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9월 4일 금요일

시리아 난민, 왜 부유한 인근 걸프국으로 안가나

시리아 난민은 왜 부유한 인근 걸프 국가를 놔두고 서유럽을 향한 목숨 건 여정을 떠나는 것일까? 혈통으로나 종교적 동질성을 고려하면 '생판 남'인 유럽보다는 중동에서 안정되고 부유한 걸프 지역 산유국으로 향해야 하는 게 더 합리적인 선택으로 보입니다.

2011년 3월 내전 발발 이후 시리아 난민이 가장 많이 향하는 곳은 레바논으로 규모가 110만여 명으로 추산됩니다.

이는 레바논 전체 인구의 4분의 1이 넘는 수준으로 레바논은 이 때문에 경제적 어려움이 가중됐을 뿐 아니라 이들을 놓고 시아파와 수니파의 찬반이 갈려 정치적인 갈등까지 겪고 있습니다.

같은 이유로 요르단, 터키도 시리아 난민이 주로 향하는 국가입니다.

이들 국가는 일단 시리아와 지리적으로 국경이 맞닿은 터라 도보나 자동차같은 육상 수단으로 이동할 수 있고 국경지대의 경계가 허술하기도 합니다.

그렇지만 부유한 걸프국인 사우디아라비아, 카타르, 쿠웨이트 등엔 사실상 시리아 난민 유입이 거의 없습니다.

여러 이유가 복합적이지만 일단 중동 지역 지도를 펴보면 쉽게 알 수 있습니다.

시리아에서 걸프 지역으로 가려면 내전 중인 이라크를 거쳐야 하고 이를 지난다고 해도 사우디의 북쪽 국경과 맞닥뜨리게 됩니다.

사우디는 수니파 무장조직 '이슬람국가'(IS)의 창궐 이후 국경 경계를 강화해 와 난민이 쉽게 통과할 수 없습니다.

사우디를 제외하고 시리아에서 나머지 걸프 국가로 가려면 항공편을 이용할 수밖에 없는데 난민이 비싼 비행기를 이용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합니다.

설사 비행편을 구했다고 해도 걸프 국가 내에 사전 취업허가가 없으면 입국이 매우 어렵습니다.

가난한 시리아 난민으로서는 자국의 지중해 항구로 발걸음을 향하는 게 그나마 탈출 가능성이 높은 셈입니다.

걸프 국가가 종교·혈통적 동질성에도 시리아 난민을 꺼리는 또 다른 중요한 배경은 난민을 가장한 테러 조직원이 유입할 수 있다는 우려 탓입니다.

시리아는 IS를 비롯해 알카에다 지부 격인 알누스라 전선 등 중동의 대표적인 테러 조직이 집결된 곳입니다.

난민과 조직원의 구분이 쉽지 않아 자칫 난민을 받아들였다가는 테러 조직이 침투하는 통로를 터주게 됩니다.

게다가 시리아는 현재 걸프 국가의 '숙적'인 이란의 영향력이 절대적인 탓에 걸프 국가의 시리아 난민에 대한 경계심은 바짝 곤두선 상황입니다.

걸프 국가는 최근 부쩍 IS와 이란과 연계 의혹이 있는 테러조직 소탕은 물론 이슬람주의 세력 무슬림형제단 배척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시리아 난민 사태가 심각하지만 그보다도 걸프 해역 북쪽의 내전과 테러 위협이 자국으로 번질 가능성을 원천 봉쇄하는 게 걸프 국가 안보 정책의 최우선입니다.

이 때문에 걸프 국가는 외국인에 대한 강력한 비자 정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자국 내에 취업을 증명하는 서류를 제출하고 수백만 원을 내야 한시적인 거주비자를 내주고 이를 주기적으로 갱신토록 하면서 외국인의 출입을 제어합니다.

시리아인들이 비자 없이 들어갈 수 있는 아랍권 국가는 알제리와 마우리타니아, 수단, 예멘 등 사정이 좋지 않은 나라밖에 없습니다.

걸프 국가의 현지 언론들도 시리아 난민에 대한 인도적인 동정심을 촉구하는 보도와 모금 활동을 벌이고는 있지만 이들을 아예 받아들이자는 논조의 보도는 찾아보기 어렵습니다.

오히려 난민을 외면하는 서유럽 정부의 처사를 비판하는 방향의 보도가 많습니다.

이에 대해 시리아 인근의 부유국이 유럽 국가보다 시리아 난민을 보호할 더 많은 의무가 있지 않느냐는 지적도 나옵니다.

지난주 트위터에는 '시리아 난민을 환영하는 것은 걸프국의 의무'라는 문구가 3만3천 번 이상 사용됐습니다.
<기사 출처 : SBS>

댓글 없음:

댓글 쓰기