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12월 5일 토요일

뇌혈관질환에 좋은 '비타민 P'..우리의 과일 '귤'에만 있답니다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서 고객이 귤 코너를 둘러보고 있다.
과일소비량 1위 '귤'…산업소재, 바이오에탄올까지 용처 확대

감귤은 우리나라 사람들이 가장 선호하는 과일이다. 농림축산식품부가 최근 내놓은 '2015 농림축산식품 주요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1인당 연간 감귤 소비량은 14.3㎏으로 전체 과일 소비량 가운데 가장 많았다. 30여년 전인 1980년 1인당 감귤 소비량은 4.2㎏이었지만 한라봉과 천혜향 등 감귤 품목이 다양해지고, 공급량이 늘어나면서 소비량도 덩달아 큰 폭으로 늘었다. 

원산지 인도...자몽도 귤 종류

감귤은 감귤나무아과 중 상록수로서, 감귤·금감·탱자나무에 속하는 나무의 열매를 총칭한다. 이 중 과실로 먹을 수 있는 것은 감귤과 금감에 속하는 것이며, 탱자나무는 주로 약재나 감귤나무의 대목으로 이용된다. 

감귤류는 열대, 아열대, 지중해 연안의 세계 100개 이상의 나라에서 약 1000여 품종이 재배 중이며, 우리나라는 감귤류 중 만다린 계통의 온주밀감이 장악하고 있다. 온주밀감은 껍질을 쉽게 벗길 수 있어 생과로 많이 이용된다. 

감귤의 원산지는 인도로, 기원전 4000년 중국으로 전파된 이후 19세기 유럽과 북미로 확산됐다. 오렌지 역시 인도가 원산지로, 동으로는 중국, 서로는 지중해를 거쳐 유럽과 미국으로 전파되면서 다양한 품종으로 분화됐다. 

상큼한 맛의 대표명사인 레몬은 신맛과 향기가 강해 주로 차와 향, 피부 미용 등에 사용된다. 시트론에는 유자, 불수감 등이 있으며, 열매로는 사탕, 과자류를 만들고 열매 껍질은 향료의 원료 등으로 활용된다. 


© News1
감귤류 중 가장 큰 문단류에는 문단, 자몽이 있고, 돌연변이인 붉은색 자몽도 인기를 끈다. '낑깡'으로 알려진 금감은 식용되는 감귤 중 가장 작고 껍질째 먹으며, '금귤'이라고도 한다. 탱자는 약용 또는 감귤용 대목이나 나무 울타리로 사용된다. 

한반도는 감귤 재배지 중 가장 북쪽이며 삼국시대부터 이미 귤을 먹어온 것으로 추정된다. 조선시대에 이르러 감귤이 보편화됐으며, 우리나라 감귤을 대표하는 품종 온주밀감은 1910년 관청 주도로 일본에서 도입했다. 

비타민 C의 보고..뇌혈관질환에 좋은 비타민 P 유일하게 함유

비타민의 보고로 알려진 감귤류는 전 세계 인류의 건강을 책임지는 영양 과일이자 천연 건강식품이다. 감귤에는 비타민 C가 풍부해 감귤 두 개면 성인의 하루 비타민C 요구량인 50mg을 만족한다. 비타민 C가 부족하면 괴혈병이 발생하는데 채소를 오래 섭치하지 못하던 선원들에게 괴혈병은 공포의 대상이었다. 때문에 영국 해군은 배에 레몬을 준비하는 규칙을 제정했을 정도다. 

감귤에는 과일 중 유일하게 비타민 P(헤스페리딘)가 함유돼있다. 비타민 P는 모세혈관을 튼튼하게 해주고 혈액순환을 촉진해 뇌졸중, 고혈압, 동맥경화에 효과적이다. 감귤 색소에 포함된 베타 카로틴은 항암 및 성인병 억제 등의 효과를 지니며 체내로 흡수되면 비타민 A로 변한다. 

감귤은 특히 껍질에 많은 영양소가 함유돼 있어, 한의학에서는 '진피'라는 약재로 활용된다. 귤껍질 안쪽의 흰 부분과 알맹이를 싸고 있는 속껍질에는 식이섬유인 펙틴 성분이 다량 함유돼 있어 변비를 해소하고 설사를 억제하고, 포만감을 느끼게 해 음식물 섭취량 조절에도 효과적이다. 


