야에 있어 이전에 없었던 성취를 가져다줄 것으로 기대 된다”고 말했다.

로레알은 이번 연구 결과를 고도화하기 위해 협력을 가속화할 계획이며, 올해 안에 발모가 진행된 상태의 모낭을 피부에 이식하는 데에 성공할 것으로 기대했다. 
<기사 출처 : 세계일보>

2016년 2월 5일 금요일

"日연구진, 노인성 탈모 원인 찾았다…"두피 콜라겐 감소 탓"


탈모를 검진하는 모습(연합뉴스.자료사진)
머리칼이 얇아지는 것은 두피의 콜라겐 감소와 관련있다는 일본 연구진의 연구 결과가 나왔다고 NHK가 5일 보도했다. 

콜라겐 증가로 노화로 인한 탈모를 억제할 수 있다는 취지의 이번 연구 결과는 향후 탈모방지약 개발에 연결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NHK는 전했다. 

도쿄의과·치과대학 니시무라 에미(西村榮美) 교수 주도의 연구팀은 쥐의 털이 나이가 들면서 얇아지는 메커니즘을 연구했다. 그 결과 털을 생성하는 세포는 시간이 지날수록 세포의 생명 유지에 필요한 '17형(型) 콜라겐'을 스스로 분해함으로써 죽어가는 것을 발견했다. 

또 '17형 콜라겐'이 줄어들지 않도록 유전자를 조작한 쥐는 털의 감소가 억제되는 것으로 확인됐다. 

더불어 연구팀은 인간의 머리칼에도 같은 메커니즘이 작동하는 것을 확인하고 있다고 NHK는 전했다. 

니시무라 교수는 "노화로 머리칼이 얇아지는 구조를 상당 부분 알게 됐다"며 "콜라겐의 감소를 억제하는 치료제의 후보 물질을 찾아 몇 년 안에 동물실험을 실시한 후, 사람을 상대로 한 임상 테스트로 연결시키고 싶다"고 말했다.
<기사 출처 : 연합뉴스>

2016년 1월 12일 화요일

"한달 98% 발모"…탈모방지샴푸 과장광고·환불거부 '주의'


<<한국소비자원 제공>>
광주시에 사는 A씨는 '3개월 후 효과 없으면 100% 환불'이라는 문구를 보고 탈모방지샴푸를 19만8천원에 사서 쓰다가 한 달 후 효과가 없다고 판단돼 환불을 요청했다. 

그러나 판매업체는 남은 2개월도 마저 써보라고 권유하고서 A씨가 2개월 후 다시 찾아가자 환급 요청 기간인 3개월을 넘겼다는 이유로 환급을 거부했다. 

경기도 구리시에 사는 B씨는 탈모 서비스 업체로부터 '100% 책임보증제'라는 내용의 안내를 받고 950만원을 결제했다. 

B씨는 9개월 이용 후에도 효과가 없자 계약을 해지하려다가 사업자의 권유로 1년을 더 사용했다. 이후 B씨는 다시 환급 요청을 했으나 거절당했다. 

한국소비자원은 최근 6개월간(2015년 6∼11월) 온·오프라인에서 자주 광고된 30개 탈모방지샴푸를 조사한 결과, 총 7개(23.3%) 제품이 허위·과장 광고로 법 위반 소지가 있다고 12일 밝혔다. 

약사법에 따라 탈모방지샴푸는 탈모치료나 발모효과를 광고할 수 없지만 이들 제품은 '한 달간 감으니 사용자 중 98% 발모', '어성초로 감으니 8주에 98%발모! 충격' 등의 문구로 소비자를 현혹한 것으로 드러났다.

소비자원은 이들 업체를 식품의약품안전처에 통보해 세부 조사가 이뤄지도록 했다. 

소비자원이 2012∼2014년 탈모 관련 제품·서비스 이용 경험자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탈모관리서비스 경험자 64.0%도 탈모치료나 발모효과 같은 위법적인 내용의 상담을 받은 적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탈모방지샴푸나 서비스는 환급거부도 매우 빈번하게 나타났다.

2012년부터 3년간 접수된 210건의 탈모방지샴푸관련 상담내용을 분석한 결과, '환불보장 광고 후 약속 불이행'이 67.1%(141건)로 가장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 

<<한국소비자원 제공>>
이어 '청약철회 거절' 7.2%(15건), '부작용' 6.2%(13건), '불만족·효과없음' 3.3%(7건) 등이 뒤를 이었다.

같은 기간 탈모관리서비스 관련 상담 193건 중에서도 '서비스 중도해지 거절 또는 과도한 위약금 요구'가 62.7%(121건)를 차지했다. 

다음으로 '탈모치료·발모효과 과장설명'과 '불만족·효과없음'이 각각 8.8%(17건), '부작용'이 6.7%(13건)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소비자원이 탈모방지샴푸나 서비스 이용자 500명에게 '탈모방지 또는 모발 굵기 증가(양모)'와 '탈모치료 또는 발모' 두 표현의 차이를 묻자 48.2%(241명)는 "구별하기 어렵다", 42.6%(213명)는 "잘 모르겠다"고 답했다.

결국 10명 중 8∼9명이 탈모 방지샴푸에 허용된 '탈모방지 또는 양모' 광고를 '탈모 치료'로 오해할 가능성이 있다는 얘기다. 

"두 표현을 구별하기 어렵지 않다"는 대답은 9.2%(46명) 뿐이었다.

소비자원은 "탈모증상에 대해 샴푸나 탈모관리 등 비의학적 수단에만 의존한다면 적절한 치료시기를 놓칠 수 있다"면서 "의료기관을 통해 유형과 치료법 등에 대한 명확한 진단·설명부터 들으라"고 조언했다. 

이어 "환급거부나 과도한 위약금 부과 등에 대비해 계약할 때 반드시 계약서를 요구하고 결제는 신용카드로 해서 혹시 모를 증빙자료를 남겨야 한다"고 충고했다.
<기사 출처 :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