지난 1일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열린 감귤데이(Day) 기념일 선포식 및 통합브랜드 '귤로장생' 출범행사에서 시민들이 감귤나무를 살펴보고 있다. © News1 구윤성 기자
우리나라는 1965년부터 감귤 증식사업이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1955년 우장춘 박사의 권유로 남해안 지역에 1963년부터 감귤 묘목을 대량 심었지만 1977년 겨울 대부분 동사하자 제주도로 재배지가 국한됐다. 

1970년대는 감귤 수익성이 좋아 제주도에는 감귤나무 2그루만 있으며 대학 학비를 벌 수 있다는 말이 있을 정도였다. 최근 들어 과잉생산, 품질저하, 타 농산물과의 경쟁심화, 수입개방 등에 직면하면서 위상이 하락했지만 여전히 우리나라 국민들에게 가장 인기있는 과일이다. 

◇ 주스에서 화장품, 바이오에탄올까지

감귤은 주스와 과자, 초콜릿 등 가공식품은 물론 산업소재, 화장품, 바이오소재로도 활용된다. 우리나라 생과용 감귤 시장규모는 1조2000억원이며, 주스시장은 7400억원의 시장을 형성하고 있다. 제주감귤 생산량의 17%인 12만3000 톤이 주스용으로 이용된다. 

먹는 용도로서의 시장 이외에도 감귤은 생활용품, 살충·살균제의 원료, 방향제, 사료 등 다양한 용도로 확대되고 있다. 감귤이 가진 세척 효과와 살균, 살충효과를 이용한 비누, 주방·세탁세제 제품들이 나오고 있다. 감귤과 과산화수소가 혼합되면 세척, 악취제거 효과를 발휘하기 때문이다. 

감귤 가공 후에 발생하는 연간 6만톤의 감귤 껍질은 가축 및 어류용 사료로 활용하고 있다. 2011년 7월부터 사료용 항생제 첨가가 전면 금지됨에 따라 감귤의 살균효과를 이용한 가축 및 어류용 사료가 각광 받고 있다. 

감귤에 들어있는 기능성 물질을 이용해 만든 다양한 화장품과 발모제 등이 개발돼 판매하고 있다. 귤껍질의 리모넨이라는 정유 성분은 피부 표면의 수분 증발을 막아주고, 윤기와 보습을 오래 유지시켜주는 효과가 있다. 감귤 과피에는 발모를 촉진하고 비듬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어 우리나라와 일본 등에서는 발모제로도 활용된다. 

감귤 바이오 셀룰로오스는 화장품 기초 소재, 상처치유용 인공 피부 원료,IT소재(비전도성 물질) 등에 이용이 가능하다. 특히 감귤 바이오 겔은 품질이 좋아 피부에 잘 흡착돼 마스크팩이나 거즈, 인공피부로서 이용 가능성이 높다. 그동안 바이오 셀룰로오스는 태국, 필리핀에서 전량 수입했으나 앞으로는 감귤을 이용해 국내에서 생산이 가능해졌다. 

감귤 가공에서 얻어지는 부산물과 비상품 감귤을 석유 의존도를 낮추는 대체에너지로 개발하는 기술이 개발중이다. 부산물을 이용한 에탄올 생산으로 농가 소득이 증대되고, 감귤 폐기물 처리비용이 절감되며, 친환경 청정 이미지 구축이 가능하다.

제주도의 경우 20만톤 규모의 비상품 감귤로 8만4000㎘의 바이오에탄올을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제주도의 연간 휘발유 소비량(9만5000㎘)의 88%를 대체할 수 있는 양으로 연간 286억원이 절감되고, 감귤농가에 240억원의 추가 수익이 발생할 것으로 전망된다. 

농촌진흥청 관계자는 "감귤 산업의 중요 부분으로 부상하고 있는 가공식품, 문화관광 등의 발전을 전략 마련이 필요한 때"라며 "FTA 체결로 개방된 시장에서 국내 감귤이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다양한 품종 개발과 수확 후 관리시스템 연구를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기사 출처 : 뉴스1>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